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하늘과 새 땅
리차드 미들톤 지음, 이용중 옮김 / 새물결플러스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충격적이다. 지금까지 내가 가지고 있던 천국, 하늘 나라, 하나님 나라에 대한 이해를 완전히 전복시키는 책이다. 천국이 얼마나 중요한 내 삶의 테제인데, 그것을 의견도 분분한 중간기나 중간상태로 치부할 수 있단 말인가?(343) 미들턴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자신의 주장을 펼치기도 전에 선방을 때리고 시작한다. 그의 말이다.

실제로 정경 전체(구약과 신약)에서 신자의 영원한 운명으로서의 하늘에 대한 언급은 한 번도 없다. 이 개념은 통속적인 기독교적 상상력(과 심지어 일부 신학) 안에서는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성경 자체는 한 번도 실제로 의인이 하늘에서 영원히 살 것이라고 말하지 않는다.”(107)

이 또 무슨 말인가? 천국은 사람들이 상상의 나래를 펼친 결과라고? 그러면 있지도 않는 것을 공연히 위로한답시고 천국, 내세를 그토록 은혜롭게 외쳤던 말인가? 그곳에서 쇼부(?)를 보려고 단단히 준비하고 있는 난 도대체 무엇이란 말인가? 당혹스럽다. 책을 읽는 내내 마음 한켠에 일었던 생각이다.

저자의 주장을 몰라서 하는 말이 아니다. 여전히 신학자들 사이에 논란이 있지만 내가 생각하는 새 하늘과 새 땅은 바로 에덴의 회복이다. 미들턴의 주장과 별 차이가 없다. 그런데도 땅의 회복을 너무 강조한 나머지 천국의 명확한 개념(물론 순전히 내 생각이다)을 부정하는 것은 나로선 받아들이기 어렵다.

그럼에도 미들턴이 왜 이렇게 극단적으로 강조하는 이유를 알기에 그의 주장이 퍽 고맙다. 천국을 도피적 개념으로만 생각하기에 이곳에서의 삶은 전혀 신경 쓰지 않고 덮어 놓고 저 곳으로 가기만 하면 된다고 생각하는 신앙적 행태의 부조리를 잘 알기 때문이다. 내 안에도 이 도피의 무서운 유혹이 있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문제에 직면하여 끈질기게 싸우기 보다는 버티고 대충 때우며 시간을 보내서 그곳으로 가기만 하면 된다고 그 생각 말이다.

그래서 저자는 우리가 영생을 누리는 곳은 천국이 아니라 변화된 이 땅이라고 역설한다. 최종 종착지가 하늘에 있는 천국이라고 너무 확실히 믿고 있는 우리의 그 견고한 벽을 저자는 성경을 들어서 조목조목 부수는 작업을 하고 있다. 결국 저자의 요점은 무엇인가? 그의 말이다.

구원이 죽어서 맛보는 하늘의 떡이 아니라 실제 사람들이 (그들의 행동이 그들의 믿음과 일치되기 시작하는) 구체적인 변화라면, 우리는 모든 사람이 현세적인 상황에서 의로운 삶을 향해 실제적으로 변화되는 시나리오를 상상해야 할 것이다”(311-313)

따라서 저자의 말마따나 종말론은 윤리와 분리되지 않는다”(411) 미들턴의 주특기인 세계관적인 발언이다. 그것을 사명이라고 부르든, 소명이라고 부르든 어떤 말이든 다 좋다. 이 땅에서 하늘로 살고, 이 땅을 하늘로 만들어 마침내 이곳에 완성되는 하나님 나라를 꿈구는 모든 이들에게 일독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