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스 사이언스 - 프랑켄슈타인에서 AI까지, 과학과 대중문화의 매혹적 만남 서가명강 시리즈 2
홍성욱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크로스 사이언스'에 대한 기대감

저자에 대한 소개가 참 독특하다. '소통하는 과학기술학자'라니. 

과학기술학이라는 학문도 처음 들었지만, 소통이라는 표현은 과연 누구와 누구의 소통을 의미하는 것일까?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에 재직 중인 홍성욱 교수는 과학과 인문학, 과학과 예술 등의 접점을 발견하는 융합적 과학기술학자이며, 과학을 우리 삶의 더 가까운 곳으로 이끌고자 이 책을 집필했다고 한다. 

인문학에 대한 목마름과 새로운 기술 발전에 대한 경외감과 관계를 해소 할 수 있는 책이라 생각되어 기대감으로 펼쳤다.




'크로스 사이언스'의 구성

과학과 인문학의 교차와 연결을 풀어가기에 본격적인 내용 전개에 앞서

학문의 분류를 통해 과학기술학(STS,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의 정의를 소개한다.


아울러, 기술과학, 융합, 유토피아, 디스토피아 등 내용을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주요 키워드에 대한 설명도 곁들인다.


책은 크게 4부로 구성된다.

(1부) 대중문화와 과학의 크로스 - 미친 과학자, 슈퍼우먼 과학자, 오만한 과학자

(2부) 세상과 과학의 크로스 - 미래는 유토피아인가 디스토피아인가

(3부) 인간과 과학의 크로스 - 로봇과 인간은 공존할 수 있을까

(4부) 인문학과 과학의 크로스 - 과학의 시대, 생각의 경계가 무너진다


또 하나 이 책의 특징은, 매 챕터의 마지막 부분에서 하나의 Q&A를 통해 각 챕터의 내용을 아우른다.



'크로스 사이언스' 에서 기억에 남는 내용들

소설 '프랑켄슈타인'에서 프랑켄슈타인은 괴물의 이름이 아니라, 괴물을 만든 박사의 이름이었다는 소소한 것에서 부터,

위인의 전기에서 주인공의 다양한 모습을 알기 위해서는 작가가 만들고자 하는 주인공의 이미지와 숨겨진 의도를 알고 추가되거나 빠진 부분은 없는지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면서 읽어야 한다는 새로운 사실도 알게 되었다.

마찰이 없는 평면, 저항이 없는 공간을 상상함으로써 관성의 법칙과 자유낙하의 법칙을 만들어낸 갈릴레오의 비밀은 정말 대단했다.

과학자의 일이 예술가의 일과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는 저자의 말에 고개를 끄덕일 수 밖에 없었다.



'크로스 사이언스'를 읽고 난 후 

사실 쉬운 책은 아니었다. 아니 정확히 말하자면 읽을 때는 정말 재미있게 읽었다. 

소설과 영화, 예술, 문화, 생활 주변과 긴밀하게 연결된 과학의 매혹적인 만남을 다양한 사례를 통해서 설명했기에 쉽게 책장을 넘겼다.

특히, 개인적으로 굉장히 흥미있게 보았던 영화 '가타카'를 통해 유전자의 차이와 인간의 운명을 다룬 부분도 좋았고,

인간보다 더 인간다운 사이보그를 통해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것은 세상에 대한 애정과 자비심이라는 메시지도 좋았다.

인간 지능을 넘어서는 초지능 기계의 등장과 그로 인한 미래의 모습을 제시한 것은 한 번도 생각치 못했기에 충격적이었다.

다만, 이런 내용들과 흐름, 전체적인 메시지를 조리있게 정리하고 서평으로 작성하기에는 내 역량이 부족함을 탓할 수 밖에 없었다.

느낌과 감정들을 부분 부분 나누어 간간이 정리한 것으로 만족할 뿐이다.


ㅇ 가치더블업의 스마일 코멘트는? 과학과 인문학. 생각의 경계를 무너뜨리는 흥미로운 내용. 직접 읽어봐야 이해할 수 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