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잘먹고 잘사는 법
박정훈 지음 / 김영사 / 2002년 8월
평점 :
얼마나 나의 먹는법이 잘못되었는지 깨닫게 해 주는 책이었다. 흰 쌀밥에 단것을 무진장 좋아하고, 고기류를 엄청 즐기며,회외에 생선은 입에도 대지않고 생수라곤 하루에 한컵을 마실까 말까한 나. 커피와 빵종류를 좋아하고 고추장 양념을 한 매운 음식을 너무나도 즐기는 입맛.
아~~ 가끔 윗배가 거북하거나 따끔거리긴하지만 식탐을 어쩔수 없어서 맛난것만 보면 그저 입으로 쑤셔 먹어대는 그런 류의 식습관을 가지고 있었다. 어쩌면, 먹는것만큼 살이 찌지 않아 더 먹어댔는지도 모른다. 내가 지금까지 얼마나 나쁜 식생활을 해왔는가.... 깊이깊이 반성 하게 되었다.
우선 물을 의식적으로 자주 마시려고 노력하게 되었고, 밥에 몇몇가지 잡곡을 넣게 되었으며, 야채를 많이 먹으려고 노력한다. 주부의 식습관이 가족의 식탁까지 그렇게 만들어버리기가 다반사이니(내가 좋아하는 것만 올리다보니까) 내가 그동안 얼마나 가족의 건강에 신경을 쓰지 않았나 반성도 된다.
그러고 보니 우리 시어머니의 먹는법이 이 책과 비슷하다 현미찹쌀과 콩, 잡곡류를 섞어 밥을 해 드시고, 야채샐러드를 주로 드시며, 과일을 많이 그리고 생과일이나 생야채 쥬스도 갈아 드신다. 소금이나 왜간장보다는 콩성분이 많은 국간장으로 나물류를 양념하시는걸 보았다. 단한가지 불만은 항상 국을 먹게 하신다는 점이다. 당신은 국을 안드시면서도 목메일까봐 국에 밥을 한수저 담궜다가 손자들에게 먹이시는 것.
각설하고... 내가 이 책대로 얼마만큼의 식단을 바꿀것이며, 그것이 얼마나 오랫동안 계속될것인가가 가장 큰 숙제인것 같다. 옛날부터 어른들께선 밥을 푹푹퍼서 맛나게 먹어야 복스럽게 먹는다고 좋아하셨다. 조금씩 입에 넣은 밥을 한참동안 씹고 있을라치면 밥상머리에서 밥맛없게 먹는다고 야단치시는 분들도 계시고.
어릴절 내 아버진 밥을 80번이나 씹으라고 가르치셨는데 정작나는 내 아들에게 빨리빨리 씹어삼키라고 성화다. 늦었다. 빨리빨리. 아마도 시간에 쫓기듯 그렇게 살아가는 습관 때문이리라.
여유를 갖고 느긋하게 식사시간을 대화의 시간으로 만들면서 가족끼리 좀더 정을 나눌수 있는 그런 식탁 문화를 만들고, 아울러 신토불이 음식을 많이 먹어 건강은 물론 우리것을 다 챙길수 있는 그런 음식문화가 이어졌으면 하는 바램이다. 이런 마음을 갖게 해 주신 저자분의 노력에 너무너무 감사한 마음을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