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이 많은 10대를 위한 토론 수업 - 10가지 사회 이슈로 시작하는 청소년 토론 수업 생각이 많은 10대를 위한 시리즈
김희균 지음, 백두리 그림 / 나무생각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본 포스팅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생각이 많은 10대를 위한 토론수업

김희균 지음 그림 백두리

나무생각

"토론은 누군가를 이기기 위한것이 아니다.

우리 사회가 가진 문제를 '잘'해결하기 위한 노력이다."

토론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하는 문장입니다. 얼마전에 끝난 대통령선거 관련 예비후보자 토론 장면을 아이와 함께 보면서 괜시리 얼굴이 붉어질정도로 민망하거나 창피하더라구요. 중학생아이도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써 자신의 의견를 주장할 수 있고, 정의가 뭔지 올바른 가치가 무엇인지 알아갈 필요가 있기 때문에

함께 텔레비전을 보기를 권했는데, 막상 실상은 그렇지가 못했어요.

서로를 깍ㅇㅏ내리고 인격적으로 모독하면서 우리나라의 미래에 대해 어떤 계획이 있는지는 설명하지 않더라구요.

자신의 공약과 비젼을 정확하게 알리기 보다는 다른 곳에 주안점을 두고 있어서 그런가봅니다.

토론은 서로의 생각을 교환하고 더 나은 사회로 가는데 방향을 두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찬성과 반대를 쉽게 선택할 수 없는 어려운 문제들이 우리 사회에는 많습니다.

각자의 이익이 달려있기도 하고, 공익적으로 지켜야 하는 것들도 있고, 개인적으로 보호해야할 가치도 있으니 말이죠.

우리 아이들이 작게나마 이 책에 소개된 주제들을 생각해보고 찬성과 반대 중 어떤 의견에 공감하는지 생각해 봤으면 좋겠어요.

자신 스스로 호흡하지 못하고 인공호흡기를 통해서만 숨을 쉴 수 있으며 소위 뇌사상태라고 불리는 상황에 내 가족이 처해 있다면? 이제는 연명치료를 그만두고 안락사라는 죽음을 택하는것이 맞는지 또는 인간의 생명이 존엄하고 어느 누구도 생명의 끝을 정할 수가 없기에 생명을 연장할 수 있을때까지는 그냥 내버려둬야 하는 생각이 맞을지 고민해봅니다.

코로나19시대에 지나면서 점점 더 부각되고 필요성이 인정되었던 원격의료 진료 시스템은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진행될까요? 서울 등 수도권에만 몰려있는 상급병원을 이용하기 위해 도서지역이나 지방에 거주하는 시민들을 많은 시간과 돈을 투자하면서까지 상황이고 게다가 코로나19상황에서 감염의 위험에 대비하여 비대면 진료도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원격의료 시스템이 환자와 의료의 질을 높이고 효율적인 진료를 하는 이유가 아닌 상업적으로 이용된다면 또 문제는 달라집니다.

찬성인지 반대인지 또 한번 생각에 빠지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