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초 2
김탁환 지음 / 민음사 / 2008년 7월
평점 :
품절




혜초

김탁환(민음사)

 

역사와 소설의 만남이 하나의 흐름이 되고 있다.

나역시 역사를 소재로해서 펴낸 팩션을 즐긴다.

역사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당시를 상상하는 상상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생각을 한다.

그 시대로 빨려들어가서 함께 숨쉬고, 느끼고, 행동하면서 일체가 되어져야 제대로 안다고 할 것이다.

하지만 그 누구도 그시대를 완전히 이해할 수 없다는 것 또한 진실이다.

이번 혜초역시 저자가 그동안 마음속에 간직한 궁금증과 호기심의 발로에서 시작되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왕오천축국기]의 저자 혜초가 아니다.

인간으로서의 혜초를 만나보는 것이다.

그가 맨발로  머나먼 미지의 땅으로 왜 나섰는지, 당나라를 떠나서 천축을 거쳐 대식, 돌궐 그리고 다시 당나라

장안으로 돌아오는 4년여의 장정동안 그가 무엇을 보았는지 등을 상상해보면서 소설을 만들어간다.

우리에게 익숙치 않은 지명과 함께 김탁환저자가 갖고 있는 독특한 전개로 인해서

1권을 읽는내내 무엇하나 제대로 이끌어내기가 힘들었다.

1권에서 고구려의 핏줄을 이업받은 고선지와 혜초의 만남이 이루어진다.

검은 모래폭풍이 휘몰아치는 대유사에서 그들의 만남은 아마 운명이었을 것이다.

일가족의 시체를 머리위에 이고서 모래굴속에서 실신하고 있는 혜초

혜초는 그 모래속에서 무엇을 하고 있었던 것인가?

궁금증은 2권 말미에서 해갈된다.

그들의 만남은 다시 혜초가 기록한 여행일지로 사건은 꼬리를 문다.

혜초가 기록한 여행일지를 몰래 빼내려던 신라상인 김란수, 그리고 무희 오름이 얽힌다.

대유사의 검은 모래폭풍으로 기억을 잃어버린 혜초는 자신의 여행일지를 되찾고자 하면서

김란수와 함께 도망을 간다.

그리고 그들을 뒤쫓아 나선 고선지와 오름.

2권에서는  혜초는 김란수와 엮이게 된 사연을 알게 된다. 노예상인들의 꾐에 빠진 김란수는 자신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또다른 사람들을 노예로 끌어들인다. 혜초와 야곱. 서로 다른 신을 믿으면서 서로 다른 경전을 읽고 하지만

그들은 유일신에게 의존하는 나약한 인간이라는 공통점을 확인한다.

처절한 사막에서 일어났던 식육의 사건, 잃어버린 기억을 서서히 되찾으면서 밝혀지는 음모등이 어우러진다.

2권에서 새롭게 드러나는 오름의 실체등으로 생동감이 살아난다.

오름이 맘속에 감추었던 복수의 칼끝은 바로 인간의 욕심에서 시작된 것이다.

나와 다른 종교와 민족을 터부시하고 정복의 대상으로만 보았기 때문에

서로 죽고 죽이면서도 아무런 감정을 느끼지 못하는 것이다.

-우리네 삶이 아름다우면 그네들의 삶이 아름답고, 우리네 삶이 비루하면 그네들의 삶도 비루하고, 우리네 삶이 슬프면 그네들의 삶이 비루한 것이다.

또한, 소설을 읽으면서 정수일선생님의 왕오천축국전을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번역본과 함께 다시 이 소설을 읽어본다면 또다른 맛을 느낄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