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이 키운 아이
칼라 모리스 지음, 이상희 옮김, 브래드 스니드 그림 / 그린북 / 2008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도서관이 키운 아이

칼라 모리스 글 브래드 스니드 (그린북)

 

 

도서관이 키운 아이는 사서선생님이 만드신 책이다.

어린이 열람실은 성으로 예쁘게 꾸며져있고, 기사가 책을 들고서 성을 지키고 있다. 

 한쪽 구석에 책에 몰두하고 있는 주인공 멜빈...무슨 책을 저렇게 재미나게 보고 있을까?

라고 물었더니 아들은 아마 로봇책일거라 한다. 요즘 자신의 관심이 온통 로봇에 쏠려 있으니 예상한 대답이다.

멜빈은 도서관에서 알고 싶은것, 세상에 대한 호기심을 하나씩하나씩 채워나갔다.

멜빈을 옆에서 지켜주고, 지지해준 사서선생님인 마즈,베티, 리올라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멜빈이 지금 무엇을 궁금해하는지, 어떤것을 원하는지 그들은 진심으로 도와주었다.

책을 정리하고, 대출, 반납하는 것만의 그들의 일이 아니라 도서관을 찾는 모든 사람들에게

따듯한 나눔을 실천하는 아름다운 모습의 그들이다.

멜빈이 자람에 따라 그들의 역할도 조금씩 달라진다. 멜빈이 뱀에서, 세상의 모든 물고기, 개,고양이로, 또

연극까지 그들은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했다.

 

책을 읽으면서 한편으로 부러웠던 프로그램이 '도서관에서 밤새워 책 읽기'이다.

도서관이 문을 닫을 시간 부모님과 떨어져서 사서선생님이 들려주는 맛깔난 이야기를 듣고 아이들은

상상과 모험의 세계로 여행을 떠날 것이다.

턱을 받치고 그림책에 몰두하고 있는 아이들의 모습은 넘 사랑스럽다.

그리고 책을 품에 꼭 껴안고 꿈나라를 다니고 있는 멜빈의 모습에서 울 아이들의 모습이 보인다.

아이들은 아마 천성적으로 책을 좋아하는것이다. 책을 싫어하는 아이가 있다면 그건 분명히 어른들, 환경의 탓일것이고 말이다.

도서관에서 자신의 꿈을 무러무럭 키운 멜빈은 어떤 사람이 되었을까? 점점 궁금해져온다.

과학에도 재능을 보인 멜빈은 과학자가 되었을까?

고등학생이 된 멜빈은 자원봉사로 도서관을 찾았고, 대학에 가서는 편지와 이메일로 사서선생님과 연결의 끈을 놓지 않았다.

 

그리고 시간이 훌적 흘러 곤충채집통을 들고 대출대를 찾은 꼬마가 나타났다.

제2의 멜빈이다. 이름은 스털링..

얼굴 옆면이 살짝 가려진 새로운 사서 선생님의 등장. 책장을 넘기자 멜빈이 나타났다.

이때 가슴에서 뭉클한 감동이 일었다.

도서관에서 자란 멜빈이 사서 선생님이 되어서 자신이 받았던 사랑을 고스란히 돌려주는것이다.

나눔과 사랑은 점점 베풀수록 커지고 있었다. 나비의 작은 날개짓이 큰 폭풍우로 몰려온다는 나비효과처럼

사서선생님의 작은 나눔이 멜빈에게는 일생동안 큰 사랑으로 느껴졌을 것이다.

또다른 나눔을 실천하는 멜빈에게 박수를 보낸다. 멋져요. 멜빈!!!

 

그림책에서 놓쳐서는 안되는 것은 그림을 꼼꼼히 살펴보는 것이다.

수상작품을 정리하던 사서선생님 옆으로 눈에 익은 책표지들이 등장한다.

아들이랑 이름맞히기 게임을 했는데 내가 이겼다. 아들에게 쬐금 미안하기도 하다.

-polar express(Chris Van Allsberg)-junanji(Chris Van Allsberg)

-Where The Wild Things Are(Maurice Sendak )-Officer Buckle and Gloria(Peggy rathman)


 
 


 

도서관에서는 날마다 신나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 새롭게 들어오는 책들이 자리를 차지하며 우리에게

함께 나누고자 손짓을 한다. 그래서 나는 날마다 아니 시간이 날때마다 도서관을 찾는다.

우리집은 바로 도서관옆이다. 도서관을 찾아서 이사를 했고, 아이들은 학교를 마치고 도서관에서 보낼 때가 많다.

학교, 공원, 도서관이 나란히 붙어 있어 아이들에게 이보다 더 좋은 환경이 없을까 싶다.

아이와 함께 우리 가족은 도서관에서 키운 가족인것이다. 그러기에 이번 책은 더욱 의미있게 다가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