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 되다 - 인간의 코딩 오류, 경이로운 문명을 만들다
루이스 다트넬 지음, 이충호 옮김 / 흐름출판 / 202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양한 소리를 내기위해 좁아진 목구멍으로 진화하여 질식사 하기 쉬워진 인간,

4족보행에서 2족보행으로 진화하여 척추 질환을 앓게된 인간.

이런 오류 투성이인 인간은 어떻게 지금의 세계를 꾸린 인간이 되었을까?​

이 책은 쉽게 읽히는 책은 아니었지만 흥미로운 책이었다.

같은 분량에도 내용이 쉬워서 진도가 쑥쑥 나가는 책이 있다.

이 책은 밀도가 촘촘해서 천천히 글을 따라 이해하다 보면 내가 똑똑해 진 것 같은 느낌이 들게 하는 책이었다.

이책은 이미 베스트셀러가 된적있는 루이스 다트넬의 신작이다.

혹시 나같은 의문을 가져본 적이 있는지?

진화론의 관점에서 생각할 때 지구에 물이 생겨났고, 물고기가 생겨났고, 양서류에서 포유류를 거쳐 인간으로 진화했다고 하는데, 어떻게? 왜? 인간은 다른 동물들보다 이렇게 두드러지게 진화해서 지구를 장악하고 있을까?

진화의 결과라기엔 다른 동물들과 달리 인간이 어떻게 이렇게 까지나 발전할 수 있었을까?에서 불의 발견과 농작물 수확과 공동생활 만으로는 연결고리가 뚝뚝 끊어져 있는 느낌이었다.

이 책은 그 연결고리를 이어주는 책이었다.

저자는 그 첫 번째 힌트로 동물보다 발달된 이타성이라고 한다. 동물들도 본능적으로 자신에게 유불리한 것을 알고, 친절을 베풀고 다시 돌려받을 것을 기대한다고 한다.

생존하면서 혼자서는 모든 것을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에 도움을 베풀고, 도움을 받기도 한다는 것.

하지만 인간에게는 서로서로 도움을 받기 위해 베푸는 친절에서 한발짝 더 나아가 당장 내 목숨이 다할걸 알면서도 생판 모르는 남을 구해낸다. 저자는 여기서 다른 동물들보다 더 진화할 수 있었던 힌트를 찾는다.

또한 진화적 차원 뿐만 아니라 인간이 현재 이런 모습으로 이렇게 살기까지 어떤 특성이 우리를 이렇게 이끌어왔는가에 대해 다양한 주제를 갖고 이야기 한다.

그중 인상깊었던 것중 하나는 ‘인지 편향’이다.​

인지편향은 우리가 무언가를 접촉하게 되었을 때(사람이든, 지식이든, 문화든, 오감이든 그 무엇이든) 그건 A라고 정의 내리면 그게 아니라 사실은 B라는 다양한 정보가 들어와도 A라는 증거로만 쓰이며 점점 굳혀지고 확대되는 것이다.

흥미로운 예로 콜롬버스가 야심차게 아시아 대륙을 발견하기 위해 떠난 길에서 아시아 대륙은 안나오고 점점 식량과 연료가 떨어져 갈 때 쯤 드디어 어떤 대륙에 도착하게 된다.

콜롬버스는 아시아 여야만 했기 때문에 아프리카 원주민들을 보고 중국인 이라고 정의 내렸다. 미리 학습해왔던 아시아 인과는 전혀 다른 생김새, 옷차림, 언어, 문화를 봤지만 아시아 인이 아니라는 방향성을 트는 것이 아니라 아시안인의 데이터를 확장시켰다.

이런 인지편향으로 우리는 얼마나 많은 오류를 범하고 있었는지 우리는 역사속에서 봐왔고 나역시 마찬가지다.

나는 육아를 하는 엄마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았다.

우리는 아무리 잘났든 못났든 인간의 본질적인 특성을 갖고 있다.

나는 무한 오류를 범하고 있으면서, 아이에게는 오류를 줄이라고 하고 있는건 아닌지 뜨끔했다.

크고작음의 편차가 큰것마냥 아이를 더 키우겠다고 노력하지만 큰틀에서 보면 도토리 키재기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므로 평온해질것. 지금당장 행복을 맛볼것

성공이 아니라 성장에 의의를 둘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