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 사회 - 지식근로자의 몰락, 성과경영자의 부상
류랑도 지음 / 쌤앤파커스 / 201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는 표지에서 지식근로자의 몰락, 성과경영자의 부상이라는 표현을 썼다.
지식경영자, 성과근로자가 아니라. 지식을 다루는 근로자와 성과를 다루는 경영자를 말한다.
프롤로그에서는 '성과'는 '자율과 자유'를 억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극대화 시켜주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성과사회의 핵심은 '자기완결적' 의사결정이라는 전제하에 아래의 질문으로 이 책을 시작한다.
개인의 자기완결적 의사결정이 가능한 성과사회, 집단이 아닌 사람 중심의 성과사회가 올바르게 정착되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혁신하고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먼저, 모든 변화가 성과사회를 향하고 있다고 제시한다.


묵묵히 일하면 승진하고, 수십년을 한 직장에 근무하다 퇴사하는 우리의 아버지들 시절은 이제 옛 이야기가 되었다.
평생 직장이 아니라 평생 직업의 개념이 생겨났고, 급변하는 경영환경 속에서 잦은 구조조정이나 조직의 변동은 조직이 개인을 지켜준다는 믿음을 버린지 오래다.

위에서 지시 받는 대로만 열심히 일하는 사람보다, 자율적으로 아이디어를 내고 주도하는 사람이 각광받기 시작한다.
개인의 전문성을 존중하지만, 큰 그림을 위해서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과 협업하는 것도 놓쳐서는 안된다.
그리고, 이러한 개인을 이끌기 위해서 상사가 아닌 리더가, 관리자가 아닌 경영자로서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성과사회로의 변화를 가로막는 허들에는 무엇이 있을까?


그 동안 잘못 알고 있었던 성과의 정의부터 정확히 알아야 한다.
비자발적인 야근으로 만들어 낸 목적이나 목표와 상관없는 것은 그냥 '결과'일 뿐이다.
품질이 아닌 투입한 양, 열심히 노력한 정도를 계량화한 것은 '실적'
의도한 전략과 방법대로 목적과 목표를 달성한 결과물이 바로 '성과'이다.


기술이 발전하고 일하는 형태와 삶도 달라지기에 이제는 스스로 의사결정하고 주제적으로 판단해야 살아남는다.
'역할과 책임'을 존중받고, 일에서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보장 받는 것이다.
또한 조직도 수직적이고 계급지향적인 문화에서, 수평적이고 역할지향적인 문화로 혁신해야 역량있는 개인을 잡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성과사회를 이끌어 갈 미래 인재의 조건이다. 우리가 가장 주목해야 할 부분이 아닌가 생각된다.


의식 없이 일하기 보다 '자신의 역할'과 '일의 의미'를 재정립하여, 사명감을 키워서 '열정과 자부심'을 행동으로 표출한다.
묵묵히 주어진 일만 할 것이 아니라 일의 '목적'과 '목표'는 '성과지향적'으로, 일의 '전략'과 '방법'은 '목표지향적이어야 완벽하게 일의 주인이 된다.
서로 다른 상대를 인정하고 존중함으로써 '일방적 수용'이 아닌 '쌍방적 토론'으로 소통해야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역량 있는 미래형 인재로써 갖추어야 할 4가지 조건을 제시한다.


이 책을 통해 가장 크게 느낀 점은, 그 동안 우리가 성과의 의미에 대해 정확히 알고 있었는가이다.
자리에 앉아서 자료 만들고, 야근하고 일하면 그 모든 것들이 성과인 줄 알았는데, 성과와 실적, 결과는 전혀 다른 애기였다.
그렇기에 성과사회로 가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성과의 의미부터 제대로 알아야 하겠다.
아울러, 그 의미를 제대로 실천하기 위해서는 시키는 일만 하는 조직의 부품이 아니라 직접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주체가 되어야 하며, 강력한 실행력이 담보되어야 한다.


앞으로 바뀔 사회에 대한 방향도 제시하지만, 지금 수행하고 있는 '업에 대한 진정성'에 대해서 다시금 생각할 수 있는 계기를 주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