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추악한 배신자들 - 조선을 혼란으로 몰아넣은 13인
임채영 지음 / KD Books(케이디북스) / 2008년 7월
평점 :
품절




조선의 추악한 배신자들

임채영(경덕출판사)

 

 

이 책을 받아든 순간 나는 온 몸에 전율을 느꼈다.

책장 겉표지에 적힌 '우리 민족의 아픈 역사를 끄집어낸 것은 언제라도 '국익'을 내세우며 똑 같은 행위를 저지를 사람

들이 여전히 상존하고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이 말에 한동안 나는 엄청난 충격을 받았다.

그럴 것이다..언제나 위정자들이나 위선자들이 가장 내세우기 좋은 말이 '나라를 위한 일이다.국익을 위하여 하여

야 한다'라는 논리이다.

이러한 논리때문에 지도자의 오판  또는 개인의 사리사욕으로 인해 우리 민족은 많은 고통을 받았으며

또한 그에 따른  단죄를 받지 않아서앞으로도 우리 나라가 존재하는 한은 또 나타날 것이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주변 국가의 심상치 않은 움직임에도 내분을 일으키며  엉뚱한 보고를 하여 임진왜란을 겪었고

백성을 위한 정치가 아니라 자신들만의 정치를 하다가 결국에는 왕까지 치욕을 겪은 병자호란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내가 아직도 감탄하는 것은 이 나라를 이끌어 가는 지도자는 다름 아니라 민초들이라고 믿는다.

나라가 혼란스럽거나 국제 정세가 어지러을때도 이 나라를 지키는 사람은 다름 아닌 민초들이다.

절대 정치인들이나 지도자는 아니라고 지금까지의 역사로 보아서 그렇게 판단하고 있다.

5천년 역사에서 과연 제대로 된 지도자가 몇명이었나 한번 생각해보라. 역사는 돌고 도는 것이다.

실제로 정치인들과 지도자들은 믿지 않는다. 이 땅에서 살아가는 민초들이 이 나라를 지탱을 하고 있다고 본다.

하지만 이 땅에서 살아가는 민중들이라도 정신을 차려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나의 가슴에 뭉클하게 와 닿는다.

아마 이 책은 그나마 그런대로 무난하게 남들이 이해를 하는 수준에서 선정을 한 것 같았다.

정확하게 객관적인 입장을 반영을 하였다면 더 많은 사람들이 나왔을지 모르지만 지금 남아있는 사람들 때문에

표현을 하지 않은 거 같은 느낌이 들었다.

이 책은 우리나라의 역사적인 분기점이나 중요한 이슈가 생성될때 발생한 사건을 중심으로  배신자들을 골라낸

것 같다.

좀 아쉽기는 하지만 그래도 이 정도라도 많은 독자들에게 알려주는 것 이 또한 얼마나 고마운지 모른다.

일례로 세조때의 간신인 한명회를 예로 들지만 사실은 세조와 더불어 추가되어야 할 사람은 다름 아닌 바로 세종대

왕의 형인 양녕대군을 넣지 않은것이 좀 아쉽다.

태종의 외척세력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생긴 그 앙금은 양녕대군이 결국은 보위에 오르지 못하는 결과로 나타나고

그 에 따라 세종이 왕이 되었다. 그러나 후에 문종이 죽고 세조가 조카인 단종을 제거하고 왕위에 오르는 과정에 양

녕 대군은 침묵을 하였다 아마 자신이 왕이 되지 못한 것을 동생인 세종의 아들들이 골육상잔을 벌이도록 방조한

그 책임을 묻지 않을수 없다.

뚜렷한 이유없이 조카를 왕의 자리에서 내쫓은 원흉은 다름 아닌 세조이다. 왜 빠졌을까? 아쉽다.

만약 나라면 여기에다 양녕대군과 세조를 같이 넣고 싶다.

명분없이 자신의 권력을 얻기위하여 조카를 살해한 세조도 반드시 포함시켜야 한다.

또한 정여립의 모반이라는 것을 모함을 하여 자신의 영달을 위하여 조선의 선비 1000명이나 희생을 시킨

정철도 빼놓을수 없다. 선조의 추악한 권력유지와 자신의 영달을 위하여 모진 고문을 한 정철은 비록 조선의 뛰어난

문장가이기는 하나 정치적으로는 도저히 용서할수 없는 인물이다.

그 덕분에 조선은 추악한 당파 싸움때문에  임진왜란시 변변한 대책하나 없이 국토를 유린당하였다.

거기에다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을 유발한 인조도 빼놓지 말아야 한다. 냉정한 국제 정세 분석없이

명분만을 고집하다 임진왜란과 같은 참혹한 참상을 다시 겪게한 인조도 빼놓을수 없다.

또한 조선후기의 외척들인 안동김씨 일가와 풍양조씨가문을 들먹이지 않을 수 없다.

그나마 겨우 지탱하던 조선의 뿌리를 자신들의 이익을 위하여 외세의 변화를 무시하고 철저하게 자신들만을 위한

정치를 하는 바람에 후에는 결국은 을사 5적같은 사람들이 나오게 한것은 의문의 여지가 없다.

을사오적들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아무리 봐도 순간적으로 울분을 느낀다.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인지 그들이 무슨 생각으로 이 나라를 일본에 넘겨주었는지 도저히 상식적으로 이해가 되지 않는다.

이 책을 읽으면서 너무나 울분을 느낀다.

만약 이들이 없었다면 우리의 역사는 바뀌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모두 국가를 위한 일이라고 하지만 막상은 자신들의 이익을 위하여 국가가 어떻게 되든 상관하지 않은 사람들이다.

모든 사람이 이 책을 읽어서 다시는 우리의 국토가 외세에게 유린되지 않도록 정신을 다시 한번 깨우쳤으면 좋겠다.

이 책을 읽으면서 흥분을 하지 않을 수 없지만 냉정하게 판단을 하여 다시는 이러한 사람들이 나오지 않게 해야한다는

생각이 들게 하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