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토론과 대화에서 지지않는 논리학 - 논리의 부재, 말장난에 통쾌한 반격을 날리는 무기
케빈 리(이경훈) 지음 / 이지스에듀(이지스퍼블리싱) / 2023년 10월
평점 :
논리의 부재, 말장난에 통쾌한 반격을 날리는 무기
<토론과 대화에서 지지 않는 논리학>

"똑똑하게 말하는 법, 이것만 알면된다."
말로 천냥빚을 갚는다라는 속담이 있듯이 말은 참 중요합니다.
작가는 <토론과 대화에서 지지 않는 논리학>이
논리적인 사람이 되기 위한 설명서라고 이야기하는데요.
이경훈 작가가 들려주는 논리학의 세상으로 들어가 볼까요?

<토론과 대화에서 지지 않는 논리학>의 첫번째 마당은 주장과 근거로 시작합니다.
"당신은 어떤 근거로 그런 주장을 하십니까?"
내가 상대에게 올바른 주장을 하기 위해서는
근거있는 주장이 기본이 되어야 하는데요.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흔들리는 근거로 제대로된 주장을 펼칠 수는 없습니다.
내 주장이 말이 되는 소리인가 아닌가의 판단은~~
탄탄한 근거에서 시작됩니다.~^^

흔히 주장을 할때, 우리는 오류를 범하게 됩니다.
흑백 논리의 오류, 의도 확대의 오류, 은밀한 재정의의 오류,
원천 봉쇄의 오류, 애매문의 오류, 애매어의 오류~~
오류들에 대해 살펴보면,
흑백 논리의 오류는 상대방의 뜻을 비약해서
극단적인 결론으로 이해하고 대응하는 것입니다.
즉, 이거 아니면 저거다~
두번째, 의도 확대의 오류는 언뜻 보면 흑백논리의 오류와 유사한데요.
둘다, 상대방의 뜻을 오해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흑백논리의 오류는' 뭐 아니면 도다'.라고 판단하는 반면,
의도확대의 오휴는 상대방의 의도를 뻥튀기처럼 키워서 이해하는 것입니다.
은밀한 재정의의의 오류는 입맛대로 용어의 뜻을 제 멋대로 해석하는 것인데요.
조금 억지 스럽게 느껴지지만 살다보면 이런 경우가 비일비재하니~~
계약서와 같은 경우, 오해가 없도록 꼼꼼하게 살펴보아야 겠지요.
그 외에도 원천봉쇄의 오류와 애매문의 오류가 있는데요.
원천봉쇄의 오류는 내말에 따르지 않으면 모두 틀리다고 주장하는 것인데요.
상대방을 아주 나쁜 사람으로 만들기 때문에
< 우물에 독 뿌리기 오류>라고 부르기도 한답니다.
애매문의 오류는 문장의 의임를 서로 다르게 이해해서 생기는 오류로
문장구조가 한 가지 뜻으로 풀기에 애매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논리에 맞는 문장을 만들기 위해서
반드시 한 가지 주장에 한가지 뜻을 담아야 겠네요.
애매어의 오류는 애매한 말 때문에 뜻이 외곡되는 것으로
애매문의 오류와 유사하게 느껴집니다.
단, 애매문의 오류는 문장 자체에서 오해가 생기는 경우이고,
애매어의 오류는 문장 속 애맴한 단어나 구로 인해 생기는 오류입니다.
주장을 할 때, 흔히 사용되는 오류들만 잘 파악해도
흔들림없이 나의 주장을 잘 펼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기억해 보아요.
주장을 펼치는 사람은 자신의 주장에 오해를 살 맡말이나 문장은 없는지 ~
상대방이 주장의 핵생을 제대로 파악하고 있는지~
말이지요~^^
제대로된 주장을 위한 근거로
탄탄하고 논리적인 주장을 펼쳐 보아요.
내 주장을 위해서
전문가의 견해, 숫자와 통계, 관찰과 경험, 인용, 증거, 사례, 추론
등 효과적인 근거를 제시해 보아요.
그럼, <토론과 대화에서 지지 않는 논리학>에서 논리의 힘을 키워보아요.
<출판사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후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