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네팔의 역사와 문화 산책 - 다정 김규현의 히말라야의 꿈 2 ㅣ 다정 김규현의 히말라야의 꿈 2
김규현 지음 / 글로벌콘텐츠 / 2019년 1월
평점 :
나마스테! 김 써르(namaste! kim sir)』와 『네팔의 역사와 문화산책』 그리고 『티베트와의 인연, 4반세기』를 출간 해야 할 만큼
네팔에 대해 할 이야기도 많고 알려주고 싶은 것도 많은 작가는 네팔에 대해 얼마나 많은 애정이 있는지를 알려주는 반증이리라.
이 책 『네팔의 역사와 문화산책』은 '자트란의 나라' 네팔의 축제를 중심으로
네팔을 설명하고 있다.
쉽게 표현하면( 여러가지 책을 읽고 이
책을 읽었다면 네팔에 대해 조금 더 상세하게 표현할 수 있겠으나 표현력이 부족해서 우리나라에 대입시켜봤다.)
우리나라에는 예로부터 부여의
영고(迎鼓), 고구려의 10월의 동맹(東盟), 예의 10월 무천(舞天)등 나라 안의 사람들이 모여 하늘에 제사를 지내고, 음주가무를 하였던
일종의 공동의례이면서 축제가 있었다. 천신에 대한 제사, 자연에 대한 감사, 흥겨운 놀이로서 문화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이른바 축제적인 전통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민간차원에서도 마을굿이나 두레가 축제적 고유 성격을 유지하였으며, 도당굿, 별신굿, 단오굿, 동제 등이 지역민을 묶어주는
역할을 하였다. 지금 나로서는 그 축제를 알 수는 없지만 24절기마다 있었을 것이며 마치 현대의 7일마다 쉬는 휴일의 개념이 포함되는 의미가
포함되었을 지도 모른다. 그때만은 하던 일을 멈추고 쉴 수 있는 시간이었을 테니깐 말이다. 현대로 들어오면서 놀이의 개념이 나태와 동의어로
전수되면서 우리나라의 축제적인 전통이 사라졌다. 게다가 전쟁, 경제난 등으로 '지극히 낭비적인'이라는 말로 축제는 기억 속에서 사라져
갔으리라.
나는 작가처럼 생업을 포기하면서까지
축제를 즐겼다고 보지는 않는다. 우리나라와 같은 음력을 사용하지만 전혀 다른 체계를 지닌 달력을 먼저 유심히 읽었고 축제를 정리한 표를 보고
생각했다. 신의 나라 네팔에서 모든 활동은 신을 위해 행하였으며 휴식의 개념이 노는 거라는 현대적 의미를 지운다면 그것은 축제라고 표현할 수
있을 거라고 말이다. 축제에 대한 개념 정의에서 작가와 조금 달랐지만 힌두교, 불교, 이슬람교 그들이 가지는 종교가 많다는 것은 그 만큼 축제
또한 다양하고 그것에 대해 알아가다보면 네팔의 문화를 이해하기 더 좋을 것이라 생각해봤다.
아직까지도 태어나면서부터 죽을 때까지
축제를 즐기줄 아는 몇 남지 않는 국가이다. 민족이다. 우리는 언제부터 축제에서 음주가무만을 생각했던가? 그 축제가 지니는 원래의 뜻을 우리는
너무 많이 지우고 산 것은 아닐까. 쉽게 표현하면 일주일이 멀다하고 축제가 있는 거다. 엄청 많다. 그러고 나서 다시 읽으니 조금은 정리가 되는
느낌이다. 여기 나오는 신들에 대해 안다면 더 쉽게 읽힐 거라는 추측을 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