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주식투자 재무제표.재무비율.투자공식 - 현명한 가치투자자를 위한 재무손익.투자 교과서 대한민국 주식투자 성공시리즈 5
류종현 지음 / 한국주식가치평가원 / 201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목차]

1. 성공투자의 기본 재무제표와 투자공식 개요

2. 3대 재무제표 요어 설명

  1) 재무상태표 ,  2) 손익계산서  3) 현금흐름표

3. 재무손익 비율

 1) 안정성  2) 수익성  3) 활동성

4. 가치평가 용어및 공식 설명

 1) 주당가치표   2) 가치평가 공식 

5 기타 투자용어

------------------------------------------------------------------------------


ㅇ 기업의 지분중 일부를 주식으로 소유

 - 가치상승 투자수익 or 저평가 ->  고평가 순수 거래수익


ㅇ 채권자는 재무상태표, 투자자 손익 계산서


ㅇ 회계는 발생주의 기중이나 예외는 현금흐름표만 현금주의 즉 그 시점의 현금흐름만을 나타낸다


* 원재료- 반제품(판매가능 중간제품) - 제품(직접 제조하여 판매) - 상품(완제품 구입 판매)


ㅇ 비유동자산 종류

 - 투자자산 (사업 영위에 필요한 자산이 아닌 경우), 비유동자산은 전략적인 수익창출 자산이다,

  특정 회사의 주식  ↑ 경영권 지배수익 공유

 - 무형자산 비중 ↓ 투자자 ok (100억 자산 - 150억 인수 50억 영업권 인정, 현금 유출없음)


* 재무상태표의 오른쪽 즉 부채+자본을 어떻게 조달할것인가? 


ㅇ 유동부채

 - 매입채무: 상품이나 원재료를 제조 판매 활동과 관련된 재화 외상 거래 =/ 매출채권

 - 단기차입금: 수익성이 좋은 기업에 한하여 적절한 차입금이 경영에 도움

 - 장기부채: 1년 이상의 부채


ㅇ 영업과 무관한 단기 금융부채

 -단기차입금, 단기사채, 유동성 장기 부채대비 

 - 비유동 부채의 비율이 ↓ 기업이 좋다


ㅇ 사채- 직접금융/ 차입금-간접금융

 -CB(전환사채) 주식전한 가능 사채/ BW(신주인수권부사채) 주식 인수할 수 있는 권리 부여 사채


ㅇ 부채:채권자로부터 빌린 자본금을 말한다 


ㅇ 기업/ 자본금(자기, 타인) 주주이외 채권자는 주채 즉 타인 자본이다.


* 이자를 발생시키는 부채를 조심하자.- 차임금, 사채, 유동성 장기부채


* 우선주는 의결권이 없는 대신에 보통주보다 운선하여 배당을 지금, 꾸준히 배당을 지금하여야 하는 우선주의 특징은 사채, 

 차입금의 특성과 유사하다


ㅇ 기업은 주식 발행을 통해 자본금이 증자된다. 그러나 기존 주주들의 주식 가치를 희석시킨다


* 유상증자: 순이익 대비 주식수 증가는 주가 급락의 원인이 된다 또한 무상증자는 보유주식수를 늘려서 주가는 하락

  주주가치는 변함 없다


ㅇ 자본잉여금 ↓ 주주로부터 끌러들인 돈이 작다


*  자본조정: 자사주를 매입하는 기업에 투자하라 즉 매입된 자사주는 소각되어 사라지거나 회사에 보유핞 다시 시장에 

   팔리게 된다 소각시 주주가치 증대 효과/ 싸게 사서 매입하는 것도 주주가치 ↑


ㅇ 산업의 성숙기 시점은 적절한 배당이 필요


ㅇ 자본의 또다른 이름: 자기자본, 순자산, 장부가, 주주지분이 같은 의미로 쓰인다


ㅇ 주식 투자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 자기 자본이다.


ㅇ 매출액: 수량 혹은 판매가 ↑, 판관비 중 인건비(본사) 매출원가(노무비)는 다르다


ㅇ 영업비란 매출원가+ 판관비이다


ㅇ 지배기업: 산하에 종속기업이나 관계 기업/ 종속기업: 회사지분 50% 관계사 20~50% 보유

    종속기업+ 관계사가 자회사이다


ㅇ 법인세 과세 기준: 2억 10% 200억 20%


ㅇ 기업의 재무회계와 세금산출의 세무회계는 다르다


ㅇ 당기순이익(매출원가-판관비- 영업외비용- 법인세 비용)


ㅇ 당기순이익의 유보는 재투자를 의미한다


*IFRS: 유럽식 회계는 경영주체/ GAPP: 미국식 회계는 주주 즉 자본가의 주체


* 손익계산서는 발생주의=/ 현금흐름표는 현금주의

 - 영업활동 현금흐름: 감가상각비는 현금유출이 아니라 더해준다

 - 투자활동 현금흐름: 공장, 기계설비등

 - 재무활동 현금흐름: 주식 증자, 차임금 상환


ㅇ 영업자산: 매출채권+ 재고자산+ 매입채무/ 매출채권 ↓ 현금 ↑ 당기순이익 ↑


ㅇ 좋은 기업이란 새로운 시장 새로운 상품으로 성장시키는 기업이다.


