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러 성격 상담소 - 내 뜻대로 되지 않는 성격 때문에 인생이 힘든 당신에게
기시미 이치로 지음, 이영미 옮김 / 생각의날개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몇 년 전 지리멸렬한 자기계발서 시장에서 '미움받을 용기' 라는 책이 혜성처럼 나타나서 아들러 붐을 일으켰다.

오랫동안 베스트셀러로 사랑을 받았던 '미움받을 용기'의 저자 기시미 이치로 교수의 신간이 최근 발매되었다.

무려 '아들러 성격 상담소'라는 제목으로 출간된 이 책 또한 아들러의 성격심리학을 바탕으로 기재되어 있다.

저자에 의하면, 성격은 타고 나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성격을 스스로 선택하는 것이며, 결코 쉬운 일은 아니지만 우리는 성격을 바꿀 수 있다고 한다.

허영심, 질투, 미움, 불안함, 두려움, 쾌활함, 완고함 등 모두 우리가 선택한 것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노력하지 않고 편하게 살고 싶은 사람은 게으른 성격을 선택한다고 한다. 자기가 실패하더라도 '만약 내가 게으르지 않았으면 틀림없이 내가 이루고자 한 것을 달성할 수 있었을 거야.'라고 변명하며 자기 자신의 가치를 떨어뜨리지 않기 위하여 '게으름'이라는 성격을 선택한다고 한다.

또한 존경받는 것이 목표인 사람은 밖에서는 존경받기 위하여 쾌활한 행동이 필요하지만, 반대로 집에서 존경받기 위해서는 뚱한 태도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해당 성격을 선택한다고 한다. 집 안팎에서 행동은 정반대지만 '존경받는' 목표를 달성하고 싶은 라이프 스타일은 똑같다고 본다.

우리는 감정을 어떤 목적으로 활용할까?

아들러는 지금까지 살펴본 성격과 마찬가지로, 정동에도 대인관계상의 목적이 있다고 보았다. 바로 "상황을 자기에게 유리하게 만들기 위해 변화를 야기하려고자 하는 인간의 목적"이다. 사람들은 보통 원인론적 관점으로 생각한다. 아이가 문제 행동을 일으켰기 때문에 화냈다고 생각하는 식이다. 반면 목적론적 관점을 지닌 아들러는 사람들이 '어떤 목적'을 위해 화의 정동을 사용한다고 보았다. 상황을 자기에게 유리하게 만들기 위해 변화를 야기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고 보는 것이다.

아들러의 성격상담소 p.134-135

감정의 힘을 빌리는 사람들은 열등감을 가지고 있다.

리더로서 자기가 뛰어나다는 것을 인정받으려면 감정의 힘을 휘두르는 대신 논리적으로 설명하면된다. 그것이 불가능하기 떄문에 감정적으로 승리를 거두려 큰소리치고, 분노의 감정을 상대에게 쏟아붓는 것이다. 그런 사람은 다른 방법으로는 우월성을 달성할 수 없다는 열등감을 갖고 있는 셈이다. 그러니 분노에 사로잡힌 사람을 보고 무서워서 벌벌 떨 필요는 없다. '저 사람한테 열등감이 있구나.' 생각하면 냉정하게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아들러의 성격상담소 p.138

이 책에서는 첫째, 둘째, 막내, 외동 등 태어난 순서에 따른 성격차이도 설명하고 있다.

첫째 아니는 대체로 보수적이다. 왜 그럴까? 상황이 변해서 좋아진 것이 전혀 없었기 떄문이다. 오직 자기만 바라보던 부모가 변한 원체험 때문에 변화를 몹시 두려워한다. 첫째들은 어른이 된 후에도 경쟁자의 출현이 두렵다. 사춘기에 누군가 좋아지더라도 지금의 관계가 어떻든 틀림없이 자기 존재를 위협하는 강력한 경쟁자가 나타날 것이라 생각하고 마는 것이다. 어린 시절의 경험때문에 상대방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어도 굳이 잘 풀리지 않는 면을 찾아내려 한다.

아들러의 성격상담소 p.194

이 책에서는 처음부터 성격을 바꿀 수 있다고 일관되게 주장하고 있다. 나 또한 사람의 성격을 바꾸기는 매우매우 어렵지만, 문제시 되는 성격의 발원지와 목적을 알게 된다면, 변화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이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