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난 이야기를 좋아하지 않아 ㅣ I LOVE 그림책
앤드류 라슨 지음, 캐리 수코체프 그림, 신형건 옮김 / 보물창고 / 2022년 1월
평점 :

매일 반복되는 일상이 시들하게 느껴지고, 그 속에서 재미를 찾지 못한다면, 소소한 일상은 무료하게 느껴질 뿐입니다. 굳이 뻔한 일상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싶지 않을 뿐이죠. 아이도 정말 그런걸까요?
눈을 뜨고 학교에가고 집에 돌아오는 반복되는 일상이 그저 시시하고 지루해보이기만 합니다.
또래 아이들이라면 좋아할 모든것이 시시하게 느껴질때, 아이는 어디에서 재미를 찾아야 할까요?
아이에게는 아침 잠을 깨워주고 학교가는 것을 배웅해주는 고양이 한마리가 있습니다. 고양이는 아이가 학교에 가고나면 새로운 모험이 시작되는데요. 여기저기 사고뭉치처럼 다니는 것 같아보이기도 하지만 사실 고양이는 노랑색을 좋아하는 것 같습니다. 고양이에게 노랑색은 아이의 색이기도 하거든요. 아이의 가방, 학교스쿨버스가 노랑색입니다. 노란 가방을 매고 노란버스를 타고간 아이가 그리워 고양이는 노랑색을 쫓아 다녔는지도 모르겠어요. 아이가 돌아올 시간에 맞춰 집에 돌아온 고양이는 기다렸다는 듯이 반갑게 아이를 맞이합니다.
그래서일까요? 아이도 “하지만 난 고양이 이야기는 좋아할지도 몰라”라고 생각하네요.
엄마의 눈에는 아이가 아직도 아기처럼 보이지만, 내 아이는 어느덧 부쩍 성장해서 나만의 사회를 만들어 갈 준비를 하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아이가 즐거워하고 관심있어하는 것, 그것이 우주, 바다, 탈것 등 명사로 지칭되는 명확한 것이 아니라, 관계 속에서 찾게되는 즐거움, 그것이 필요한걸테니까요.
그래서 그림책 속 아이도 고양이라는 친구에게 마음이 더 기울기 시작한 것 같습니다.
단순히 문장으로만 따라가면 이제 무슨내용이야? 하고 갸우뚱 할 수 있어요.
그림의 흐름을 보며 문장 속 반어법을 찾아내야하나 고민이 될 수도 있습니다.
제 생각에는 뭔가 의미를 찾아내려고 보는 그림책이 아니라 평범한 우리 일상에서 재미를 찾게 될 때, 그 때가 언제인지 그것이 무엇이었는지를 생각해보는 것처럼 그 순간을 생각해보라는 의미로 보였어요.
표지에서 보여지는 책읽는 아이의 표정으로만 봐서는 결코 이야기를 좋아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지 않으니까요.
이불 속 공간처럼 나만의 공간과 세계가 필요한 아이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푸른책들 신간평가단으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고 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