* 주주에게 불리한 자금: 차입금, 사채, 유상증자, 전환사체


ㅇ 기업의 수익을 채권자에게 배분

 - 차입금 ↓ 사채 , 채무경감


ㅇ 배당금 지급

 - 자본총계 ↓ 당기순이익 자기자본이익율 ↑ 주주가치 제고


* 안정성 비율:

 - 부채 100% ↓, 순부채 비율30%(이자발생 부채에서 현금및 예금 차감) 

 - 이자발생 부채는 은행차입금, 증권사채,없는 부채는 매입채무, 무차입경영이다 자기ㅈ본비율이 50% ↑

 

* 수익성 비율

 - ROE: RETURN OF EQUITY (자기자본 이익율)- 순이익/자본총계

 - ROA: RETURN OF ASSET (총자산이익율) = 순이익/자산총계

 - ROC: RETURN OF CAPITAL (투하자본이익율)= (세후영업이익÷영업투하자본)×100


* 성장성 비율

 - 영업이익 증가율, 순이익 증가율, 유형자산 증가율, 총자산 증가율, 자가지번 증가율= 주주의 몫이 ↑(ROE)


ㅇ 주당 가치표

 - EPS: 주당 순이익=순이익/주식수

 -현재 주가를 주당 순이익으로 나누면 현재의 PER가 된다

 - 당기순이익÷ 발행주식수


ㅇ 가치 평가 공식

 - PER: 주가수익비율=주가÷ 주당순이익 / 주가가 10,000 ÷1000= 10배

 - PBR: 주당순자산= 주가÷ 주당 순자산/ 청산가치 확인시 참고


ㅇ EVI/EBIT

 - EV (인수할 기업가치) 를 EBIT (법인세, 이차 차감전 영업이익)

 - 기업의 인수금액이 영업의 손익을 가감하지 않은 순수한 영업이익


ㅇ EVI/EBITDA

 - EV÷EBITDA : 인수가치를 법인세, 이자, 감가상각전 영업이익

 - (시가총액+순차입금)÷ (영업이익÷ 유무형 감가상각비)


ㅇ 배당성향=/ 사내보유율

  - 배당율= 1주당 배당금이 얼마가 되는지를 나태내는 지표

  - 배당수익율= (주당배당금 ÷ 주가) *100%/ 배당으로 인한 진정한 수익율5%


 ㅇ 유상증자

  - 기업이 주주에게 신주를 나워주고 자금을 받는것(운영자금 불필요)

  - 기존 주주의 이익 침해

  - 특정 제3자 배정

  - 기존 주주 포함 일반 투자자 신주배정 없다


 ㅇ 무상증자

  - 발행주식수 으르고 시가총액은 똑같다

  - 주식수가 늘어나 거래는 활발해지나 기업가치 변화는 없음


 ㅇ 우선주: 의결권이 없으나 배당우선


 ㅇ CB: 전환사채

  - 지금조달 채권 주식전환 조건/ CONVENTIBLE BOND

 ㅇ BW: 신주인수권부 사채

  - 기존 채권 유지 추가 주식 매입 조건

 ㅇ 주식 투자자 =수익성과 활동성이 좋은 기업

  - 저평가 주식/ 수익성 주식/ 성장성 확인


* 성장성: 총자산 증가율, 매출액 증가율

* 수익성: 영업이익율, 자기자본이익율

* 안정성: 자본금 총액, 부채비율

* 활동성: 매출채권 회전율

* 생산성: 총 자본투자효율


      구분

 그레엄  워렌버핏  필립피셔
      내용

 저 PER 
저평가 종목중 부채비율중 유동비율이 좋은
배당수익율이 높은

 자기자본 순이익율, 영업이익율, 투자수익율, 마진율
재고자산 회전율, 매출채권회전율
 매출액 성장율, 매출액 연구개발비
경쟁사대비 영업이익율 


------------------------------------------------------------------------------


Q1 숫자에 익숙해지자. 투하자본 인풋에 가치를 더한 아웃풋을 만들어 내는 숫자감각이 필요해

Q2 기업의 언어는 회계이고 회계는 숫자고 숫자는 진리이다.!!!

Q3: 10번만 더 읽어 보자 피가되고 살이 될꺼야~~~

Q4: 재무제표항목+ 재무손익비율+ 가치지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