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운(郅惲)은 "아비도 아들에게 이래라저래라 할 수 없다."라고 했는데, 이것은 도를 어지럽히고 악에 빠지게 하는 말이라오. 이 말을 핑계 삼아 공에게 충고하지 않아서는 안 될 것이오.공은 반복하여 심사숙고하고, 경계 삼을 점이 있다면 고치시오. 이러한 문제를 끝내 고치지 못한다면 어찌 학문을 하겠으며 어찌 실천을 할 수 있겠소?" - P1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학의 주석에서 저자는 "자기에게 잘못이 없거든 남의 잘못을 비난하라"라고 했소. - P1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옛날에는 부인을 쫓아내더라도 다른 남자에게 시집갈 길이 열려 있었소.이 때문에 칠거지악(七去之惡)을 저지르면 쉽게 대처할 수가 있었소. 그렇지만 지금의 부인은 모두 죽을 때까지 한 남자만 섬기는데,어찌 금슬이 좋지 않다는 이유로 길 가는 사람처럼 대하거나 원수처럼 여길 수 있겠소. 한 몸과도 같은 부부가 서로 반목하고, 한 이불을 덮고 자면서도 천 리 떨어진 것처럼 지내 인륜의 시작이 되는 단서를 없애고 만복의 근원을 끊어버려서야 되겠소?
- P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학에는 "근본이 어지러운데 말단이 다스려지는 일은 없다. 후대할 사람을 박대하면서 박대할 사람을 후대하는 일은 없다."라고 했소. - P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황(李滉, 1501~1570년)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경호(景浩), 호는 퇴계(退溪)•퇴도(退陶)•도수(陶叟)입니다. 숙부 이우에게 배워 과거를 보고 벼슬길에 올랐습니다.사가독서로 선발될 정도로 탁월한 글재주를 지녔습니다. 홍문관 교리를 역임하고 성균관 대사성에 올랐지만 자주 벼슬에서 물러나 학문에 전념하고자 했습니다. 안동(安東)의 토계(兎養)를 퇴계(退溪)로 명명하고, 양진암(양眞庵)과 한서암(寒棲庵)을 지어 강학 활동을 폈습니다. 1560년에는 도산서당(陶山書堂)을 짓고 수양과 독서에 전력했습니다. 죽음을 앞두고 비석에 벼슬을 적지 말고 ‘퇴도만은진성이공지묘(退陶晩隱聖城李公之墓)‘라고 새기라는 유언을 남겼습니다. 이황은 주희의 저술을 집대성한 「주자대전(朱子大全)」을 본격적으로 연구해 조선 성리학의 수준을 크게 높였습니다. 문집으로 「퇴계집(退溪集)」이 전하며, 주자학의 요체가 담긴 편지글을 모은 「주자서절요(朱子書節要)」,성리학의 체계를 도설(圖設)한 「성학십도(聖學十圖)」 등이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 P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