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통과 씨름하다 - 악, 고난, 신앙의 위기에 대한 기독교적 성찰
토마스 G. 롱 지음, 장혜영 옮김 / 새물결플러스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통에 대한 목회적 돌봄

 

안드레축제 때 데리고 올 친구가 저한테 그랬어요. 지금은 교회를 안다녀요. 그 이유가 아무리 하나님을 믿고 기도를 해도 하나님이 안 들어 주시고 계속 안 좋은 일만 일어난데요. 하나님이 진짜 계신지도 모르겠고 신이라는 게 존재하는지도 모르겠데요. 그래서 이제는 교회를 안다니는데 제가 그 친구를 교회로 데리고 올 수 있게 기도해 주세요.” 내가 지도하고 있는 중학교 1학년 제자가 건넨 기도제목이다. 구체적으로 무엇을 기대했고, 반대로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모르겠으나, 하나님께 실망한 10대 소녀의 마음을 얼마나 아플까?

그러고 보니 내 10대 시절도 그랬다. 모두가 즐거워야 할 설 명절. 오히려 하나님은 내 아빠를 교통사고로 불러가셨다. 그때 내 나이 13, 국민학교 6학년이었다. 사람이 너무 기가 막히면 눈물도 나지 않는다는 것을 나는 그때 알았다. 어린 나이 상주 노릇을 하며 조문객을 맞는데 눈물샘이 터지지 않았다. 그러나 사람 앞에서는 눈물을 보이지 않았지만 하나님 앞에서는 울었다. 영안실 옆 성당으로 향했다. 내 속마음을 드러내보이기라도 하듯 하늘에서는 폭우가 내렸다. 2월의 어느 날 온 몸으로 맞는 비는 정말 추웠다. 성당 안으로는 감히 들어갈 생각도 못하고 밖에 무릎을 꿇고 하염없이 울부짖었다. “? 그러시냐고? ? ?”

시간이 약이라고 했던가? 눈물이 상처가 되어 흔적은 남았지만 더 이상 아프지는 않았다. 저자가 고난에 대한 잘못된 접근법이라고 누누이 말했지만, 내 경우에는 달랐다. 그때는 이해할 수 없지만 결국 이것도 하나님의 선한 계획의 일부임을 믿음으로 받아들이게 되었다(203). 하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그 동안 고요히 가라앉아 있었던 항의가 스멀스멀 일어났다. 그렇게 믿었던 건 이유가 타파되어서가 아니라 그냥 그렇게 믿는 것이 편했기 때문이었다. 또한 숱한 삶의 타격 앞에 힘들어하는 자에게 나도 이렇게 극복했다는 말이 얼마나 무정하고 잔인한 것인지도 알게 되었다. 그러면 고통으로 씨름하는 자에게 어떻게 말해주어야 할까?

토마스 G. 롱은 <증언하는 설교>로 유명한 설교학자다. 설교학자가 고통을 어떻게 다룬다는 걸까? 의아하다. 허나 그래서 더 매력적이다. 그가 말한 대로 이 책은 설교자가 고통에 대해 무엇을 말할 수 있고, 말해야 하는지를 다룬다(16). 곳곳에 성도와 함께 호흡하는 목회자의 따뜻한 돌봄이 주의를 끈다. 그의 말을 들어보자. “이 책은 설교적 충언이다. 궁극적으로 성도와 같이 서 있어야 하는 설교자들과 함게, 사랑의 하나님을 믿는 것이 고통 받는 세상에서의 삶의 진실들과 어떻게 한데 어울릴 수 있는지를 생각해 보려는 노력이다.”(18).

롱은 고통의 문제를 알곡과 가라지 비유로 풀었다. 풀기 위해 세 가지 질문을 던진다. 첫째 하나님 당신이 원인이십니까?” 답부터 말하면, 아니다. 원수가 원인이다. 그는 말하기를 하나님이 이 악을 의도하지 않으셨고 이 악의 원인도 아니시며 이 악이 하나님으로부터, 심지어 그의 왼손으로부터도 오지 않았다는 사실이다.”(204) 그러면 이 원수는 도대체 어디서 온 것일까? 롱은 우리에게 비쳐진 빛의 한계를 설정한다. 그래서 악의 근원은 아쉽게도 그에게서는 찾을 수 없다.

둘째 질문은 우리는 이것을 바로잡을 수 있을까?” 답부터 말하면, 없다. 인간에게는 가라지를 뽑아낼 말한 능력이 없다. 인간이 그렇게 할 수 있다는 것은 오만이다(214). 그래서 주인은 가만히 두라고”(13:29)했던 것이다. 상황이 이쯤 되면 또 다시 첫 항의로 돌아간다. 그러면 하나님이 모든 고통과 악의 가라지를 뽑아 버리시면 되지 않는가? 왜 그렇게 하시지 않는가? 이에 대해 저자는 하나님은 우리가 그분에게 원하는 방법대로 그렇게 하실 수 없기 때문이다”(219-220)이라고 답한다. 이 말은 내가 생각할 때 이 책의 백미다.

그는 인간이 원하는 방식으로 역사하는 하나님은 더 이상 성경이 말하는 하나님이 아니라고 단언한다(220). 사실 고통 앞에서 우리는 우리의 방식을 투사한다. 하나님이 그렇게 하셔야 한다고 격분한다. 그러나 저자는 우리가 원하는 방식대로 일하시는 하나님을 생각해 보라고 제안한다(221). 어떤 세상이 될까? 저자의 말이다. “모든 질병, 탐욕, 폭력, 증오, 나태함을 잘라내시며 큰 칼을 든 무자비한 농부로서 모든 가라지를 쳐내러 오신다고 가정해 보라. 그 누가 견딜 수 있겠는가? 우리 모두가 악과 얽혀 있다. 그런데도 하나님이 악을 뿌리 뽑기 위해 복수심을 불태우며 오신다면 살아남을 사람이 있겠는가? 따라서 하나님이 우리가 드리는 기도에 대해 우리가 상상하는 식으로 응답하지 않으시는 것을 은혜로 여겨야 한다.”(221)

마지막 질문은 언제까지 이런 식으로 계속될 것인가?” 종말의 때까지 지속된다. 가라지는 영원하지 않다. 종말의 때 하나님께서 복수해 주신다. 그렇다고 그때만 바라볼 순 없다. 지금 이 순간도 하나님은 악을 다루고 계신다. 어떻게? 겨자씨와 누룩처럼 비밀스럽게, 몰래, 서서히 변화되다가 마침내 큰 나무가 될 것이다. 그것이 바로 십자가의 굴복을 통한 역설적 승리인 것이다.

원제목 “What Shall We Say”를 고통과 씨름하다로 번역했다. 탁월하다. 고통의 문제가 호락호락하지 않을 것이라 예상은 했지만 책을 덮으면서 여전히 고통스럽다. 저자는 줄곧 쓰나미, 대량학살 등과 같은 큰 주제를 던졌다. 그런데 결말에서 탐욕, 폭력, 증오, 나태함과 같은 개인적 수준으로 축소하여 결론짓는 것이 못내 아쉽다. 뭔가 시원함을 기대했는데 조금은 아쉽다. 그만큼 고통의 문제는 씨름해야 하는 것이기 때문이리라. 그러나 지금도 숱한 고통으로 씨름하는 자들이여 이 책으로 씨름해 보자. 그래서 고난 당하는 이와 함께 있어주는 것을 넘어 무슨 말이라고 건네 보자(6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