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틸니스 - 잠재력을 깨우는 단 하나의 열쇠
라이언 홀리데이 지음, 김보람 옮김 / 흐름출판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잠재력을 깨우는 단 하나의 열쇠

지리상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나 성격이 얼마나 다른지와 무관하게 거의 모든 고대 철학은 완벽하게 동일한 결론을 내렸다

기원전 500년에 공자의 가르침을 받은 제자든, 그로부터 100년 뒤에 고대 그리스 철학자 데모크리토스의 가르침을 받은 제자든, 그로부터 한 세대가 흐른 뒤 에픽부로스의 정원에 앉아 있던 제자든지 간에 하나같이 침착함과 차분함, 평온함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는 가르침을 듣게 될 것이었다

불교에서는 이를 우뻬카라고 하고 이슬람교에서는 아슬라마라고 부른다

그리고 영어로는 스틸니스

세상이 빙글빙글 돌아도 흔들리지 않는 것. 흥분하지 않고 행동하는 것. 반드시 들어야 할 소리만 듣는 것. 안팎으로 평온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 동양에서 말하는 도와 고대 그리스 철학과 신학에서 말하는 로고스를 활용하는 것

최고선이자 탁월한 성과, 행복한 삶의 비결로써 내면의 평화인 스틸니스, 즉 내면의 '고요'를 숭상하지 않은 철학의 학파나 종교를 찾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우리 안의 고요를 찾아내려면 우리는 세 가지 영역에 집중해야 한다 그건 바로 정신과 영혼 그리고 몸이다

당신도 고요를 원하고 있으며 또 충분히 얻을 자격이 있다

P49 현재에 집중하지 못한다 그래서 놓치고 만다
삶을. 최고의 순간을. 눈앞에 있는 소중한 것들을

기억해야 한다 굉장한 일이 미래에서 당신을 기다리는 일은 없다 명료함도 통찰력도 행복도 마찬가지다 오직 지금 이 순간만 존재할 뿐이다

지금 이 순간을 붙잡아라

과거를 후회하거나 미래를 걱정하며 낭비하는 에너지가 적을수록 눈앞에 놓인 일에 쏟을 수 있는 에너지는 더 많을 것이다

P129 우리의 마음이 펄펄 끓고 있거나 우리의 영혼이 공허해 고통받는다면 고요는 우리 안에 오래 머물지 못하고 금세 사라져버린다 우리 내면에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보지 못한다면 우리는 세상에 무엇이 필요한지도 볼 수 없다 더, 더, 더 많은 것을 갈망하는 욕구가 구더기처럼 우리의 영혼을 갉아먹는다면 우리는 그 누구와도, 그 무엇과도 조화롭게 지낼 수 없다
"거짓말을 일삼는 인생을 산다면 인생은 전혀 즐겁지 않습니다"
훗날 타이거 우즈가 말했다 균형을 잃은 삶은 재미가 없다 오로지 자기 자신만 위하는 삶은 재미없는 삶보다도 훨씬 못하다 그런 삶은 불쾌하고 공허하다 타이거 우즈는 단지 고독한 사람이었던 게 아니라 현대 사회를 사는 우리처럼 섬 같은 존재였다

우리의 영혼은 행복과 불행, 만족 혹은 공허를 담는 곳이며 궁극적으로는 고귀함의 정도를 결정하는 곳이다
우리는 반드시 좋은 영혼을 유지해야 한다

P228 우리가 우리 몸을 돌보지 않는다면, 적절히 중심을 맞추지 않는다면 우리가 지적으로나 영적으로 얼마나 강한지는 전혀 중요하지 않게 된다

몸을 올바른 위치에 두려면 마음과 정신을 바르게 해야하는 것처럼, 우리의 마음과 정신을 올바른 위치에 놓기 위해서는 습관, 행동, 의식, 자기관리를 통해 우리의 몸을 바르게 관리해야 한다
정신, 마음, 몸은 삼위일체이다 각 부분이 서로서로 의존하는 거룩한 삼위일체

세상의 모든 위대한 지도자, 사상가, 예술가, 운동선수, 선지자가 가지고 있는 공통된 능력, 스틸니스는 고요를 취하는 능력이다
동서고금의 고대 철학, 종교, 존 F 케네디, 타이거 우즈, 윈스턴 처칠, 안네 프랭크 등 유명인의 일화를 통해 '내면의 고요'를 찾는 방법을 대해 이야기한다
어렸을 때 교회에 다녔었는데 그때 교회에 나갔던 이유가 마음의 평안을 찾기 위해서였다 그 시절 왜 그리도 예민했었던지 이리저리 치이고 상처가 많았던 것 같았다
지금은 나이가 들어서인지 많이 무뎌지기도 했지만 나 스스로도 마음 쓰이는 것들은 차단한다
그 어느 때보다 불안하고 혼란스러운 지금 잠재력을 끌어올리고 내면의 평화와 행복을 찾는 해법을 제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