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1, 2학년 처음 공부 - 내 아이 ‘공부 첫인상’이 즐거워지는
윤묘진 지음 / 스마트비즈니스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직 초등학교도 입학하지 않았는데 벌써 걱정부터 앞선다. 유치원에서는 벌써 영어, 한자, 리코더 불기, 한글, 수 등을 하고 있고 그림그리기나 노래, 체육, 그리고 과학실험이나 식물기르기 등 모든 과목을 이미 조금씩 접하고 있다. 이미 태권도 학원에 미술 학원, 피아노 학원에 다니는 친구들도 있는 걸로 봐서는 그렇게 극성인 것 같지 않는데도 나름대로 계획부터 세워보는 게 부모가 해야 하는 일인 것 같기도 하다. 최근 <스카이캐슬>을 보다가 공부라는 게 인생에 무슨 의미인가를 생각한 적이 있다.
최대한 자기가 좋아하는 재능을 발견하고 그것을 즐겁게 하다보면은 윈윈하는 인생이 되지 않을까도 생각했지만 막상 공부를 안 시키기엔 현실은 냉혹하다.
부모도 초보고 아이도 초보라 언제나 투닥투닥 언쟁도 많이 하겠지만 공부에 대한 좋은 인상을 심어주지 않으면 스스로 공부를 할 수 없다는 것에 많은 공감이 갔다. 분명 우리 아이에겐 재능이 있는데 내가 발견하지 않았을 수도 있고 아직 발견되지 않았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 책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아이에게 재미있게 공부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배테랑 초등학교 선생님이 추천한 책이라서인지 조금씩 시도를 해보려고 한다. 시끄럽고 산만한 우리아이에게 더 힘들어지기 시작하는 공부를 재미있게 시작했으면 한다.
어쩌면 내가 이미 알고 있는지 모른다. 처음에 7살반 한자공부를 할때 집에서도 예습을 시켰다. 하루이틀 하다보니 내가 아이에게 짜증을 내고 있었고 처음이라서인지 그것에 적응을 하지 못하는 아이가 힘들어 보였고 조금 관심을 끊었다. 아이는 여전히 유치원에서 한자를 월화수를 하였고 시험은 11월에 잡혀 있어서 9월부터는 실전처럼 문제를 풀기를 시작했다. 한글을 겨우 읽고 쓰는 아이가 반복되는 한자공부에 스트레스도 있었고 처음에는 이해조차 못하던 것들을 10월이 지나자 완벽하게 풀어나가는 것을 보고 놀란 적이 있다.
유튜브에서 아이들을 위한 과학놀이 등을 한다. 그건 제법 따라하기도 하고 미디어가 무섭다는 생각을 한다. 아마도 그 속에는 아이들이 흥미를 끌만한 소재가 있었지 않을까. 몇 개를 따라하니 생각보다 어려운 실험들도 많고 어른들이 도와주지 않는 것도 많은데 라는 생각까지 했다.
제4차 산업혁명은 끊임없이 배워야 하는 아이들의 시대일 것이다. 그렇지 않고서는 놀랍도록 발전하는 기술에 뒤쳐지는 일 밖에 없다. 이런 아이들의 처음공부를 어떻게 도울수 있는지 어른들이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지 알아야 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