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주 보는 세계사 교실 1 - 고대 문명이 꽃피다 마주 보는 세계사 교실 1
강선주 지음, 강전희.김수현 그림 / 웅진주니어 / 200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주보는 세계사 교실

 

 

인류의 기원나 고대 문명을 고고학자나 기타 학자들이 지금까지도 밝히고 있다.. 그래서 과거와는 다른 수많은 유적이나

유물이 발견되면서 새로운 사실이 드러나고 있는 상황이다.

과거에 우리가 알던 지식은 지금은 바뀌는 경우가 많고 또한 그에 따라 아이들에게도 전해줄때 달라서 가끔 혼동하는

경우가 있었다.

어떻게 보면 참 딱딱한 내용이 많은 편이다.

세계사나 국사에 흥미있는 경우라면 달라도 좀 딱딱하고 또한 복잡한 것이 사실이다.

여기저기 연도가 다르게 움직이고 동시에 일어나는 사건이라 그 원인과 결과에 대해 분석하고 생각하는 것이

쉽지 않다.

또한 일회성이 아니라 연속성이 강하고 동시다발적인 사건이 많기  때문에 재미있게 안다는 것이 좀 무리라고 볼수 있다.

특히 어린이들이 이해하기는 더욱 어렵다.

그런 측면에서 이 책은 마치 어른이나 선생님이 어린아이에게  옛날 이야기를 들려 주듯이 서술을 하여 편안하게 읽어 내려갈 수 있다.

인류가 어떻게 진화를 하였고 또한 어떻게 도구를 만들고 불을 피우게 되었는지를 옆에 있는 것처럼 들려준다.

먼 과거가 아닌 바로 어제의 경험을 오늘  이야기를 해주는 느낌이 들었다.

이것은 책을 읽는 독자의 측면에서 아주 중요한 문제이다.

어제 일어난 일을 오늘 그냥 편안하게 이야기를 해주는 것은 그 만큼 생생하게 기억이 된다는 뜻이다.

또한 그 일이 낯설지 않고 마치 내가 경험을 한 것처럼 느낄 수 있다.

 

다만 한가지 아쉬운 점은 서양사에 너무 편중된 느낌과 함께 뒤로 가면 조금 산만해지는 느낌을 받았다.

동양사에도 아주 많은 자료가 있지만 대충 서술한 느낌을 받을 수 밖에 없었다.

대표적으로 양쯔강 문명이나 황하문명의 홍산유적같은 것을 알려주었다면 더 좋았을 것이다.

분명히 우리가 알기로는 4대문명에 나일, 티그리스-유프라테스, 인더스, 황하 문명이라고 하는데 양쯔강에도 동일 시대의

독자적인 문명이 존재하였었다.

더구나 그것은 황하 문명과 완전히 다른 별개의 문명이다.

 

하지만 역사적 사실을 생생한 사진과 함께 보여주고 있어 아이들의 이해를 돕고 있어

시간이 날때마다 사진을 위주로 한 번 훓어보는 것도 세계사와 친해질 수 있으리라는 생각도 든다.

세계사나 역사를 암기과목으로 대하기 보다는 지금의 나를 위해하기 위해서 과거의 일에 관심을 가지도록

유도를 하고 궁금해서, 호기심을 해결하기 위해서 책을 펼치도록 유도해야할 것이다.

지금까지 서양인 중심의 사고가 고스란히 담기 세계사 책들속에서  우리의 시각에서 새롭게 출간된 마주보는 세계사책을 통해

아이들이 좀더 넓은 세상을 꿈꾸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