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전 자전 고전 - 아버지와 아들, 책으로 말을 걸다
김기현.김희림 지음 / 홍성사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제목을 따라 두 가지로 이 책을 정리하고 싶다. 책을 읽는 내내 이 생각을 지을 수 없었다.

첫째는 부러움이다. 이는 부전자전(父傳子傳)에 기인한다. 검색창에 부전자전을 넣어보니, “아버지가 자신의 태도나 성향을 아들에게 대대로 전함”, “그대로 아들에게 이어지다.”로 나왔다. 아들 희림 군이 칼이 아닌 책을 들고 고전 무림의 고수로 그려지는 것은 개인의 부단한 노력 덕분이기도 하지만 분명 아비 김기현 목사의 영향이 크다. 그렇게 아비는 자신이 몸소 책읽기를 보여줌으로 아들에게 살아있는 교육을 시켰다. 아들 또한 아비의 모습을 자신의 양식으로 삼아 쑥쑥 자라 이젠 아비와 제법 팽팽한 책배틀을 벌인다.

어린 아들이 엄마에게 숙제가 무엇이냐고 묻는 질문에 엄마는 아빠가 숙제라고 답하는 광고를 본 적이 있다. 내겐 아들이 숙제다. 고등학생 쯤 되니 소리친다고 되지 않는다. 되레 아들의 화려한 입 논리에 역공을 당한다. 너 인생이니, 이젠 네가 알아서 하라는 체념의 마음까지 든다. 최근에 아들과 나눈 대화를 복기해 보니 시간도 한 없이 짧고 내용이라고 할 것도 없다는 사실에 놀랐다. 그러고 보니 자전(子傳)이 아니라 부전(父傳)이 먼저임을 새삼 깨닫는다. 아들과 책으로 대화를 할 수 있다는 사실에 한없는 부러움과 동시에 아비로의 존재를 다시 돌아보게 한다.

둘째는 도전이다. 이는 고전(古典)에 기인한다. 머리말에서 아들 희림 군은 책에 실린 20권이 초대장이 되기를 바란다고 했다. 맺음말에서 아비 김기현 목사 또한 여기에 소개된 텍스트를 꼭 읽어보라고 한다. 역시 부전자전이다. 아니 순서상으로는 자전부전이다. 20권의 고전 중에 제대로 읽은 것은 구약성경 <하박국>이 유일하고, 그나마 넘겨보기라도 한 것인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 칼빈의 <기독교강요> 정도이다. 제목이라도 들어본 것이 있지만 거의 대부분은 제목도 생경하다.

저자들의 말마따나 소개된 책을 읽어보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다. 그러면 적어도 이 책은 내게는 성공이다. 분주한 목회 일상과 실용적인 책읽기에 급급한 상황에서 얼마만큼 밀고 갈 수 있을지 자신은 없지만 한번 도전해 보리라. 그리하여 20권까지는 아니어도 나의 아들과 함께 단 한권의 책이라도 소재삼아 대화할 수 있는 날이 오기를 고대해 본다. 멋진 기획과 좋은 내용으로 탁월한 책을 또 다시 보여주신 김기현 목사님과 아들 희림 군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