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만강 아리랑 - 항일독립전쟁 유적에서 외치는 광복 70주년의 함성
최범산 지음 / 주류성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일강제병합, 연해주, 만주, 분단 그리고 중국의 동북공정과 현재의 주변국을 둘러산 국제상황.
이렇게 짚어보면 한결같이 암울한 주제이다.

 

이런 상황에서 근래, 북한의 위성체 발사에 따른 우리나라의 일련의 대응을 볼 때, 중심이 되어 중장기적으로 국가와 민족을 위한 최선책을 고민한 후 정책결정을 내렸으면 좋으련만, 개성공단폐쇄 조치의 단추를 눌렀으며, 사드의 배치를 정부주도로 진행하는 뉘앙스로 보여주는 등 여전히 대한독립, 자주독립국가가 맞기는 한건가 하는 의문을 지울 수 없는 없다.

 

 

이런 상황에서 이 책 한일독립전쟁 유적에서 외치는 광복70주년의 함성이라는 부제의 두만강 아리랑을 읽고 있느라니 치밀어 오르는 부아를 잠재우는 것이 여간 곤욕스러운게 아니었다. 또한 이 책을 읽으며 100년도 채 안된 시기에 있었던 비참한 상황이 이를 극복하려던 조상들의 피가 서린 역사 현장에 서 있는 느낌을 받을 수 있었다.

 

 

굵직한 흐름으로는 하얼빈에서의 안중근 특파대장의 이등박문 사살과 관련된 역사, 윤동주 시인을 배출한 용정을 둘러싼 독립운동 역사,  항일독립전쟁의 횃불을 밝힌 봉오동전투와 그 영웅들,  청산리 전투와 그 역사, 분노를 일게 하는 북간도 한인대학살의 참상들,  북간도와 연변에서의 항일독립전쟁 역사, 그리고 두만강까지.  북한과 중국, 러시아의 경계를 잇는 곳에서의 항일 독립운동의 유적을 따라 나선 저자 최범산의 역사기행 또는 성지순례기로 볼 수 있다.
다렌,뤼순에서부터 두만강 끝 동해에 이르기까지, 현재 남북을 합친 우리 나라보다도 더 넓은 면적에서 있었던 항일독립투쟁의 역사 흔적을 쫓아 기나긴 시간 동안 축적한 항일 독립전쟁 역사를 현재와 과거 사진을 포함하여 생생하게 담아내었다.  책을 통해서 읽는 것만으로도 가슴 답답한데 실제 기행하며 느꼈을 감동과 눈물을 같이 보고 있는 듯하다.

 

 

익히 알았던 독립투쟁역사라면 그 흔적을 보다 상세하게 쫓을 수 있을 것이며, 한 두번 들었던 내용이었다면 보다 자세히 알게 될 것이며, 들어보지도 못했던 역사의 현장에 서 있는 생생함으로 몇개의 역사는 새롭게 접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예로 민족주의계 무장조직 조선혁명군을 이끌고 일본경찰서, 친일악질재산가, 밀정, 일본인 거주지, 경찰수송차량등을 습격하고 25살에 숨을 거둔 항일명장 이홍광은 모택동도 1938년 2월 업적을 찬양했었고  1946년 5월 14일 중공당 기관지 해방일보에 '항일연합군 중에서 명망이 제일 높은 수령의 한사람'이라고 평가받았으니, 우리에게는 알려질 수 없었던 영웅이라 할 수 있다.

 

 

조상들의 항일저항을 쫓아가며 끓어오르던 분노와 열정이,  봉오동전투와 청산리대첩의 영웅들이 구 소련의 지원을 얻고자 소련에 들어간 후 자유시에서 무장해제를 당하며, 무장투장세력이 와해되는 지경에 이르게 된 부분에 이르러서는 허망한 웃음만 나올 뿐이었다.
외세를 이용하려다 된통 당한 또 하나의 역사적 선례로 남길 만하며, 과연 지금은 어떨까 하는 의구심까지 가지게 만드는 사안이다.

 

 

한 두번 또는 교육을 통해서 알고 있었던 아주 일부분인 항일투쟁 영웅과 교육을 통해서 알려주지 않았던 독립운동영웅등, 그리고 이름도 남기지 못한 채 죽어 독립의 작은 씨앗이 된 분들을 생각하면서 위대함에 그저 감사할 뿐,  감사의 표시로 무엇을 해야 할까도 생각해 본다.

 

 

읽는 동안에 끓어오르는 격한 감정을 불러 있으키는 요인은 무엇이었을까?
첫째, 끔찍하고 잔인하다는 표현으로도 모자라는 일본군의 만행과 목숨으로 이에 맞서며 항일 독립전쟁을 해 왔던 독립전쟁 영웅들에 대한 감사하는 마음.
둘째, 일본 패망후 미 군정통치에 따른 친미반공정부 수립에 따른 친일배신자들의 재기용으로 기인된 오욕의 역사.  그리고 이에 따른 역사바로세우기 실패. 그리고 그 연장선상에 있는 역사를 둘러싼 우리나라의 현재 상태.

 

 

지난 항일운동에서 보면 발생하는 미수사건, 또는 실패의 요인은 내부자의 고발 또는 배신이었으며, 일본이 한국을 지배하는 수단 중 하나가 일본군보다 더 악질적인 조선인 배신자를 만들고 이를 기용하는 것이었다는 점이 많은 항일투쟁역사에서 찿을 수 있다. 또한 치밀한 계획과 실행력에서도 놀라움을 금할 수 없는데 이는 현재 일본국 정치가들의 행위를 보면 중장기적인 묘수를 계획하고 차곡차곡 수를 두는 뛰어난 정치력, 협상력을 비추어볼 때 그저 감탄만 나올 뿐이다.

 

이 책을 보면서 몇가지 의문을 가지고 심사숙고하며 자신의 생각들을 정리하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
예비 독자들도 비슷할까? 끝으로 책을 읽으며 생각했던 의문들을 적어본다.
1. 왜 국내에서는 봉오동전투나 청산리 대첩과 같은 굵직한 무장항일투쟁이 불가능했을까?
2. 독립 직후 항일무장투쟁 영웅에 대한 기용이 많지 못헜던 이유는 무었일까?
3. 항일투쟁으로 뭉친 영웅들이 대거 기용되었더라면 지금은 어떨까?
4. 외부에 있는 적보다 내부의 적이 가장 위험한데, 지금 내부의 적은?
5. 가족이나 자신의 안위를 위했던 친일배신자가 반공으로 위장하여 기득권을 누릴까?
6. 지금 우리 나라는 완전한 자주 독립국인가?
7. 일본이나 주변국과 외교에서 타당하며 미래지향적인 강한 목소리를 내고 있는가? 그렇지 못하다면 이유와 대안은 무엇일까?
8. 순국 선열에 대한 감사의 마음으로 지금부터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을 무엇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