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노베이터의 10가지 얼굴
톰 켈리 외 지음, 이종인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07년 2월
평점 :
절판
"모든 꿈은 길을 찾는 자가 이룬다"
부제로 쓰이는 이 글이 좋다.
길을 찾는자라고 하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는 자임과 동시에 남들이 안된다고 하더라도 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여 마침내 되는 길을 찾아내는 자를 말할 것이다. 그러나 찾는자, 찾아내는 자라는 문맥적 의미속에는 행동을 하는 것도 포함되어있다.
이 책은 혁신자 또는 (신기술)도입자라고 할 수 있는 이노베이터에 관한 것이며 특히 10가지 이노베이션 페르소나 유형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다.
저자는 10개의 페르소나를 각각
학습하는 페르소나 그룹(문화 인류학자 / 실험자 / 타화 수분자(他花受粉者) )
조직하는 페르소나 그룹(허들러 / 협력자 / 디렉터 )
그리고 구축하는 페르소나 그룹(경험건축가 / 무대연출가 / 케어기버 / 스토리텔러)로 그룹화 할 수 있다.
보통 이 10가지를 모두 완벽하게 잘 하기란 불가능 하며, 이 중에서 특정한 부분에서 두각을 드러내는 것이 보통의 사람들이다. 그렇기 때문에 구성원들이 이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특정 분야에서의 역할을 잘 수행한다는 것은 이미 훌륭한 이노베이터로서의 자질을 갖추었다고 봐야 할 것이다.
문화인류학자는 '부자데' 감각을 통해서 놀라운 발현을 찾아낸다고 하는 항목에서 '부자 데'가 '데자 부'의 반대개념이라고 하였다.
즉 '부자 데'는 <전에 어떤 것을 무수히 보았으나, 그것을 맨 처음 보는 듯한 느낌을 갖는다는 것>이라 한다.
보통 사람이 당연하다고 보면서 간과하는 것을 다른 시각으로 보는 능력이 곧 새로운 발견을 할 수 있는 위력이라는 것이다. 연습을 통해서 이러한 능력도 계속 배양해 나갈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존재하는 모든 것은 존속하기 위해서 혁신이 불가피하며 그 혁신의 길을 여러 가지가 있다. 그 길을 독립적일 수도 있으며 복합적일 수도 있다. 어떤 길이든간에 유형을 따져 보고 자신이 잘 하고 있는 부문에 대해서 점검해 보고, 잘 하고 싶은 부문에 대해서 계획적으로 분석하고 트레이닝을 통해서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으리라고 본다.
내게 있어서 이 책은 짧은 시간에 걸쳐 학습하기에는 쉽지 않은 도서였다.
단순한 지식을 쌓는 수준을 넘어서 학습을 필요로 한다면 어느정도의 시간 할당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며, 관련 정보를 학습하고 습득할 각오를 할 수 있다면
이 책은 경영 리더에게만 가치 있는 도서가 아니라, 사회조직에 관련되어 있는 구성원 누구에게나 가치있는 도서가 되리라 믿는다.
나는 이 책을 통해 혁신과 발견 그리고 위대함에 대해 다음처럼 정리하고 싶다.
"우리 주변에서 기발한 생각이라며 놀라는 대부분의 발견이나 혁신들은
평범한 사람들이 당연시하며 지나칠 수 있는 곳에서 관심을 기울임으로서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이 세상을 바꾸는 위대한 사람들의 공통된 특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