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치 보며 사는 것이 뭐가 어때서 - 행복한 인생을 살게 하는 이치, '눈치'에 관한 40편의 에세이
임세화 지음 / 모모북스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제목에 확 끌려서 읽게 되었다. 늘 남들 눈치보며 주눅들어 사는 내 생각이 났다. 그런데 눈치 보는게 뭐 어떠냐고? 어떻게 눈치 보며 사는게 괜찮을 수가 있을지 궁금했다.

책을 받으니 보통 책보다 가볍고, 눈 부시지 않은 무광택지라서 읽기 편했다. 총 40편의 에세이들로 구성 되었으며, 중간 중간에 있는 삽화들도 예뻤다.

너는 왜 이래도 좋다, 저래도 좋다고 해?(p.38) 딱 나다. 난 심지어 왜 실실 웃느냐고 직장 언니에게 혼나기까지 했다. 난 남들 눈치 보며, 싫어도 억지로 하는 일이 많았다. 내 주장을 내 세운 적이 한 번도 없다.

작가도 사촌들에게 확실하게 의사표현을 못해서 이곳저곳 따라다녔다고 한다. 사촌이 밥을 다 먹으라 했다고 억지로라도 다 먹은 눈치밥때매 지금도 못 먹는 것이 없다(p.48)는 작가. 책을 선배에게 빌려주고, 빨리 돌려주지 않는 선배. 책 빌려주는 호구가 되었다(p.76)라는 부분 역시 나와 비슷하다. 그래도 작가는 빨리 돌려 달라고 말이라도 했지...나는 돌려 달라는 말을 하지 못했다. 그냥 안 주면 할 수 없지 하며 체념했다. 시험 때 노트 필기한 것 좀 빌려 달라면, 내 돈으로 복사까지 해서 줬다. 도대체 난 왜 그랬을까?

거절하지 못해서이다. 거절하면 상대는 섭하겠지만 작가가 말한 더이상 나 자신에게 미안하지 않아도 된다(p.78)는건 정말 생각도 못해봤다. 휴대폰 명의 빌려줘서 신불되면 어쩌나(p.88)하고 걱정하는 20대의 작가가 나온다. 나는 사기 당해서 신불이 되었다. 이 책이 좀 더 일찍 나와서 그 때 읽었더라면, 신불은 안 되었을텐데...명의 같은 거 절대 빌려 주는 일은 없었을텐데...

업무시간에 톡하고 쇼핑하는 A직원(p.125)은 나도 학원서 봤다. 수업시간에 학생들 문제 풀라고 하고 본인은 옷 고르고 있다. 옆에서 보는 나는 너무 화가 났지만 같은 직원의 입장이라 아무 말도 못했다. 지금의 작가님이라면 뭐라고 눈치있게 말했을까?

눈치를 보며 자란 사람들은 대개 귀가 얇은 경우가 많다(p.158)또 나다. 아는 언니의 다단계 권유에 혹해서 가입했다가 손해만 보고 끝나고, 보험들면 미래에 아주 좋다고 해서 가입했다가 나중에 손해 보고 해약했다. 귀가 얇아서 지금도 누가 뭐가 좋다고 하면 자연스레 마음이 간다.

이 책은 5개의 Part로 구성되어 있다.

Part 1 : 작가의 어린 시절 이야기. 부모님과 떨어져 살아야 했던...

Part 2 : 휘둘리며 살았던 작가의 학창시절 이야기. 너무 나랑 비슷했다.

Part 3 : 작가의 직장생활 이야기. 눈치있게 잘 해내는 작가님~

Part 4 : 작가가 경험한 당당하게 사는 7가지 법칙

Part 5 : 작가의 남탓 안하며 쟁취한 자존감 이야기, 아주 멋찜!

어떤 부분에서는 너무 공감되서 눈물이 났다. 나처럼 남 눈치 보며 남들 먼저 챙기고, 이용 당하고, 정작 가장 소중한 자기 자신을 학대하며 살고 있는 세상의 모든 착한 사람들에게 바치고픈 책이다.

세상에 얼마 안되는 착한 사람들...이제 임세화 작가님처럼 행복해지시길... 나도 오늘부터 행복해지기 시작!!!


