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발칙한 지식인을 만나다 - 왕을 꾸짖은 반골 선비들
정구선 지음 / 애플북스 / 2009년 2월
평점 :
절판


 세상 어느 시기, 또 어떤 지역에서나 할 것 없이 파렴치한 기회주의자가 있기도 하고 그 반대로 강직한 신념에 따라 할 말은 꼭 하며 사는 사람들이 있다.
 이 세상이 온통 아름답고, 진실로 더 나은 쪽으로만 나가고 있다면 소위 자신의 이득을 취하기 위하여 민중이나 국민을 속이고 갈취하는 자가 없어야 옳을 것인데, 어느 시기에나 몇몇의 혼탁한 관리가 대중의 어깨위에 올라 호령을 하며 지배를 해왔다.
그것은 과거의 이야기만이 아니며 지금 이 시기에도 이 세상이나, 한 국가의 향방을 좌우지 할 수 있는 영향력있는 실권자들의 모습 일 수도 있다.
 
 그래서 극도로 혼탁해진 다음에는 자연의 법칙이라도 되는 양, 민중의 폭동이나 반란이 일어나게 되고 그 상처가 아무는 동안은 약간의 반성과 더불어 지배정책의 수정이나 변경이 불가피하게 반영되는 시기가 반복되지는 않았는가.

 이런 반복되는 과정을 거쳐 생물이 진화하는 것처럼 인간 사회도 진화를 하고 있는것은 아닐런지.....

 이 책 "조선의 발칙한 지식인을 만나다"는 왕권통치가 행해지던 조선시대에 지방에 살며 학식과 덕망을 고루 갖춘 처사들의 이야기들이다. 대부분 비슷한 이야기이다. 초야에 묻힌 의롭고 지식과 덕망을 갖춘 처사에게 왕이 부름에 응하여 정치에 참여하라고 하면, 처사들은 이핑계 저핑계를 들거나 자신을 낮추면서 부름을 거절한다.
하지만, 이 시대의 정치와 결코 무관할 수 없는 것이기에 읽혀지는데 주저함이 없는 제목이며 주제이다.

 극소수의 사람을 제외하고는 감히 왕 앞에서 얼굴조차 함부로 볼 수 없었던 조선시대에 목숨조차 아끼지 않고 할 말 못할 말 가리지 않고 소신있게 자신의 말을 해 내는 강직한 양반이자 유학자들이 있었다. 또한 이들의 절개와 지식, 덕망을 높이 평가하여 어떻게 해서라도 이들을 현실정치에 불러내어 인재로 등용하려던 왕의 모습을 단면으로 보여주기도 한다.

 탐관오리가 넘치던 시기에는 그와 비례하기라도 하듯, 이들을 경멸하며 비난하는 지식인들이 많기 마련이다. 이 때 국가 최고의 통수권자인 왕이라면 분명히 균형잡힌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며, 힘없는 민초들의 목소리에 더욱 많은 귀를 기울여야만 할 것이다. 왜냐하면 막강한 물리적 힘을 가진것은 언제나 권력과 경제적 힘을 가지고 있는 지배계층이기 때문이다.
 힘의 기울기가 확연하게 기울어 질 수록 피지배적인 백성의 목소리는 힘이 없이 널리 퍼져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부패한 관리들에 의해 백성의 삶이 피폐해 질 수록 고단한 백성의 한숨소리와 비난의 목소리는 깊어만 간다. 그리고 마침내 인내의 한계에 달 할 즈음에는 불평과 비난에 그쳐있는 민초의 결집를 부채질 할 수 있는 사람이 나와 그 힘을 행동으로 이끌어 내기에 이른다. 이것이 역사에서 말하는 민란이거나 폭동이었다.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라는 말이 있듯 이 책도 조선왕조실록에 있는 내용이 중심을 이룬다. 조선 초기보다는 중후반기에 들어 당쟁이 격화되고 사화로 인해 여러차례의 숙청과 보복이 잇다름으로 인하여 다수의 관료라는 작자들은 정작 백성을 위한 정치는 뒤로하고 패거리들의 이익을 옹호하고, 자신의 이익을 취하는데 온갖 초점이 맞추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에 대한 배신감과 절망감으로 정치일선으로 나가는 것을 주저하고 초야에 묻혀 소신을 가지고 옳은 소리를 하던 지식인들이었기에 상대적으로 그들에 대한 추앙이 더 깊어지지나 않았을까 싶기도 하다.

 그러나 이 책을 보면서 정작 안타까운 것은, 실로 높은 덕망과 지식을 갖춘 자들이 한몸 기꺼이 한몸 희생하겠다는 각오로 결집하여 정치일선에 뛰어들어 왕을 보필하며 부패한 관리와 정책을 바꿔야만 했는데 그러지 않았다는 데 있다.

 힘으로 지배하는 자에게는 힘 그 이상으로 맞서고, 보복이라 할 지라도 옳은 길을 가는데 있어 주저하지 않았더라며, 설사 악명을 높아진다 하더라도 부패를 척결할 수 있었더라면 그토록이나 관료들이 부패하고, 패거리 잔당들에 의해 국사가 좌우지 될 수 있었을까? 왜 처사들이 힘을 결집하여 그렇게 하지 않았을까 싶다. 이것이 어쩌면 유교가 가진 한계였을지도 모른다.
과연 임진왜란을 일으키고 한일합방과 2차대전의 핵심에 있었고, 지금 다시 세계의 중심으로 향하는 일본의 모습과 우리의 모습은 무엇이 달랐는가?

이 책에서 단연 으뜸은 인조 11년 장현광의 상소에 있는 구절이었다.
"전하께서 매양 듣고 달할 즈음에 반드시 '깊게 생각하겠다'하셨고 반드시 '가슴에 간직하여 잊지 않겠다'하셨는데, 전하께서 과연 그 들을 바를 깊이 생각하여 마음에 얻은 바가 있으며 진달한 것을 잊지 안고 간직하여 몸소 실천하신 바가 있습니까? 흐르는 물처럼 간하는 말을 받아들이고 공이 굴러가듯이 말을 듣는 것은 바로 제왕의 아름다운 덕인데, 전하께서는 과연 실지로 이러한 덕이 있습니까? (p.183)"
   
 당시 관료 이외에 덕망높은 인재를 발탁하여 등용하려고 했던 왕들의 소신과 이들의 날카로운 지적과 의로운 말을 가벼이 받아 넘기지 않고 가르침을 얻으려 했던 왕들의 모습을 보면서 항시 당시 관료에 대해서 한계를 느끼고 더 우수한 인재에 목말라했던 왕의 모습을 찾을 수 있었다. 더우기 왕명은 법보다도 더 무거운 법이거늘 이핑계 저핑계 대며 수차례에 걸친 왕명조차도 거부하던 반골 선비들의 결의로운 모습에서도 평정심을 갖고 꾸준히 등용하려 했던 왕들의 모습에서는 안타까운 느낌마져 들기도 했다.

지금 이 순간도 어느 나라에나 쓴소리를 잘 하는 지식인이 있기 마련이다. 이들의 목소리가 그저 메아리처럼 되돌아오고 사그러지지 않도록 현실정치를 하는 자들이 스스로 자기를 돌아보고, 민중의 소리에 귀 기울이기를 바라며,..
과거 조선후기의 패거리 잔당들로 밖에 볼 수 없는 당파싸움이 오늘날의 정당에서는 더 이상 보이지 않기를 바라는 바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