뭉크 - 노르웨이에서 만난 절규의 화가 클래식 클라우드 8
유성혜 지음 / arte(아르테)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노르웨이에서 만난 절규의 화가

나는 보이는 것을 그리는 게 아니라 본 것을 그린다

뭉크가 남긴 많은 글 가운데 그의 예술을 가장 집약적으로 나타내는 문구이다 뭉크는 당시 대부분의 화가들처럼 풍경이나 사물을 눈에 보이는 대로 그리지 않았다 다시 말해, 대상을 관찰해서 그리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본 것, 자신어 기억을 그리려고 했다
기억이란 감정과 생각에 따라 만들어지는 것이며, '기억을 그린다는 것'은 그림의 대상이 화가의 뜻대로 '해석'되고 '편집'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뭉크의 그림이 바로 그러했다

P57 많은 이들이 오해하듯, '절규'라고 번역한 사람 역시 그림에 등장하는 인물이 소리를 내는 것으로 생각한 것 같다 그러나 뭉크의 노트에 따르면, 소리를 내는 쪽은 인물이 아니라 자연이다 인물은 자연에서 들려오는, 소리 없는 비명을 듣고 있는 것이며, 그 거대한 비명에 괴로워하며 두 손으로 귀를 막고 있는 것이다

거대한 자연 풍경에서 작가가 직접 경험한 강렬하고 비실체적인 감정을 색과 형태의 왜곡으로 표현했다는 점에서 뭉크의 <절규>는 독일 낭만주의, 상징주의, 종합주의, 나비파와 연관되어 언급되지만 어느 사조와도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다 이렇듯 다양한 사조의 영향을 흡수하면서도 독특한 화풍을 드러낸 <절규>를 비롯, 자신의 경험을 형과 색의 왜곡을 통해 시각화한 뭉크의 그림들은 새로운 움직임을 갈구하던 젊은 독일 화가들에게 신선한 자극을 주었다

P146 넓은 땅에 비해 인구가 적고 산악 지대가 많으며 춥고 눈 내리는 겨울이 길어 사람들 간의 이동과 교류가 적었던 탓인지, 전통적으로 노르웨이인들은 혼자 보내는 시간이 익숙하고, 또 그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혼자라는 것에 대해 외롭고 심심하다는 등 부정적인 느낌보다는 평화롭고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이 고립과 고독을 즐기는 노르웨이인들의 특성은 뭉크의 그림에서도 자연 풍경을 바라보며 홀로 사색과 고독을 즐기는 인물의 형태로 자주 찾아볼 수 있다

뭉크에게 예술적 영감을 준 곳이 바로 오스고쉬트란드였다 "오스고쉬트란드를 걷는 것은 내 그림들 사이로 걷는 것과 같다 오스고쉬트란드에 있을 때 나는 그렇게 그림이 그리고 싶다"라고 말했을만큼 뭉크는 이곳의 풍경을 사랑했다

'그알못'이라 뭉크는 #절규 밖에 몰랐다 그의 그림은 다 어두운 그림만 있는 줄 알았는데 다양한 버전과 시리즈로 그려졌다니 읽는 내내 흥미로웠다

많은 화가들이 사후에 빛을 본 것과 달리 살아있을 때 국내외서 유명했지만 스스로 외롭고 고독한 노후를 보냈다니.... 그러했기에 많은 작품이 탄생했으리라

'작품'으로만 보았던 '뭉크'
그의 인생을 통해 그의 작품을 보니
새롭게 보인다 클래식 클라우드 시리즈가 의도했던 바를 너무나 잘 보여주었던 뭉크
이 시리즈 읽을수록 빠져든다

노르웨이가 준 자연으로부터 받은 개인적인 인상들을 재창조해내는 예술의 선구자였던 뭉크, 가족의 죽음 사랑과 이별 그의 삶의 경험으로 탄생한 많은 작품들을 알게 되어 너무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