* 아래에 마음에 와 닿았던 구절들을 정리해 보았다. 

p.6 내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당당하게 눈치 보고, 눈치를 활용하자는 것이다.

p. 16 내 마음이 채 단단해지기 전이라면 내가 원망하기 가장 쉬운 대상은 나 자신인 동시에 가족이다.

p.18 눈치 보이는 상황을 어떻게 하면 나에게 좋은 방향으로 활용할 수 있을까하고 생각해 보자.

p.23 내가 괜찮은 사람인데, 어디든 상관없잖아? 이곳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이 되고야 말겠어.


p.31 내가 어떤 사람인지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이리저리 휘둘리고, 나는 누구일까? 줄곧 불안에 떨며 곪아가다 결국에는 폭발해버리는 한 사람이었다.

p.35 누구보다 나를 가장 걱정하고 생각하는 존재. 그것은 바로 나이지 않을까.

p.40 상대방의 생각과 진심을 알려고 노력하기에 앞서 이제까지 눈치 보느라 애쓴 자신을 들여다보고 다독여주는 것이 우선이다.

p.44 우리는 타인의 시선에 지나치게 의존적이다...내 의견을 확실하게 말하지 못한다. 내 생각이 무엇인지 모르는 경우도 많다.

p.49 지나고 보니 내 눈치 습관은 꽤 쓸만했다. 눈치를 통해 후회를 남기지 않는 선택을 하려고 노력하게 되었다.

p.53 나를 소중히 하지 않는 이를 위해 좋은 사람이 될 필요가 없다...나를 가벼이 여기는 이를 빠르게 정리하는 것이 나를 소중히 여기는 일이라는 것도 알 수 있었다.

p.54 아침에 눈을 뜨면 '오늘 하루도 잘 부탁해.' 자기 전에는 '오늘 하루도 수고했어. 고마워.'라고 나 스스로 격려를 보내고 토닥여보자. 그렇게 하면 나는 하루만치 더 소중해질 것이다.

p.67 왜 나조차도 상처의 화살을 자신에게로 돌리고 있는 것일까? 왜 자책하며

힘든 나를 더 괴롭힐 수 밖에 없는 것일까? 왜 나를 괴롭히는 일에 나의 소중한 시간을 쏟아붓고 있는 것일까?

p.70 그렇게 내 몸이 상하고 힘겹게 마음을 내면서까지 내가 아닌 친구를 지켜낼 필요는 없었다. 그걸 너무 늦게 깨달았다.

p.71 마음을 내어 배려한 사람은 잘못이 없다. 배려 받는 방법을 잘 못 배운 사람들이 잘못이다. 다만 그런 사람들에게 나의 마음을 갈아넣으며 배려까지 한 것은 내가 부족해서이다.

p.77 나쁜 사람이 되지 않으면서도 휘둘리지 않는 가장 중요한 것은 '단호함'이라고 생각한다.

p.97 눈치를 본다고 해서 주눅 들어 있을 필요는 없다. 친절하되, 눈치껏 당당하게 행동하는 것. 그것이 내가 찾은 진정한 나의 모습이다.

p.126 사회생활에서 눈치 있는 말과 행동은 모두 나의 능력이 된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p.130 모든 것을 바친 회사와의 이별을 통해 '혼자서 모든 것을 해낼 수는 없고, 과한 것은 독이 된다'는 것을 배웠다.

p.156 사직을 권유받았거나 퇴사를 결정했다고 해서 의기소침하지 않았으면 한다. 그 속에서 단 하나라도 체득한 것이 있다면 그걸로 된 것이다.

p.165 눈치 보는 사람은 용기도, 줏대도 없고 반드시 주눅 들어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눈치를 잘 보는 사람은 타인과 상황에 민감해서 '어떻게 하면 평화적인 분위기를 만들 수 있을까?'를 고민하며 애쓴다.

p.166 내가 당당하게 말한다고 해서 외부 적으로 대단히 큰일이 일어나지는 않지만 한 번 한 번의 행동으로 내 마음은 조금 더 위로 받고 단단해질 것이다.

p.172 '타인에게 사랑받는 소통의 기술'이란 결국 '센스있게 눈치 보는 기술'이지 않을까.

p.173 내가 생각하는 배려는 상대방을 생각하지만, 내 입장에서의 상대방이 아닌 그의 입장에서 생각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p.181 배려라는 것은 눈치가 없으면 할 수 없는 것이다... 나의 최적의 배려는 분명 다시금 나에 대한 배려로 되돌아올 것이다.

p.184 좋은 말이 사람의 기분과 분위기를 오래도록 좋게 유지시킬 수 있다는 것에 놀랐다.

p.185 내가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있다면 상대를 기분 나쁘게 해서는 오롯이 얻어낼 수 없다...바라기만 하지 말고 흐름을 나에게로 가지고 올 센스 있는 대화를 위해서 어떻게 해야할까를 고민해야 한다.

p.187 좋은 말을 듣고자 한다면, '나는 어떻게 말하고 있는지?'를 생각해 보아야 한다... 나쁜 말을 뱉는다면 그 말로써 나빠지는 대상은 상대가 아닌 내가 된다. 내 마음 속에는 나쁜 말이 돌고 돌아 부정적인 기운으로 가득 차게 된다.

