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은경쌤의 사자성어 속담 일력 365 (스프링) - 초중고 필수 한자 완전정복!
이은경 지음 / 포레스트북스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튜브 '슬기로운초등생활'에서 자녀교육에 도움이 되는 영상으로 익숙한 이은경 선생님의 신간이 나왔다. 사자성어와 속담을 한 번에 배울 수 있는 사자성어, 속담 일력이다. 아이가 물었다. "엄마, 일력이 뭐예요?" 일력. 나도 일력은 참 오랜만이다. 어릴 적 시골 할아버지 댁에 가면 하루에 한 장씩 뜯는 일력이 있었다. 그 시절 일력은 얇고 쉽게 구겨졌다. 서로 오늘은 내가 뜯어보겠다고 하던 추억이 있다. 이은경쌤의 사자성어, 속담 일력 365는 종이 재질도 좋고, 아이들이 좋아할 만화 그림과 함께 예쁜 색감으로 만들어졌다. 아이들이 초등학교 시절에 배웠으면 하는 게 바로 한자이다. 아이들이 힘들어하지 않고 재미있게 사자성어를 통해 한자를 익히면 좋겠다.




저자 소개

이은경 선생님은 초등 아이들을 가르쳤던 교사이자 중등, 초등인 두 아들을 키우는 엄마이다. 현재 '슬기로운초등생활'이라는 이름의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신다. 저서로는 <이은경쌤의 초등어휘일력 365>, <이은경쌤의 초등영어회화 일력 365>, <초등 자기주도 공부법>, <초등 매일 공부의 힘>등이 있다.

꾸준하고 성실하게 매일을 쌓아가세요.라는 메시지가 너무나 예쁘게 적혀있다. 기분이 좋아지는 예쁜 글귀와 함께 오늘도 행복해진다.



매 월의 시작하는 장은 메모를 할 수 있게 되어있다. 교육부 지정 필수한자 어휘로 구성된 일력은 양면으로 되어있고, 사자성어와 속담이 번갈아 나온다. 사자성어의 풀이에 활용된 예시들이 학생들이 가정과 일상생활에서 겪을 법한 이야기들로 이해하기 쉽게 적혀있다. 식탁에, 신발장 위에, 책상 위에 올려두고 오며 가며 잠깐씩 읽어주면 좋을 것 같다.



매일 하나의 사자성어를 익힌다. 사자성어의 의미가 적혀있다. 그리고 각 한자의 음과 뜻이 적혀있다. 아랫부분에는 한자를 활용한 어휘도 적혀있어서 한자를 활용해 어휘를 확장할 수 있다. 처음부터 완벽하게 한자를 외우려 하지 말고, 사자성어의 뜻을 확인하고 일상에서의 쓰임새를 알아보자. 그리고 사자성어가 어떤 한자어로 만들어진 것인지, 한자어를 활용한 다른 단어는 어떤 것이 있는지도 읽어보자.

1월의 어휘에서 타산지석이 인상 깊다. 아이들이 일상생활에서 겪을 수 있을 법한 게임 하다가 아빠에게 혼이 나는 이야기를 통해서 타산지석을 설명했다. 활용 어휘에서는 다를 타를 활용해 이타와 배타를 알려준다. 사자성어 하나로 새로운 활용 어휘를 네 가지나 배울 수 있다. 하루에 한 장씩 꾸준히 하다 보면 일 년 뒤면 사자성어 박사가 돼있을 것이다.





천정부지

요즘 장 보러 가면 내가 쓰고 싶은 사자성어이다. 천정부지가 천장을 알지 못한다는 뜻은 나도 모르고 사용했는데, 일력을 넘기면서 배웠다. 풀이에 고기를 못 먹는 건 절대 안 됩니다!!라는 문장이 마치 우리 아이가 나에게 하는 말 같아서 웃음이 나왔다. 사자성어를 배우고 활용 어휘를 통해서 우리 아이들의 문해력이 쑥쑥 자랐으면 좋겠다.




사자성어의 절친인 속담도 함께 배울 수 있다. 속담은 우리 삶에 반드시 필요한 교훈을 재미있고 이해하기 쉬운 한 문장으로 압축 시켜놓았다. 열 마디 말로 설명하는 것보다 한마디 속담이 더 강렬한 인상을 줄 때가 있다. 속담이 적혀있고 이해하기 쉬운 그림이 함께 그려져있다. 속담의 풀이를 읽어보고 비슷한 표현도 배울 수 있다.




처음 받았을 때는 두툼한 일력의 두께에 이걸 다 읽을 수 있을까? 싶었는데 한 장 한 장 넘기면서 읽어보니 아이들이 어렵지 않게 일상생활의 이야기들로 채워두신 배려가 보였다. 하루에 한 장씩 넘기는 재미도 있고, 어렵지 않게 사자성어와 속담을 배울 수 있다. 성심성의껏 하루 한 장씩 일력을 넘기면서 읽다 보면 일취월장해진 내 모습에 뿌듯해질 것이다. 예비 초등학생에게, 생일인 친구에게, 사랑하는 조카에게 '이은경쌤의 사자성어, 속담 일력 365'를 선물한다면 뜻깊은 선물이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