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독
이기원 지음 / 페퍼민트오리지널 / 2023년 2월
평점 :
품절


이 이야기는 신종 바이러스와 3차대전의 발발 후 오랜 전쟁과 감염병으로 세계 주요 국가가 소멸하고 서울만이 남게 된 것을 배경으로 한다. 대한 민국 국가 시스템이 붕괴되고 10대 기업 회장단 모임 전기련(전국 기업인 연합)이 도시 경영권을 인수한다.

 

2051년, 뉴 소울 시티는 전기련의 수장인 기업 아바리치아의 이름을 따서 아바리치아 원년을 선포한다.

 

뉴소울 시티는 3구역으로 나뉘어 진다. 1구역은 전기련 회원들이 거주 하는 곳으로 아바리치아의 총수인 류신은 줄기세포를 개발하여 불사의 생을 누린다. 전기련 회원들도 돈만 내면 소도에서 착복식으로 영생을 누릴 수 있다. 착복이란 새 육체를 입는 다는 뜻이다. 메모리 패널에 소울을 백업 해 놓고 육체가 아프거나 늙으면 새로운 젊은 육체에 소울 임플란트를 실시하면 된다.

 

2구역은 일반 시민들이 사는 곳이다. 전기련은 분서갱유로 2구역 사람들이 지식을 접할 수 없게 만든다. 2구역 사람들은 태어났을 때부터 일만하며 기계의 부품처럼 살아야 한다. 이들은 전기련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한 소모품일뿐이다.

 

뉴소울 시티. 실업률 제로의 도시. 전기련의 슬로건이었다. 하지만 실업률 제로라는 말속에 사람들을 전기련의 시스템을 떠 받치고 굴러가게 만드는 톱니바퀴들로 만들어 낸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었다. (p.469)

 

2구역 아바리치아 제 3공장에서 일하던 주인공 민준이 1년치 루왁을 훔쳐서 3구역으로 달아나는 것에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제이콥(박태일)은 반자연(반자본 청년연맹)의 수장이다. 교수인 제이콥은 아카데미아에서 책을 암기해서 밖으로 나와 필사를 하며, 지식으로 혁명을 일으키려 한다.

 

아카데미아라 불리는 건물은 전기련 회원들의 공동소유로 건물 내부는 치외법권 지역이었다. 태일은 2구역 거주자임에도 직업적 신분 때문에 아카데미아의 출입이 자유로웠다.(p.131)

 

그런데 2구역 사람들의 모습이 나와 비슷한 느낌이 들었다. 분서갱유가 일어 난 것도 아닌데, 바쁨이나 티비나 핸드폰 같은 것에 취해 나 자신을 돌아볼 생각조차 못했던. 카푸치노로 삶의 질이 아니라 생명만 연장하고 있는 기계의 부품같은 2구역 사람들과 나는 무엇이 다른가.

 

3구역은 일명 쥐독이라는 곳이다. 주인공 민준이 달아난 1구역과 2구역의 쓰레기들이 흘러들어 가는 곳. 민준은 쥐독에서 살아 남아 삼인회의 리더가 된다. 쥐독에서 서로 죽을 때까지 물어 뜯으며 싸우는 모습이 오징어게임 보는 것 같았다.

 

이야기는 민준과 제이콥의 만남. 그리고 쥐독에 있는 사람들을 일깨워 혁명을 일으키는 과정을 묘사해 간다. 시간이 어떻게 갔는지도 망각할 정도의 흡입력. 책을 읽는게 아니라 영화를 보는 듯한 생생한 묘사 속에 푹 빠져 보길 바란다.

 

우리가 맞서 싸워야 할 것은 쥐독에 빠진 우리들 자신이 아니라 쥐독을 만든 자들입니다.(p.176)

 

자기가 살기 위해 타인을 죽여야 했던 주인공 민준. 혁명을 위해 카피바디로 다시 태어난 제이콥, 그리고 불사의 몸을 얻어 신의 자리에 앉으려는 류신. 이 세사람의 다른 점은 뭘까? 생존을 위해, 정의를 위해, 자리 보전을 위해 끊임없이 싸운다.

 

갑과 을의 격차가 논할 가치가 없을 정도로 벌어지면서 변호사와 회계사라는 직업은 아예 사라져 버렸다. 의사는 카피바디의 유지 보수 정도 같은 허드렛일을 하는 존재들이 되었다.(p.291)

 

현재의 모든 직업들이 의미를 잃는다는 있을 법한 이야기이다. 영생이란 것도 1구역에서 태어나야만 가능한 것이다. 그럼 혁명으로 모든 사람이 다 같이 영생을 얻게 되면 행복할까? 인류의 수명이 늘어난 것도 자식들에게 부담이 되는 현실에서 진지하게 고민해 볼 문제인 것 같다.

 

과거의 잘못을 되풀이 하지 않으려고 역사를 배운다. 그런데 뉴소울 시티는 과거를 되풀이 한다. 하지만 이렇게 미리 디스토피아를 그려 봄으로써 오히려 과거를 되풀이 하지 않는 방법을 모색 해 볼 수 있을 것 같다. 

 

자동차의 빨간 후미등을 쥐들의 안광에 비유한 이 책의 마지막 장면이 아주 강렬했다. 그 강렬한 욕망을 잘 승화시켜 과학문명과 지혜를 함께 발전시켜 가는 것은 어떨까? 우리의 다음 세대들이 행복하게 살 수 있는 현실에서의 유토피아 건설을 꿈꾸어 보는 것은 어떨까?

 

쥐독에 푹 빠져 있다가 현실로 돌아오니, 지금 내가 살고 있는 이 세상이 더 행복하고 아름다워 보인다.

 

< 등장 인물 >

 

김민준 : 주인공

최혁 : 55층 구역의 유일한 술집 '녹색선'의 주인

공연성 : 휴식처 보디가드.

스테파노 : 55층 구역 의사

 

박태일(제이콥) : 반자연의 수장. 교수

인수 : 박태일 친구이자 데메테르의 간부.

김종선 : 데메테르 회장, 가네모토

 

류신 : 아바리치아의 총수. 전기련 의장 / 류시은 : 류신의 외동딸

송선우 : 전략기획실장. 류신의 오른팔이자 브레인.

배지환 : 고객서비스 팀장.

염세일 : 감사팀장.

 

*** 인디캣 책곳간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


참기름에 적신 주먹밥을 넣어 두고 한 가운데에 열십자로 찢어낸 얇은 한지로 항아리 입구를 덮어둬.
그러면 고소한 냄새를 맡은 쥐가 욕망을 참지 못하고 항아리 안으로 추락하지...계속되는 동족 살해. 마지막 한 마리가 남았을 때 그놈을 풀어주는 거야. 그럼 녀석은 집안의 쥐들을 모조리 잡아먹기 시작할 거거든. 왜냐하면, 그 쥐는 이미 그 맛에 길들여졌으니까. - P1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