p.191 누군가의 무례를 자기 잘못이라고 스스로에게 화살을 쏘아대지 말자. 한 번이라도 질문을 던지다 보면 결국 나의 잘못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될 것이다...하지만 모른다고 해서 잘못이 없는 것은 아니다. 모른다고 해서 다른 이에게 상처를 줘도 되는 것은 더더욱 아니다.

p.199 나를 바라보는 것도, 마주하는 것도, 나에 대해 알아가는 것도 어렵고 힘들었다. 그렇지만 포기하지 않았다. 음악, 영화, 드라마, 책, 글쓰기 등을 통해 끊임없이 나 자신을 어루만져갔다.


p.203 나 스스로 격려하고 칭찬하면서 깨달은 점이 있다. 바로 사람은 생각보다 칭찬할 구석이 많다는 것이다.

p.204 '나라는 사람은 멋진 사람이야. 그냥 내가 좋아. 내가 나라서 행복해.' 이렇게 말하다 보니 자신감이 차오르고 있었다. 조용하던 목소리에 힘이 들어갔다.

p.212 눈치를 보는 것과 눈치가 있는 것은 어떻게 다를까? 보는 것과 있는 것의 차이점은 인지와 행동에 있다고 생각한다... 행동하는 것은 내가 가지고 있는 눈치를 자유자재로 활용하여 주어진 상황에서 알맞게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이다.

p.217 건강한 자존감은 결코 한순간에 만들어지지 않는다. 한 번 한 번의 좋은 눈치가 모여 비로소 이루어지는 것이다.

p.218 "지금 행복한가요?" 당신은 이 질문을 듣고 즉시 대답할 수 있는가? 대답이 망설여진다면 그 이유는 무엇일까?

p.220 나라는 사람에 대해 배워가면서 지난 시간과 비교해 지금껏 숨 쉬며 살아가는 자체가 감사했고, 행복으로 느껴졌다.

p.221 '모든 것은 내가 행복한 방향으로 흘러간다.'라는 확실한 명제를 세우고 나니 그들의 존재와 행동은 더 이상 아무렇지도 않았다. 그렇게 나는 내 행복을 남 탓하는 일에 쓰지 않기로 했다.

p.223 나의 행복은 타인이, 외부 환경이 결정지을 수 없다. 내 행복을 결정할 수 있는 것은 오직 나 자신이다... 남을 탓하고 환경을 탓한다는 것은 결국 '내 잘못으로 받아들일 용기가 없다는 것'이다.

p.224 행복을 원한다면, 남의 탓을 하기보다 이기적이라 할 정도로 행복을 쟁취하겠다는 집념을 가져라.

p.232 도전하는 자체로 충분히 훌륭하기 때문에 절대로 주눅들 필요도 기죽을 것도 없다. 내가 하는 도전 하나하나는 나의 소중한 자산이 된다.

p.242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받아들일 수 있는 마음의 자리를 내주어야 한다.

p.244 한 번 한 번의 노력 끝에 나를 알아갔고, 그것은 곧 나을 인정할 수 있는 힘이 되었다...개성을 바라보고 장점을 찾으며 나는 나대로, 남은 남대로 인정할 수 있는 용기가 생겼다.

p.248 자신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표현하는 것에 겁을 먹고 계속 피하기만 한다면 영영 나의 색은 다른 사람의 색에 물들어버릴 지도 모른다. 원치 않은 상황에 끌려가 버리고, 불편한 사람들 속에 휘말릴 것이다.

p.249 우리는 그저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사랑하고, 있는 그대로의 내 모습으로 마음껏 행복해지기만 하면 된다.

p.257 눈치를 제대로 챙겨야 나를 지킬 수 있고 나의 사람도 지킬 수 있다. 내 곁의 소중한 사람조차 지키지 못해서는 행복한 인생을 만들어 갈 수 없다.


p.260 내가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 깨달아서 좋았고, 싫은 것은 무엇인지 알게 되어 감사했다. 좋아하는 일을 할 수 있고, 싫어하는 일을 종종 피할 수 있어 감사했다.

p.261 바라는 마음보다 감사하는 마음을 우선하게 되면 감사할 일들이 더 많아지게 된다. 당장 나를 사랑하는 것이 어렵다고 느껴진다면 감사를 전파하는 것부터 시작해 보자. 주변을 둘러보며 입 밖으로 내뱉고 글로 써보자.


p.266 내가 나를 믿고 당당하게 말한다면 상대도 나를 믿게 된다. 물론 믿음에 대한 값은 제대로 치러야 할 것이다.

p.269 모든 잘못이 나 때문인 것 같아 괴롭다고 해도 걱정할 것 없다. 지금부터 노력해 가면 된다. 나 자신을 돌아보고, 나를 살펴보면 되는 것이다.

p.279 일단 움직이기 시작하면 걱정은 줄어들고 용기는 늘어난다. 일찍 피는 사람 늦게 피는 사람 차이는 있어도 자신의 행복의 꽃을 반드시 피울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