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의 미래, 컬처 엔지니어링 - 질문하는 문화를 어떻게 만들 것인가?
폴 김 외 지음 / 동아시아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질문하는 문화를 어떻게 만들 것인가?

P62 저는 리스크와 실패는 혁신 주기innovation cycle의 단순한 부분이 아니라 필수적인 영양소라는 말을 자주 해요 그래서 혁신의 범위를 정할 때 어느 정도까지 관용을 가질 것인가를 정합니다 스탠퍼드나 실리콘밸리 쪽에는 "실패가 없으면 배움이 없다"라는 얘기를 항상 하거든요 그래서 실패의 기회 자체를 갖지 않으려는 리스크 회피는 혁신에 있어 가장 나쁜 것으로 봅니다 그런데 '새로운 실패'를 하는 것에 대해서는 상당히 관용적입니다 혁신의 필수 영양소이기 때문이죠
그 대신에 실패를 통해서 모든 연구에 대해서도 그렇고 투자에서도 그렇고 이를 개선할 방법을 찾기 위해 최선을 다해 노력합니다
흥미로운 것우 스탠퍼드에서는 1,000개 아이디어들의 해법이 모두 혁신적이라 생각돼도 그게 다 성공하지 않는데, 전문가 입장에서는 실패할 게 보이면서도 많은 투자를 해요 특허 비용이 엄청 드는데도 다 해줘요 변호사도 대주고 다 해줘요 그런데 99퍼센트가 망하거든요 미국 유명 대학들의 성공 사례만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사람 사는 곳은 비슷해서 흥하는 일보다 망하는 일이 새로운 사업에서는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그런데 그것을 전폭적으로 지원한다는 게 스탠퍼드의 힘이죠 왜 그렇게 하는가, 어떻게 그렇게 할 수 있는가 하면, 99퍼센트의 망한 자금을 구글 같은 1퍼센트 협신 기업의 출현이 모두 보상해주기 때문이죠 그런 식으로 한 번 터져주면 수만 배의 효과를 세상에 나눠주고, 또 수천 개의 회사를 만들었는데 실패하더라도 구글 하나로 다 커버가 되는 거죠
스탠퍼드에는 OTL이라는 곳에서 모든 특허 업무를 해주고 있는데 비용이 엄청납니다 그것을 감당할 수 있는 이유는 1퍼센트의 성공이 99퍼센트의 실패를 보상해줄 수 있기 때문이에요

P115 이 시대에 특히 중요해진 것이 STEMscience,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분야 인재죠

대학교에서 좋은 인재를 영업하려면 한국은 초중고에서부터 반드시 개선이 필요합니다 정말로 아주 절실하게 필요하다고 보여요 지금 입시 위주로 객관식 정답 찾기 하는 방식으로는 절대로 STEM 인재가 생겨날 수 없고, 이런 교육 체제하에서 학생들이 STEM을 좋아하게 될 수도 없어요

능동적인 지적 질문이 하나도 없는 시험용 수업은 별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P136 알리바바는 실제로는 수많은 작은 조직들의 집합체라는 거예요 이들 작은 팀 조직들이 서로 내적으로 경쟁하는 체제라고 합니다 마윈은 그냥 대표라는 거예요

요새 기업에서 화두로 삼고 유행하는 용어로 애자일Agile 조직이라는 게 있죠 '유연하고 신속하다', 이런 뜻인데 결국 그건 다양성이 핵심이에요 한 사람의 힘, 하나의 생각에 의존하지 않누 거죠 지금 플랫폼 경제에 들어와서 우리에게 필요한 조직이 애자일 조직이에요 그러려면 다른 생각을 가진 팀들이 조직 내에서 경쟁하고 공존해야 해요 알리바바처럼 A, B, C, D 팀이 똑같은 이슈지만 다른 생각으로 경쟁을 해서 새로운 것을 만드는 게 기업 혁신의 핵심입니다

P159 사회적 신뢰가 바닥이고, 특히 교육시스템에 대한 불신과 불만이 엄청난 사회에서는 교육을 행복 추구의 관점에서 전혀 생각하지도 못하고 받아들이지도 못하죠 피땀 흘려서 노동하듯이 입시 공부를 해서 대학에 가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죠 지금 21세기에 공부를 고통스러운 노동으로 생각하고, 게다가 학교에서 모든 아이에게 똑같은 방식의 노동을 시켜요 인공지능 시대에 말이죠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고통스러운 노동으로 공부해서 대학에 가는 게 아니라, 자기가 좋아하고 원하고 잘하는 것을 발견하는 교육이어야 되거든요

학교에서 협동 정신을 못 배우고, 남 짓밟고 올라가 저만 일등하면 끝이고, 대화를 통해 타인을 설득하고 신뢰를 바탕으로 친구를 대하는 훈련을 해본 경험이나 공감 능력이 없는데, 어떻게 어른이 되어서 사회적 신뢰를 구축하는 사람이 된단 말인가요?

교육공학자, 국제 개발 협력가, 인간사회개발디렉터, 인문학자
각자의 분야에서 최고의 경력과 경험을 쌓은 네 명의 저자들이 우리 한국 사회 문화와 교육 그리고 미래에 대해 대화를 한다
우리 나라 문화와 교육에 대한 약점과 개선해야 될 점이 드러나고 나아갈 방향이 제시된다
교육의 혁신, 변화를 위해 문화를 재정비해야 한다 사람들의 사고방식, 대응방식, 의식의 고착화는 쉽게 바뀌지 않는다 변화와 혁신을 가로막고 있는 문화적 관성과 약점을 찾아 고찰하고 탐구할 수 있어야 한다
AI와 4차 산업혁명 시대, 인재가 없다고 한다 그리고 지금 우리 나라 교육으로는 스티브 잡스 같은 사람이 나올 수 없다고 한다 '대전환' 시기를 맞은 우리 아이들의 미래를 위해 함께 생각하고 고민하고 답을 찾아가야 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