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년생 김 팀장과 90년생 이 대리가 웃으며 일하는 법 - 자꾸 눈치 보게 되는 90년생과 일로 행복해지는 비결
김범준 지음, 박진수 자문 / 한빛비즈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꾸 눈치 보게 되는 90년생과 일로 행복해지는 비결

P51 이전 세대가 훈장처럼 하는 말이 있다 "내가 당신 나이 때에는...", "옛날 옛적에 말이야...", "내가 해봤는데 말이야..." 등이다 그런데 그거 아는가 70년대생, 80년대생이 자랑스럽게 '무용담'이라고 펼쳐놓는 이야기들의 상당수가 90년대생에게는 '도대체 이해할 수 없는 괴담'으로 들릴 수 있다는 것을 말이다

90년대생과 대화하려는 모든 분에게 꼭 말하고 싶다 '한때의 왕년'을 떠올리는 말들을 하고 싶은 자신을 발견했다면 즉시 부끄러워하라고. 당신만의 추억은 당신의 마음속에서나 아름다운 법이다 타인에게 당신의 추억을 강요하는 순간, 추해진다는 걸 알았으면 좋겠다

P57 90년대생은 이전 세대와는 살아온 날들부터 다르다

80년대생은 '웹web' 세대다 반면 90년대생은 '앱APP' 세대다 작은 차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작은 차이 하나에서부터 이질감이 발생하는 법이다 노트북을 켜서 인터넷에 접속하는 데 걸리는 시간에 비해 애플립게이션을 터치한 후 자신이 원하는 사이트에 접속하는 것은 상당한 차이가 있다 그래서일까 90년생은 80년대생에 비해 즉각적이며 합리적이다 관계도 마찬가지다 '왜 저렇게 말을 하지?', '왜 저렇게 행동하지?'라는 생각이 들면 관계를 끊는 것도 빠르다
'너와 나의 거리'를 잘 잴 줄 알며, 그만큼 '너와 나의 영역'을 존중한다 자신의 영역이 침해된다면? 그건 그들에겐 불편함을 넘어 모욕이다

P204 90년대생을 부르는 단어가 하나 있다 '트로피 키즈'라는 말이다 어린 시절부터 독서, 봉사, 바른생활은 기본이요 줄넘기, 축구 생활 스포츠 대회에 이르기까지 종류도 다양한 트로피나 상장을 빈번하게 타본 경험이 있음여 주목해서 나온 이름이라 한다 실제로 그들에게 회사 생활 중 언제 보람을 느끼는지를 물어보면 '회사의 성과에 기여했을 때' 혹은 '사회에 보탬이 되는 역할을 했을 때'가 아니라 '상사 혹은 주위 동료들로부터 칭찬을 받거나 인정을 받았을 때'란 응답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고 한다

이제 90년대생과 대화할 때 '지나치게 개인주의적이다', '끈기가 없어 쉽게 싫증을 낸다'라면서 충고, 조언, 타박, 지적질 하는 것은 그만두도록 하자 대신 그들의 장점을 아낌없이 찾아내어 칭찬하고 격려하며 인정하고 수용하는 태도를 보이도록 해보자 변화는 90년대생에게 강요하는 게 아니라, 90년대생을 대하는 이전 세대들로부터 시작된다

낀 세대 김팀장과 밀레니얼 세대 이대리 달라도 너무 다르다
제목만 봐도 알수있듯이 이 책은 80년생 김팀장과 90년생 이대리가 웃으며 일할 수 있는 비결을 여러 상황의 사례를 예로 들어 보여준다
많은 월급보다 삶과 일의 균형을 중요시하고 누구의 부하도, 누구도 부하로 두지 않는 90년생 그들을 좀 더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살아온 환경도, 일하는 방식도, 삶의 목표도 다른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할 때 행복하게 일할 수 있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