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물꼬물 세균대왕 미생물이 지구를 지켜요 - 자연의 아이들 지구를 살리는 친구 (풀빛 지구지킴이) 1
김성화.권수진 지음, 박재현 그림 / 풀빛 / 200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꼬물꼬물 세균대왕 미생물이 지구를 지켜요.

김성화. 권수진 (풀빛)

 

우리와 함께 동고동락을 하고 있었던 그들의 존재를 비로소 알게 되었다.

인류가 지구에 발을 내딛기 훨씬 이전에 그들은 먼저 지구에 자리를 잡았고 다양한 형태의 진화를 거듭하면서

지금도 생존의 끈을 이어가고 있다.

지구의 생성과 함께 세균은 지구에 발을 내딛게 되었다 한다. 하지만 이들 세균이 하늘에서 뚝 떨어졌는지, 지구 생성과 함께 저절로 생성되었는지, 하느님이 만드셨는지 아직 규명되지 않았다한다. 바로 우리 미래의 과학자들 몫인것이다.

세균의 첫출발은 의미심장하다. 원시대양의 지구에서 생존하기 위해서 세균들은 새로운 전략을 마련한다.

바로 원시대양을 뜨겁게 달구는 태양을 이용한것이다. 무한한 에너지를 이용할 생각을 하다니 정말 놀랍다.

우리 인간보다 더 똑똑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인간은 유한한 자원을 이용해서 그 결과로 전쟁과 환경오염이라는 결과를 맞이하고 있다. 인간은 자신이 가장 똑똑한 동물임을 자부하면서 살고 있지만 정말 그럴까? 인간은 환경의 변화에 얼마만큼의 적응력을 지니고 이을까? 만약 세균과 승부를 겨루게 된다면 우리 인간은 KO패를 당할것이다.

시아노박테리아의 전략으로 무한한 태양에너지를 이용해서 영양분을 만들어냈다. 정말 획기적이지 않는가?

시아노박테리아가 광합성을 한결과 인류 탄생의 서곡이 된 산소가 등장한다.

강력한 산소의 등장으로 일부 세균은 더 깊은 바다 속 구석으로 자리를 이동하고, 일부는 다른 형태로 변화한다.

피해서 숨어버린 세균이 있는 반면에 산소를 적극적으로 이용한 것이 있다.

바로 세포속의 미토콘드리아였다. 미토콘드리아는 산소를 숨을 쉬면서 에너지를 만들어냈다.

세균이 다른 세균을 잡아먹기도 하고, 다른 세균으로 진화를 하면서 생물의 종은 다양해진다.

세균외에 또다른 형태인 원생생물이다. 이들은 누구인가?  바로 생물시간에 귀딱지 않도록 들었던 짚신벌레, 아메바등이다.

그리고 등장하는 곰팡이이다. 여름철 잠깐 잠시라도 방시하면 방문하는 그들 바로 곰팡이다.

플라밍이 발견한 푸른 곰팡이로 인해 인류는 유해세균을 퇴치할 수 있게 되었다.

세균, 원생생물, 곰팡이와 달리 다른 생활방식으로 우리 인간과 뗄레야 뗄 수 없는 존재가 바이러스이다.

혼자서는 무생물의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인간 숙주에 기생을 하면 완전한 탈바꿈을 한다.

살아가는 전략중 바이러스의 전략이 바로 1등 전략인것이다. 무생물로 존재하다가 살아갈 환경이 마련되면 생명체로

모드를 변경해 개체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

우리 인류가 최악의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바로 바이러스와 같은 기술을 습득해야되지 않을까라는 생각도 들었다.

 

세균의 발견과 세균의 종류, 세균의 역할, 세균의 다양한 모습, 세균과 생활등 세균에 관련된 전반적인 내용을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추었지만 어른들이 읽어도 흥미롭게 쓰여진 책이다.

 

세균을 보면서 인간의 잣대로  그동안 잘못보았으니 새로운 시각을 갖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