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몽룡의 동주열국지 2 - 진문시대
풍몽룡 지음, 신동준 옮김 / 인간사랑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주 열국지 2》(이하 열국지로 표기) 권의 주제는 중원문화의 부활이며 주인공은 진문공이다. 춘추전국 시대에 진나라는 크게 두 나라로 나뉘는데 우리에게 익숙한 나라는 난세를 통일했던 진(秦)시황의 진나라다. 그러나 책에서 다루는 문공은 중원에 위치한 진(晉)나라의 군주였다. 두 나라는 쓰는 한자가 다르므로 쉽게 구분할 수 있다.

 

동주시대가 열리고 환공이 패자를 칭하며 국제질서를 힘의 논리에 귀속시켰지만, 제나라의 패도는 1세대를 넘기지 못했다. 제환공 사후 중원에서 주목받는 나라는 송나라와 초나라 그리고 진(秦)나라 정도였다. 여기서 초나라와 진(秦)나라는 각각 남방과 서쪽에 치우쳐져 문화적으로도 낙후됐고 오랑캐라는 인식이 있었기에 패권 경쟁에 주역으로 나설 수 없었다. 제환공 사후 후계구도가 정해지지 않은 탓에 제나라에서는 궁정 쿠데타가 연이어 일어나는데 송나라의 군주 양공은 이를 제압하고 제나라의 공자 소를 제효공으로 세운다.

 

송양공은 이에 힘입어 자신이 제나라를 대신해 패자의 지위에 오르려는 야망을 가지고 회맹을 주도했지만 환공의 제나라 시절과 비교해볼 때 송나라는 국력이 너무도 약했다. 그러나 양공은 이를 간과하고 패자의 지위에 올랐다고 자만하다 신흥 강국인 초나라와 전쟁을 하게 된다. 이때 양공의 군대는 유리한 입장이었지만 공정한 조건에서 승리하고자 하는 양공의 명예욕 때문에 초나라 군대가 자리를 잡을 때까지 기다렸다. 싸움 결과 초군이 승리했는데 이를 빌미로 양공은 세간에서 인의를 쫓다가 패망한 지도자로 조롱 당한다.

 

한편 중원의 진(晉)나라에서도 왕위 계승권을 둘러싸고 군주의 처첩들과 자식들이 싸움을 하였는데, 훗날 진(晉)문공에 오르는 공자 중이는 정치적 정쟁을 피해 기나긴 망명의 길을 떠났다. 당시 진(晉)나라는 후계구도 때문에 정치가 극도로 혼란했는데 서쪽의 진(秦)나라의 군주 목공은 공자 중이에게 자신의 딸을 주고, 사위를 위해 군사를 일으켜 중이를 진(晉)나라의 군주인 문공으로 세우는데 큰 일조를 한다.

 

 왕위에 오른 문공은 제환공에 이어 패도를 이어갔고 남방의 신흥세력 초나라를 정복하면서(성복전투) 두 번째 패자를 선포한다. 진(晉)나라의 패도는 제환공과는 다르게 근 200년을 이어갔다. 즉 춘추시대를 주도하는 패자의 자리를 무척 오랫동안 유지했다고 볼 수 있는데 그 핵심은 무엇일까? 가장 큰 이유는 진(晉)나라의 세력권이 옛 주나라의 세력권이었다는 점이다. 동주시대로 넘어가면서 주나라의 문물과 제도는 붕괴했지만 그런 주나라를 대신하여 황하문명의 맥을 이은 것이 바로 진(晉)나라였다. 첫 번째 패자인 제나라는 중원 동쪽에 위치하고 있었기에 전통적인 주나라의 문화와 거리가 있었다. 또한 진(晉)나라가 주나라와 동질성을 가지는 것은 결정적으로 왕족의 성씨가 주나라와 같다는 것이다. 즉 혈통적으로도 문화적으로도 주나라와 진(晉)나라는 무척이나 가까웠다고 할 수 있다.

 

우수한 문명의 발상지, 산전수전을 겪으면서 정치적 노련함을 겸비한 리더의 역량은 진(晉)나라의 새로운 바람을 열었으며 그 결과 진(晉)은 새로운 패자로 거듭날 수 있었다. 《열국지》 뿐만 아니라, 많은 고전이나 역사서에서는 황화 문명과 주나라의 문화를 이은 진(晉)나라를 매우 호의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이는 진(晉)나라의 라이벌이라고 할 수 있는 초나라와 비교해볼 때 온도차를 극명하게 느낄 수 있다. 아무튼 이 시기의 주인공은 진(晉)문공이지만, 오랑캐로 취급받은 진(秦)목공과 초성왕 등등의 활약도 눈여겨볼 만하다. 실제로 두 군주는 각각 진(秦)나라와 초나라의 관제와 국력을 정비한 인물들인데, 안타깝게도 나라가 변방에 치우쳐서 주목받지 못한 명군들이다.

 

문공은 단순히 진(晉)나라의 국력을 신장시킨 것을 넘어 쇠락하는 주나라 문명, 그리고 황하문명을 새롭게 부활시켰다고 볼 수 있다. 그렇기에 진(晉)나라는 '좋은 집안에서 뛰어난 교육을 받아서 성장한 귀공자'를 연상한다. 문명을 대표하는 입장인 진(晉)나라. 이들의 패권을 깬 나라는 어떤 나라였을까? 바로 야만을 상징했던 초나라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