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는 감정이다 - 소통을 위한 감정 조절부터 표현 연습까지
노은혜 지음 / 유노북스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으면서 누군가가 떠올랐다.

남에게 아무렇지 않게 상처주는 말을 서슴치 않게 하는 사람이 있었다. 사람들은 앞에서는 쎄다. 뒤에서는 못됐다면서 피했지만, 그(녀)는 그것을 즐기는 것 같았다. "나는 솔직한 사람이라고.","나는 원래 쿨한 사람이야. 앞에서는 쎄게 말하지만 뒤끝은 없어.", "나는 원래 이렇다고! 나보고 뭐라고 하지말고 날 그냥 놔둬.", " 너희들이 나한테 적응해!" 라고 당당하게 이야기 하는 사람이었다.

나이도 많고 자녀도 있는 사람이 직장에서 유아적인 태도로 감정을 적나라게 표출하는 것이 보기 좋지 않았고, 불편하였다. 자기 마음에 들지 않는 상관의 업무 지시는 무시하였고, 주변사람들의 조언에는 분노하였다. 그(녀)로 인하여 주변사람들은 마음 고생을 많이 하였다.

그(녀)의 말처럼 그(녀)는 쿨할 줄 알았다. 하지만 아니었다. 누구보다 유리멘탈이었다. 본인의 막되먹은 행동으로 인한 타인들의 비난과 회피에 속상해하며, 분노하는 유리멘탈이었다.

이 책을 통해서 그(녀)의 행동의 원인을 알 수 있다.

p. 69

<부정적 감정을 다스리지 못하면 누군가에게 상처를 준다>

말로 상처를 주는 사람들에게는 세 가지 특징이 있다.

하나, 상대의 의도와 마음보다 자기의 감정에 몰두된다.

둘, 자신의 말이 다른 사람에게 전해졌을 때 어떻게 들릴지 고려하지 않는다.

셋, 자신의 언어 습관이 원래 그런 것이라 다르게 말할 수 없다고 단정한다.

상처주는 말 습관을 가진 사람들은 이러한 상대의 본심을 고려하지 못한다. 자신의 부정적 감정을 견디는 일을 어려워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불편한 마음이 들면 곧장 상대방을 비난하거나 공격하며 자신의 불편감을 낮추려고 한다.

p. 75

<자신이 다 해결해야 직성이 풀리는 구원자의 말>

수지씨의 문제는 구원자 역할을 벗어나지 못한 것이다. 자신의 감정을 통제하고 상대방에게 조언하기 전에 멈추는 연습이 필요했다. 그렇지 않으면 수지씨의 주변 사람들은 과도한 개입과 간섭, 통제로 고통받으며 관계가 나빠질 수 밖에 없었다.

이 책에는 감정을 무시하는 사람의 세가지 유형을 제시하고 있다.

1. 스스로를 동굴에 가두는 유형 : 불편한 감정을 느끼게 한 사람과 관계를 끊거나 거리를 두며 자신을 방어한다. 표면적으로는 어차피 떠날 사람이었어. 라며 자신의 관계에서 주도권을 가진 듯이 말하지만 실은 스스로를 동굴 속에집어 넣는 것과 같다.

2. 자아가 없는 유형 : 자기 의견은 말하지 않고 상대방이 원하는 대로 따른다.

3. 지나치게 자신을 검열하는 유형 : 상대가 잘못한 일에도 죄책감을 느끼며 미안해한다.

p. 130-131

적절하게 표현된 감정(주장적 : “당신이 늦는 것이 불편해. 제때 오지 못할 때 미리 연락을 주면 좋겠어.”/적응적) 그리고 부적절하게 표현된 감정(수동적:웃으면서 자신의 상한 마음을 감추고 기다리지만 마음은 혼란스러운 상태/비억제적 그리고 공격적 : 비난, 욕설, 격분 등)에 덧붙여 감정은 적절하게 억제될 수도 있다.

우리의 궁극적인 목표는 화를 억누르는 것이 아니다. 불에 기름을 붓지 않고 적절한 강도로 표현할 수 있을 때 나의마음을 전하는 것이다.

p. 134-135

<마음을 적응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첫번째는 자신이 느끼는 감정에 0부터 10까지 강도를 매기는 것이다.

두번째는 감정적 언어를 사용하고 있는 살펴보는 것이다.

감정적 언어란 자신의 감정과 느낌을 과장되게 표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감정적 언어는 자신의 감정을 과도하게 증폭시킨다. 인지 행동 치료에서는 이런 감정적 언어를 정신적 감옥으로 비유하며 수정해야 할 사고방식으로 본다.

예를 들어 상대방과 의견이 다를 때 ‘저 사람과 내 생각이 조금 다르네. 같을 수는 없지’라는 생각이 아닌 ‘꼭 저렇게 이겨 먹고 싶은가? 나만 말하면 쟤는 꼭 토를 달아서 무안을 주네’라고 생각하고 말하는 것이 감정적 언어다.

감정적 언어를 사용하면 상황을 있는 그대로 지각하지 못하고 더 거침없이 말하며 감정을 조절하는 힘을 잃어버린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