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박국, 고통을 노래하다 - 개정판
김기현 지음 / 복있는사람 / 201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이 책을 3번 읽었다. 처음은 김기현이라는 이름을 알게 되어 그의 책을 모조리 수집하여 닥치는 대로 읽었을 때이다. 다음은 내가 아비를 잃은 나이인 초등학교 6학년이 된 아들을 보며 다시 고난의 문제를 떠올리며 하박국을 설교하기 위해서였다. 그리고 세 번째는 이번에 새롭게 나온 개정판이다. 그러고 보니 성경 다음으로 동일한 책을 가장 많이 읽은 것이 <하고노>가 된 셈이다.

    먼저 <하고노>는 체험적이다. 고통의 문제라면 루이스가 떠오른다. 그는 고통을 귀먹은 세상을 깨우는 하나님의 확성기라고 얘기했다. 그랬던 그가 사랑하는 아내를 잃은 후에 <헤아려 본 슬픔>에서는 하나님을 향한 분노와 원망의 소리를 거침없이 쏟아내었다. 남의 고통은 고상한 언어로 말할 수 있어도 정작 자신의 문제가 되면 상황은 역전된다. 이런 측면에서 저자는 아버지의 부재, 목회의 현장에서 겪는 고통을 경험했기에 고난당하는 이의 마음을 잘 이해한다. 경험했기에 고통하는 이의 속마음을 누구보다 잘 묘사한다.

    다음으로 <하노고>는 인간적이다. 저자는 내가 고난을 좀 안다고 거드름을 피우지 않는다. , 고통을 단순화하여 간단하게 도식하지 않는다. 바로 고통의 유익으로 넘어가지 않는다. 그는 하박국은 물론이고 예레미야, 심지어 예수님까지 동원하여 고통 앞에 무기력한 인간의 민낯을 들추어낸다. 신정론에서 말하는 대로 덮어놓고 하나님을 변호만 하지도 않는다. 그래서 개인적으로 이 책의 백미는 1그대, 고난에 직면하거든이다. 감히 하나님을 의심하고, 그분께 항의하라니. 허나 그것으로 인해 고통의 회복이 시작되었다.

    마지막으로 <하노고>는 도전적이다. 저자는 자신의 경험적 성찰, 하박국서의 성경적 연구, 폭넓은 독서의 힘이라는 세 가지 재료를 잘 버무려 멋진 걸작을 만들었다. 저자는 고통하는 이의 주특기인 신세한탄, 넋두리만 늘어놓지 않는다. 고난이 엄연한 현실이라면 고난을 도대체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 도대체 어떻게 해야 고난이 변장된 축복이 될 수 있는지를 따져 묻는다. 저자의 말마따나 그날이 오면다 알게 될 것이다. 그러나 그때는 미래이니 지금 이 순간 <하노고>를 들고 곱씹으며 걷다보면 고통마저도 노래하는 자신을 발견하게 되리라!

    고통 때문에 나도, 성도들도 아프다. 또 계속 아플 것이다. 하지만 아팠지만 끝내 믿음으로 일어선 하박국이 있었기에, 그 과정을 잘 정리하여 소개해 준 저자가 있기에 고통의 길은 그리 힘들지만은 않을 것 같다. 고통으로 눈물의 시간을 보내고 있을 모든 이에게 필독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