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스킹 1 - 저주의 체스판 두뇌트레이닝 플레이북 1
라이너 지음, 가재발 그림, 진재호 감수 / 살림어린이 / 2008년 4월
평점 :
품절




체스킹-저주의 체스판1 (살림어린이)

 

 

동양에는 옛날부터 전해오는 전통적인 놀이가운데 하나가 바로 장기와 바둑이다.

장기와 바둑은 군사작전에서 비롯된 놀이이고 양반들의 놀이가운데 중요한 역활을 하였다.

왕실에서도 바둑을 즐기기도 하였으며 오죽하면 바둑 때문에 왕이 죽은 경우도 있다.

바로 백제의 개로왕인데 고구려의 첩자인 도렴이라는 승려때문이다.

도렴은 바둑을 아주 잘두는 고수여서 개로왕의 각별한 신임을 받아서 결국에는 백제의 내환을 초래하여

개로왕을 죽음에 이르게 할 정도이다.

또한 장기는 우리가 가장 많이 듣는 초나라와 한나라는 두 왕의 항복을 받아내는 게임이다.

서양에서는 일찌기 체스라 많이 성행을 하였으며 현재 프로체스시합도 열려지고 있다.

가끔 방송으로 체스왕과 슈퍼컴퓨터간의 체스 게임을 보여주기도 하여 화제가 되었다.

과거에는 시원한 나무 그늘아래에서 어른들이 모여서 서로 장이야 멍이야 하며 하던 장기는 요즈음에는

아이들이 체스에 많이 익숙해져 있는 상태이다.

하지만 체스의 기원에 대해서는 사실 잘 모른다. 그저 체스를 어떻게 두는 방법만 수박 겉핥기 식으로 알지

그나마 자세한 게임룰이나 체스판의 기물을 제대로 사용하는 방법을 잘 모른다.

우리집 애들의 경우에는 바둑과 장기 체스를 상당히 좋하하는 편이라 집에 다 게임기구를 갖추고 있다.

또한 두 애는 수시로 게임을 하자고 조르기도 한다.

특히나 체스 게임을 좋아한다.

아마 아직 어린아이라 그런지 바둑의 경우 생각해야 할 경우의 수가 많아서 좀 어렵게 느껴지기도 하며 또한 계가니

불계니 대마니 하는 용어의 의미를 잘 모르니 재미가 떨어진다.

장기같은 경우는 기물이 한자로 되어 있어서 그런지 한자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흥미가 반감되는거 같다.

반면 체스는 일단 기물이 서로 다르게 생겨 일단 아이들이 쉽게 접근을 하는 것 같다.

어떻게 보면 세개의 게임가운데 가장 배우기 쉬운 것이 바로 체스인거 같다.

오죽하면 학교에 들어가지 않은 둘째까지 체스를 둘 수 있을 정도이니 일단 접근하기가 좋은 거 같다.

다만 한가지 아쉬운 점은 우리나라 어른의 경우 바둑은 몰라도 장기는 대부분 많이 아는 편이라 집에 있는 아이들

에게 정확한 룰을 가르쳐 주고 어떻게 게임을 하는지 가르쳐 줄수 있지만 체스는 많이 하지 않아서 인지 아이들에게

가르치기가 쉽지 않고 또한 정서적으로도 맞지 않은 것 같다.

바둑이나 장기나 체스같은 게임은 애들의 두뇌발달이나 성격을 차분하게 하여주고 또한 생각도 깊게 하는 좋은 게임이다.

일반전자오락과 달리 잘만 활용하면 오히려 애들에게 훌륭한 학습도구도 가능하다.

이 책을 읽어보니 체스의 기원이 어떻게 되었는지 알수 있고 또한 어떻게 전파되어 현재 어떤태로 서양에서 게임이 진

행되는지 가르쳐준다.

그러한 가운데 중간중간에 게임의 울에 대한 설명도 해주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애들은 만화를 통하여 킥킥 웃으면서

게임의 룰을 익혀버리게 해준다.

게임의 룰뿐 아니라 기물의 중요성이나 어떻게 기물을 사용하는지  자세한 설명까지 곁들여서 괜찮았다.

 

다음편에서 강성이 얼마나 발전을 하면서 악당들과 싸우는지 궁금하고 또 어떤 방법으로 싸우는지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