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팔사략 - 상 십팔사략 1
증선지 지음, 신동준 옮김 / 인간사랑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치통감》 완독을 시작하면서 이해를 돕기 위해 많은 책들을 참고하고 있는데 그중 가장 많이 참고한 책이 바로 《십팔사략》이다. 《십팔사략》은 말 그대로 '18가지 역사서를 간략하게 정리한 책'이라는 뜻으로, 송말원초 과거를 준비하던 증선지가 저술한 저서라고 한다. 비록 그는 과거에 성공하지 못했지만, 그런 회환을 저술을 통해 승화하였으니, 이는 고난을 겪은 사마천과 좌구명이 각각 《사기》와 《춘추좌전》을 지은 것과 유사하다. 《십팔사략》은 다른 중국 고전보다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다. 역사만화가로 유명한 고우영 씨가 그린 만화 중에는 《십팔사략》을 주제로 한 작품이 있으며, 그 외에도 《십팔사략》을 간략하게 압축하여 중국사를 정리한 책이 시중에 많이 있기 때문이다.

 

 

시중에 유통되는 《십팔사략》을 보면서 개인적으로 아쉬운 부분이 많았다. 왜냐하면 첫 번째로 기존에 유통되는 책들은 모두 원저자가 쓴 내용을 그대로 번역한 책이라기보다, 편저자의 구미에 따라 변형, 축약 등등의 2차 가공을 한 책들이 대부분이었다. 그렇기에 널리 알려진 고전이지만 원전을 올바르게 번역한 책은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이번에 동양 고전 번역으로 유명한 신동준 선생이 원문을 포함하여 《십팔사략》을 새롭게 번역했다. 마침 《자치통감》도 완독하고 있는 데다 《십팔사략》의 원전과 번역본을 읽고 싶다는 생각이 있었는데, 그렇기에 그런 나에게 이번 번역본은 가뭄에 만난 단비와도 같았다.

 

 

아무리 압축을 했다고 해도 《십팔사략》은 중국의 18개의 왕조들의 역사를 축약한 책이므로, 분량이 있는 편이다. 그래서 번역본은 상권과 하권으로 나눠서 출간했는데, 상권은 중국의 하은주 시대와 진나라, 서한과 동한, 위진남북조까지 다루고 있고 하권은 수나라와 당나라 시대를 시작으로 오대십국과 송나라와 남송 요나라 금나라 시대를 거쳐 원나라의 통일까지 다루고 있다. 예로부터 《십팔사략》은 어린 아동들이 가장 먼저 배우는 역사서로 취급됐다. 지식을 처음 배우는 어린이들이 배우는 교재이기에, 조선시대 사대부들은 이 책의 수준을 매우 낮게 생각하기도 했다.

 

 

그러나 다시 생각해본다면, 어떤 분야의 지식을 가르칠 때에는 그 분야의 지식들 중 가장 핵심적인 내용을 쉽게 가르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렇기에 수학을 배울 때에도, 인수분해나 미분과 적분 등을 바로 배우지 않고, 사칙연산 즉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 등을 배우며 구구단을 외우게 한다. 영어 역시 마찬가지다. 중학교 시절 우리가 외우던 영단어는 인사말이나 기본적인 표현, 기본적인 생활 단어를 외우고, 학년이 높아질수록 전문적인 단어와 복잡한 구문을 배운다. 그럼 중학교 영어교과 과정과 고등학교 과정 중 어느 과정이 더 중요할까? 나는 중학교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조금 과장해서 말하면, 영어권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영단어나 구문은 중학교 수준에서 배운 단어와 구문만 잘 알고 있더라도 의사소통을 하는 데에는 크게 무리가 없다. 한국인 역시 일상생활에서 학술지에서 나올 법한 전문용어보단, 평이한 단어를 자주 쓰니까. 이런 사례를 잘 생각해본다면, 한 분야의 지식을 배울 때 처음 배우는 기초적인 내용은 그 분야에 익숙한 한 사람의 눈에는 쉬운 내용으로 보일 수 있겠지만, 가장 중요한 지식이라고 할 수 있다. 공부를 할 때 기초를 튼튼히 하라는 말을 수없이 듣는데 이 역시 비슷한 맥락이다.

 

 

역사 역시 마찬가지다. 《자치통감》과 《십팔사략》을 둘 다 찬찬히 읽어본 바, 비유하자면 《자치통감》이 대학원생들이 보는 전문적인 교재라면 《십팔사략》은 중고등학생이 읽는 교재라고 할 수 있다. 흔히 우리는 고전하면 어렵고 복잡하고 딱딱한 책으로 생각하는데, 《십팔사략》은 표현이 단순하고, 복잡한 서술이 나와있지 않으며, 무엇보다 중요한 역사적 사실을 독자들이 받아먹기 좋게 잘 압축하여 설명하고 있다. 물론 방대한 분량을 자랑하는 《자치통감》 에 비해 제한된 종이에 18개 역사서를 압축하여 쓰다 보니 《자치통감》과 《사기》와 같은 깊이는 없지만, 《십팔사략》은 이 두 책보다 훨씬 방대한 역사를 다루고 있으니 말하자면 폭이 넓으면서 시대의 대략적인 사건을 잘 요약한 책이라고 할 수 있겠다.

 

 

상권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은 선사시대부터 위진남북조 시대까지다. 특히 내가 주목한 부분은 복잡한 남북조 시대였는데, 이 시기는 5호 16국이라고 표현하듯 난세 중에 난세인데다 많은 나라들이 궐기하여 복잡한 시대다. 우리가 잘 아는 삼국지 위촉오 시대를 통일한 나라는 위를 바탕으로 하여 건국된 사마염의 진나라다. 그러나 이 진나라가 내부적으로 몰락하면서 중원의 북방에는 이민족이 밀려와 나라를 세우기 시작했고, 한족들은 남하하여 남쪽에서 왕조를 이어나갔다. 책에서는 한족 출신의 남조 국가들을 정통으로 보고 집중적으로 다루지만, 중간중간 나오는 이민족 북조 국가들의 이야기를 통해 이 시대가 얼마나 혼란한 시대였는지 느낄 수 있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딥블루 2024-06-24 10: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