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글꽃을 피운 소녀 의병 ㅣ 책담 청소년 문학
변택주 지음, 김옥재 그림 / 책담 / 2023년 4월
평점 :
임진년(1592년) 사월,
몰려든 일본군에 의해
부산을 새까맣게 뒤덮으며
거침없이 한양으로 치닫는데...
백정, 광대같은 떠돌이들이 모여
이룬 지리산 골짜기 마을인 어울림에
의병장 곽재우의 편지가
도착하게 되고
그들에게 나라를 살리는데
힘을 보태 달라고 부탁을 하게 되었으니..
임진왜란의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한 청소년 역사 소설
한글꽃을 피운 소녀 의병을
소개해 드려 봅니다 ^^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한글이 우리 겨레를 어떻게 아울렀는지
여성과 아이, 늙은이처럼
힘없는 이들이 어떻게 나라를 살리는데
이바지하였는지 목차만 보아도
짚어 나갈 수 있답니다

어쩌면 가장 서럽고 고달픈
삶을 살았던 떠돌이와
품삯은커녕 끼니를 굶는 일이
흔한 백정들이 모여
공동체를 이룬 마을
어울림에서
이 나라 모든 조선 사람이
살아가는 땅을 지키기 위해
자진하여 나라를 살릴
'맞싸울이'가 되기로 뜻을 모으고
마음을 다하여 함께
더 힘을 모아 나아가기 위해
누구나 쉽게 읽을 수 있는
우리말 한글로
방을 붙여
나라를 위해 남녀노소
신분을 떠나 함께 할 것을
간곡히 청하는 모습은
한글꽃을 피워
나라를 구하는 진정한
소녀 의병을 모습을 통해
진정한 나라사랑은 무엇인지
또한 칼과 무력이 아닌
지혜와 굳셈으로 당당히 맞서
싸우고 이겨 낼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뿌리 잘린 나무가 살아남을 수 없듯이,
우리 겨레가 살아온 결을 알지 못하면
갈피를 잃고 헤맬 수밖에 없어.
어울림 사람들이 아사달부터 고구려와
고려로 이어 온 얼과 결을 잃지 않으려고
애쓰는 까닭도 그것이야. (한글꽃을 피운 소녀의병에서 발췌)
전쟁으로 서울 춘추관과 성주,
충주에 있던 사고가 붙타 없어지고
전쟁으로 서울 경기전에 있는
사고만 남았을 때,
천민이라고 내쳐졌었던 이들이
나서서 전주 사고에 있던
역사책들을 내장산으로 옮기고 지켰다는
역사적 기록의 기반을 담아
놀이패와 등짐장수들이 온갖
고생을 하며 사료들을 옮긴 천민들이
이 땅인 나라를 위하고
사랑하는 마음이 얼마나 절절한지
책의 내용을 통해 진심이
더욱더 전해졌습니다.
뭐든지 서로 차지하겠다고
나서면 늘 싸울 수밖에 없어.
태평천하는 크고 작고, 거칠고 곱고,
드세고 여린 온갖 목숨붙이가 서로 도두보고
어울릴 때 이룰 수 있어.
내남없이 어깨동무하여
누리결을 곱게 빚어 가야지 (한글꽃을 피운 소녀의병에서 발췌)
우리에게 가장 가까이 있으면서
품도 아주 넓은 태양처럼
사람과 사람 사이
그리고 나라와 나라 사이에서
전쟁이 얼마나 무의미한지
무고한 생명과 목숨을 앗아간
전쟁의 뼈아픈 순간들을 기억하며
앞으로 한 사람의 인생과 더불어
나라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과
발걸음에 대해 곰곰이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주었습니다

그러니까 네가 참으로 바라는 게 뭔지
깊이 생각하고, 바라는 일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 거듭 짚으면서 그리 가면 되어.
뭐든 하는 대로 이룰 수 있지. (한글꽃을 피운 소녀의병에서 발췌)
진정으로 하려고 하는 뜻에
먼저 한계선부터 정해 버렸더라면..
세종대왕이 백성의 무지함 탓만 하며
쉽고 아름다운 한글을 만들지 않았다면
천민이라고 설움에 겨워
양반들의 나라라고 조선을 등지고
왜 와 맞서 싸우지 않았다면
여성이기에 배우면 안 된다고
한글조차 배우려 하지 않고
글을 쓰는 시도조차 하지 않았다면....
한글로 나라의 위기를 알리고
나라를 살려야 함을 의지로써 고찰시키고
힘써 나아가지 못해을 뿐만 아니라
개개인의 고유한 역사와
우리나라의 찬란한 역사는
아마 저물었을 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깊이 생각하고
거듭 짚으면서 뜻을 세운 이들
덕분에 우리나라의 찬란한 역사 뿌리도
지켜낼 수 있었고
신분의 굴레라는 제도에서
벗어나 여성이라는 나약한 시선에서
사로잡히지 않고 한계점을 넘어서서
한글꽃의 향기를 전한
용감한 소녀의병을 통해
자라나고 있는 청소년들에게
이 책은 앞으로 가야 할 방향성에
큰 용기를 북돋아 줄 것입니다.
이 책에 나오는 곽재우 의병과
나라를 위한 싸움 또한 대부분 역사를
바탕으로 기반하여 쓰였기에
임진왜란 시대의 역사에 대해서도
자연스럽게 알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한자에 가려져
그동안 잘 사용되지 않았거나
잊혀져 왔던 순우리말인 한글이
잘 서술되어 있어서 한글의 멋과
아름다움 또한 다시금 느낄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역사뿐만 아니라
한계점을 넘어 사람의 성장을 담은
한글꽃을 피운 소녀 의병
청소년들에게 적극 권해드립니다~

한솔수북 서포터즈로써 출판사로 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