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는 요약이다 - C.O.R.E. 단숨에 일머리를 키우는 생각 정리의 기술
박준서.김용무 지음 / 갈매나무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상사에게 보고를 할 것이다. 구두보고 부터 서면보고, 발표까지.

매일매일 보고를 끊임없이 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미숙한 보고로 인해서 난처한 상황을 겪은 경험이 있을 것이다.

개인적으로 '보고'라는 것은 결국 듣는 사람 스타일에 정해진다고 생각한다. 성격이 급한 스타일의 상사에게는 개요식 보고가 정답이고, 데이터를 따지기 좋아하는 상사에게는 데이터가 필수이고, 모든 것을 통제하기를 바라는 상사에게는 세부적인 사항까지 미주알고주알 다 보고를 해드리는 것이 필요로 한다.

통상적으로 '좋은 보고'란 무엇일까? 라는 의문을 평소에 품고 있었다. '보고는 요약이다' 라는 이 책에서 그 답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 책에서는 C.O.R.E 요약법을 제시하고 있다.

잘 요약된 보고를 하기 위해서 먼저 상대가 내게 요청한 과제를 이해하고 핵심을 '잡아내는' 단계(catch)가 필요하다. 두번째는 '정리(Organize)'의 단계이다. 그 다음은 정리한 내용을 상대방도 알고 있는 약속된 틀(Frame)에 담아 군더더기를 버리고 내가 놓친 정보를 다시 찾는다. 세번째는 현장을 예측하고 실수 없이 '현실화(Realize)'하는 단계다. 마지막은 준비한 내용을 효과적으로 '표현(Express)'하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개인적으로 C.O.R.E 요약법 같은 이론들 보다 오히려 다른 부분들이 굉장히 실용적이었다.

직장인들 모두 이런 경험이 있을 것이다. 거래처에서 요청이 들어와서 그것을 상사에게 보고를 들어왔을 때, ' 왜 그것을 해달라고 하는 거죠?' 라는 질문에 꿀먹은 벙어리가 된 경험이 있을 것이다. 저자는 5W1H 원칙을 제시하며 잘보이지 않는 WHY부터 시작하자고 한다.

먼저 "무슨 목적으로 요청하시는 거죠?", "왜 그게 필요하시죠?" 라고 묻자.

보고는 요약이다 p.92

이 책에서 최종 결과를 먼저 이야기 하기, '~의 측면에서'라는 표현으로 기준을 명확하게 제시하기 등 현장에서 도움되는 조언들이 많이 담겨 있었다.

마지막에 일 잘하는 비책을 실현한다는 것에 대하여 저자는 '사고력'이라고 하였다. 사고력을 키우기 위해서 첫 단계는 반성이라고 한다. 내 업무가 성공했다면 왜 성공했는지 실패했다면 왜 실패하였는지 원인을 찾아내는 훈련에서 사고력은 성장하기 시작한다고 한다. 그 다음은 목표를 이루기 위해 보이지 않는 변수를 찾고 그에 대응하는 조치를 세우는 '계획'을 수립하고, 문제해결을 위해 고민하고 돌파하는 것이라고 한다.

결국 현장에서 끊임없는 노력을 통해서 우리는 직장인으로서 업무적 성장을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직장인들의 업무적 성장을 위하여 이 책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