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조仁祖 1636 - 혼군의 전쟁, 병자호란
유근표 지음 / 북루덴스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조(仁祖) 하면 무엇이 떠오르는가? 병자호란 그리고 삼존도 굴욕이 떠오를 것이다. 임진왜란에 비해 상대적으로 병자호란은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학창시절 역사시간에 배움의 양도 그렇고 영화, , 드라마 등 문화 컨텐츠로도 임진왜란보다 적게 다루어져 있다.

 

 

이 책은 우리가 학창시절에 한 줄로 스쳐지나가는 병자호란에 대하여 사료를 바탕으로 한 객관적인 역사와 저자의 주관적인 의견을 서술하고 있다. 조선의 사료 뿐만 아니라 청나라 사료까지 토대로 하여 인조반정이괄의 난정묘호란병자호란소현세자의 볼모 생활소현세자와 강빈의 죽음소현세자 아들들의 죽음 순서로 기술하고 있으며, 변방 오랑캐에 불과하였던 여진족이 몽골과 조선을 정벌하고 나아가 명까지 정벌하는 과정과 요인까지 밝히고 있다.

 

 

이 책의 저자는 인조와 병자호란에 대하여 어떻게 평가하고 있을까? 인조는 왕의 자질이 없었던 자였다. 반정 후 개혁은 고사하고 민생을 외면하고 반란군이 몰려오자 백성들과 도성을 방치하고 도망친 주제에 , 난이 진압되자 본인들의 책임은 뒤로 돌리고 애꿎은 백성들만 처형한 자였다. 겁은 많아서 군사조련과 부대이동을 원칙적으로 막아버려 군사력을 약화시킨다. 이괄의 난 후유증으로 수많은 사람이 굶어 죽어가고 명나라 사신 접대 문제로 나라의 곳간이 비어가도 자신들의 결속을 다지는 잔치를 강행하고, 정묘호란으로 강화도로 도망치는 와중에서 생모의 묘에 참배를 강행하는 등 여러 객관적인 사료들을 바탕으로 보았을 때 그는 무능한 왕이었다. 소현세자를 대하는 태도에서 보면, 권력욕까지 많은 왕이였다.

 

 

인조의 신하들은 어떠했는가?주변 정세에는 눈 감은 채 지나치게 숭명배금 정책을 펼치고 자신들의 정권 유치에만 급급하여 국방에는 신경쓰지도 않은 인조 정권은 무능의 극치였다. 그와 더불어 아무런 준비도 없이 후금을 자극하는 무모한 행동들만 일삼기까지 했다.

 

 

그에 비하면 이런 혼란의 역사속에서 맞이한 의로운 죽음들은 덧없어서 마음이 아팠다.

 

 

자신의 치부를 감추기 위해 전과를 올린 사람에게 없는 죄를 만들어 뒤집어 씌우고, 청을 등에 업고 패악을 부리던 역관 정명수, 전란이 일어나는 와중에도 호화로운 생활을 했던 김경징, 그리고 김경징과 같은 간신배들을 비호하던 인조 등 책을 읽으면서 분노를 참을 수가 없었다.

 

 

환향녀 즉 속환녀에 대한 이야기도 인상이 깊었다. 김류가 처와 며느리, 손자 며느리의 자결을 강요하여 죽이고, 첩과 딸의 속환가를 천냥이나 되는 거금을 내놓는 바람에 속환가가 천정부지로 올라 버려 일반 백성들은 속환가를 지불하지 못하는 사태까지 발생하고, (당시 속환가가 10냥을 넘지 않았다고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어렵게 조선으로 돌아와도 시집, 친정으로부터 자결을 강요받아 자결하는 여인이 속출하였다고 한다. 오죽하면 인조가 홍제천에서 여인들이 몸을 씻고 도성엘 들어오면 정절을 회복한 것으로 인정하라고 지시하였겠는가. 임진왜란 때도 이러한 문제가 있었지만 당시 원로 중신인 류성룡과 이항복 등이 속환녀를 내쫓지 못하게 하였으나, 인조 때의 사대부들은 무능한 주제에 이기적이고 냉정하였다. 자신의 아들을 데려오기 위해 1500냥이나 되는 거금을 내놓아 수많은 피로인들을 이역의 원혼이 되게 만든 이성구는 속환녀를 역적의 딸보다 더 심하게 매도하였다고 한다.

 

 

이 책에 대하여 정말 좋았던 점은 교과과정에서 배울 수 없는 여진족이 조선을 정벌하고 명까지 정벌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다는 점이다. 누르하치의 후금 건국과 홍타이지의 조선 정벌과정, 원숭환의 분투와 억울한 죽음, 청에 끌려간 소현세자의 고충 등 매우 생동감 있게 그리고 있다.

 

 

이 책은 단순히 '인조'에만 초첨이 있는 것이 아니라 양란 속에서 국제정세, 국내정치, 경제, 사회, 군사적인 부분들까지 다루고 있다. 다 읽고 난 후 알차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다. 아무래도 역사를 주제로 하다보니 책 제목과 책 표지만 보고 어렵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나, 전혀 어렵지 않고 신기하게도 술술 읽힌다! 역사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관심없더라도 워낙 잘쓰여져 있는 책이다 보니, 잘 읽힐 것이라고 생각한다. 교양을 쌓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우리가 역사를 통해서 배울 수 있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인조 1636>을 꼭 읽어 보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