카페의 공간학 - 세계의 디자인 엿보기
카토 마사키.Puddle 지음, 황준 옮김 / 스페이스타임(시공문화사)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39개의 다양한 카페를 저자 나름의 유형으로 구분하여 정리한 책. 카페 공간 자체의 이해가 쉽도록 모든 카페의 평면도와 투시도가 수록되어 있다.
더불어 주요 부재나 가구의 치수까지 표현되어 있어 실제 카페를 창업하거나 건축, 인테리어 설계를 하는데에 좋은 자료가 된다.
각 카페마다의 특징적인 디테일이나 마감 또한 사진을 통해 잘 볼 수 있어서 카페 마다의 개성이 잘 느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부야구 진구마에의 주택가에 있다. 미닫이 새시의 높이에 맞춘 튀어나온 벤치는 단관 파이프로 고정되어 있다. 건물 내부는 목조 골격으로, 구조를 숨기지 않고 아름답게 보여준다. 오른쪽의 통로는부지 안쪽으로 이어지는 진입로이다. 시선이 카페를 통해서 안쪽 정원까지 이어진다. - P102

산조 거리와 토미오 거리가 교차하는 모퉁이에 있는 카페. 토미오 거리 쪽에 큰 유리 창문을 열면 크고 육중한 벤치가 나타나 스트리트 퍼니처로 변하면서 카페 전체가 거리와 일체화된다. 카운터의 둥근 기둥에서 이어지는 특별 제작한 간접조명이 네모지고 심플한 파사드에 포인트가 된다. - P106

전에 이곳에 미용실이 있었다는 사실을 알려주기 위해 새롭게 디자인한 거울, 스툴, 조명 세트. - P107

미용실이었던 기억을 남기기 위해서 새로 설치한 사인볼은 커피&밀크를 뜻하는 카페라테 색이다. - P107

이 카페에는 손님과 바리스타 사이를 가로막는 이른바 ‘카운터‘ 가 없다. 그 대신에 운송용 팔레트를떠올리는 4개의 다리를 가진 ‘테이블’ 형 카운터와 불과 높이 190mm밖에 되지 않는 바닥과의 단차이가 있을 뿐이다. 이 테이블이 집에서 커피를 마실 때처럼 부담 없는 커뮤니케이션을 유발하는장치이자, 이 카페의 개성이다. - P109

적층 합판(구조)에 스테인리스(마감)를 접한 테이블 상단 디테일 - P111

‘가장 오래 있는 사람을 위한 공간을 만든다. 바로 바리스타입니다. 그들에게가장 안락한 장소인 동시에 그들 자신이 카페의 얼굴, 즉 주역이 되는 설계를 합니다. - P14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코메티는 동시대 사람들이나 다가올 미래의 세대를 위해 작업하지 않는다. 그는 결국 죽은 자들의 넋을 사로잡을 조각상을 만들고 있다.

그것은 차라리 가진 것 없어도 당당한 룸펜의 예술이며, 대상들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는 것은 모든 존재, 모든 사물의 고독에 대한 깨달음이라는 순수한 지점에 이르고 있다

거칠게 요약하자면, 그는 세상으로부터의 소외와 고통 그리고 모든 존재들의 고독을 연극을 통해 일종의 제의(祭儀)처럼 표현해내고 있는 듯하다. 바로 여기에서 주네가 자코메티의 조각상들과 만날 수 있는 가능성이 엿보인다.

그는 서투른 전문용어를 들이대거나 어설픈 환원을 시도하지도 않는다. 그저 자코메티의 작품에 다가가서 대상을 만나고, 그러한 만남이 불러일으킨 느낌을 자신의 일상적인 체험에 연결해 읽어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홀 : 스티븐 홀, 빛과 공간과 예술을 융합하다 미메시스 아티스트
스티븐 홀 지음, 이원경 옮김 / 미메시스 / 201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티븐 홀에 관한 현재 유일한 책. 상당수의
프로젝트의 사진, 도면, 스케치 등이 풍부하게 수록되어 있다. 건축가 자신의 목소리로 하나하나의 프로젝트를 설명해준다. 그의 건축관과 작업스타일을 엿볼 수 있어 좋았다.
다만 큰 틀에서 문맥을 이해하기엔 괜찮으나, 건축이나 예술, 철학관련 용어 등 전문 용어에 관한 번역이 매끄럽지 않은 부분이 꽤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eesaw Coffee‘ 는 중국 · 상하이에서 시작된 세 번째 웨이브(3rd wave) 커피, 중국 내에20개의 체인점이 있으며, 각각 다른 건축가가 ‘Seesaw 를 콘셉트로 디자인했다. BFC 점에서는 가구나 벽에 재생 소재인 ‘압축 재생 섬유 패널‘을 사용했는데, 이는 건축가의 도전이자 메시지이다. - P51

캡슐 호텔의 폐쇄적인 성격처럼 안내 데스크에 조용하게 자리 잡은 카페, 반지하에 있으므로 거리에서는 한눈에 알아보기 어려운 숨겨진 존재이지만, 모노톤으로 통일된 공간 속에 있는 나무 카운터상판이 정확히 앞쪽 도로의 높이와 같게 가지런히 놓여있고, 외관의 식물과 매끄럽게 연결된 절묘한개방감을 자아낸다. - P77

아카사카 역 뒷골목에 있는 지상 4층 캡슐 호텔의 반지하에 있다. 흰색 큐브 모양의 건축 볼륨을 검게 칠한 구조물이 지탱하고 있다. 외관을 녹지화해서 거리에서는 일부러 숨겨진 존재가 되었다. 사진 우측의 슬로프를 통해 손님이 들어간다. - P78

카페에 관해서는 상업시설로서의 실속을 생각하기 전에 도시나 거리, 건물등의 공간이 구별되지 않는 듯한 본연의 모습을 중요시하고 싶습니다. - P88

애초에카페라는 장소를 단지 커피를 제공하거나, 한숨 쉬어가기 위한 장소가 아니라 바리스타나손님, 그 지역 사람들이나 먼 곳에서 온 사람등, 소속이나 입장과 관계없이 커피를 통해 각자에게 특별한 경험이 가능한 공간이 되었으면 하고 바라기 때문입니다. - P88

예를 들면, 외부에서도 내부의 분주한 모습이 느껴진다든가, 거리와 일체 된 듯한 공간 조성, 이것을 ‘시기의 설계‘ 라고 불러볼까 합니다. - P88

‘시기의 설계‘를 위해서는 우선 장소의 특성을 찾아낼 필요가 있는데, 그중에서도‘ 바뀌면 안 될 것‘을 판단하는 일이 중요합니다. - P88

매력적인 카페 공간에는 ‘들어가 보고 싶다.‘ 라고 생각이 드는 장치가 있다. 예를 들면, 카페 안에 있는 손님이 즐거워하는 모습이보인다거나, 다른 손님과 너무 가깝지 않고 혼자서 차분히 있을 수 있는 분위기가 느껴지는 것, 물론 독특하고 재미있는 디자인이 눈길을 끄는 일도 있다고 생각한다. - P9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