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과 나 - 왕을 만든 사람들 그들을 읽는 열한 가지 코드
이덕일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덕일 선생의 글은 재미있다. 확실히 흥미를 끄는 부분이 있지만, 주류 사학을 배제하는 서술에서 여러 의미로 앞서 나간 부분이 있다고 생각한다. (좋은 쪽으로든, 나쁜 쪽으로든) 역사라는 것은 사실 객관적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사관의 관념이 투입된 주관적인 해석이 들어간 학문이다. 기록물 자체가 승자의 기록이라는 점도 그렇고 그것을 해석하는 현대의 사관들의 관념 역시도 있기 때문에 사실과는 다른 모습으로 우리에게 해석되기도 한다. 따라서 역사를 바라볼 때에는 비판적인 자세를 견지해야 함이 맞다.

 

 다소 그래서 이덕일 선생의 책을 볼 때에는 피곤했다. 과연 이 사람의 신선한 주장이 맞는가에 대한 판단도 해야 했고 주류 사학이 주장하는 논리가 맞는가 아닌가에 대한 판단도 동시에 이뤄져야 하기 때문에 한 권을 보기가 상당히 피곤했던 게 사실이다. 대체적으로 <김종서와 조선의 눈물> 책은 이덕일의 해석이 옳은 부분이 많았었다. 그리고 이번에 나온 <왕과 나>도 생각보다 절제된 감정으로 글을 쓰고 있어서 예전의 이덕일 선생의 필법과는 다르다는 것을 느꼈다.

 

이 책은 참모론이라는 주제를 역사학자의 관점으로 쓴 책이다. 보통 역사 책의 경우는 군주에 대한 내용이나 지도자에 대한 처세학서들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하지만 요즘 돋보이는 부분이 참모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활발하게 이인자 론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와 책들이 써지고 있다.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이 책은 우리나라의 주요한 참모들을 뽑아서 설명하고 참모의 자질에 대해서 생각해보는 책이다.

 

일단 이 책의 성격이 새로운 역사적 사실을 주장하는 책이 아니라, 기존의 역사적 사실을 가지고 참모에 대해 생각해보는 책이기 때문에, 이덕일의 조곤조곤하면서도 세심한 해석은 참모들의 능력을 잘 분석하고 생각하는데 도움이 많이 되는 것 같았다. 이덕일의 새로운 주장을 주장하는 책은 다소 과격한 논의 전개가 돋보여서 사실 좀 혼란스럽기도 했었다. 그러나 이 책에서의 저자는 그런 과격한 모습보다는 친절한 안내자라는 생각이 들었다.

 

책은 11명의 참모가 나온다. 이런 책들의 경우 2가지로 나눌 수 있겠다. 첫 번째 경우는 소수의 사람을 조명하면서 깊이 있게 주제를 설명하는 책과 또 하나의 경우는 여러 사람을 조명하면서 얕고 스치게 하는 대신 다방면적인 주제를 다루는 책이 있다. 예시문을 싫어하는 성격이라 나는 첫 번째 체제의 책이 좋은데, 이 책이 그런 경우다.

 

11명의 참모를 깊이 있게 핵심에 입각하여서, 전반적인 생애를 고찰하며, 마지막의 결론을 이끌어내는데, 사학자라서 그런지 대체적으로 사료에 충실했고 설명도 충실했고 내용의 깊이도 있었다. 너무 길지 않은 적절한 분량과 내용적 깊이, 그리고 대체로 제시한 테마의 주제에 인물이 잘 부합된 해석 등으로 아무튼 괜찮게 봤던 책이다. 굳이 참모론에 입각하지 않더라도, 인물 개개인에 대하여 생애를 전반적으로 설명하고 있어서, 참모론에 입각한 처세서라기보단 정통 역사서에 가까운 성격을 가지고 있다.

 

인물들은 우리가 잘 아는 이인자가 나와 있다. 김유신, 고려의 4장군 (신숭겸, 배현경, 복지겸, 홍유), 소서노, 정도전, 황희, 김육, 천추태후, 강홍립, 박자청, 인수대비, 홍국영 등 친숙한 인물도 있으며 다소 생소한 인물도 있다. 내가 좋아하는 김유신과 정도전이 있어서 흥미롭게 봤었다. 김유신을 다룰 때에는 <화랑세기> 역시도 고찰하고 있는데, <화랑세기>는 진본인지 가본인지 역사학계에서 논쟁 중인데, 이덕일 선생은 진본이라고 믿는 입장인 듯했다.

 

고구려, 고려, 조선 국가적으로도 치우치지 않았고 (물론 사료가 많은 조선이 많긴 하다만...), 이인자라고 해서 신하뿐만이 아닌, 장군이나 태후, 그리고 여왕(소서노)까지 그리고 성별도 남자뿐만이 아닌 여자도 이야기하고 있어서, 치우치지 않으려는 저자의 의도도 엿보였다.

 

내가 집중하고 봤던 인물은 김육과, 강홍립니다. 다른 인물들은 알고 있는 사람들이라 가볍게 봤지만 김육에 대해서는 지식이 거의 없었는데, 자세하게 알 수 있었다. 서인이면서도 당론과 반대되는 대동법의 정책을 주장하고 당론보단 나라의 국익을 위해 노력한 그의 모습에서 깊은 울림을 받았다. 강홍립에 대해서는 사실 잘 알고 있는 위인이지만 저자의 신선한 해석이 돋보였고, 나라의 배신자라고만 생각했던 그의 이면에는 투항하고도 조선을 위해 노력했던, 우리가 외면했던 던 그의 노력을 엿볼 수 있었다.

 

모쪼록, 서문에 나온 것처럼,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지도자만을 위한 짱사가 만연했다고 한다. 그런 해석에는 일리가 있다. 더불어 그가 서문을 마치면서 한 말 '세상을 바꾸고 싶어 하는 사람들은 더욱더 역사 앞에서 겸허해야 한다. 겸허하게 성찰하는 자에게만 역사는 미래의 문을 살짝 열어주기 때문이다.'라는 말 역시도 음미해볼 말이다. 색다른 참모의 시각으로 역사를 풀이한 좋은 양서였다고 생각한다. 앞으로도 치우친 리더만을 위한 책 보단, 이런 참모에 대한 책이 많이 나왔으면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