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관찰의 인문학 - 같은 길을 걸어도 다른 세상을 보는 법
알렉산드라 호로비츠 지음, 박다솜 옮김 / 시드페이퍼 / 2015년 2월
평점 :
품절
나는 요즘 인문학에 빠져있다.
그 중에서도 이전의 거창한 인문학이 아닌 작은 것에 의미를 두는 책에 관심이 간다.
이번 관찰의 인문학 책도 그런 의미에서 읽게 된 책.
거리의 수많은 것들을 내 눈으로 보았다고 생각하고 언제나 같은 길을 가고 있다고 생각하게 되는데,
이 책은 다양한 지식을 가지고 있거나 아니면 저자의 아이와 학자들 또는 애견과의 산책까지 다양한 시선에서 보여지는 각자 나름의 방식대로 관찰한
세상을 보여준다.
똑같은 길을 가도 A와 B는 여전히 다른 세계를 인지하고 다른 시선으로 각자가 보았던 세상을
말한다.
같은 장소에 같은 시간 속에 있었다손 치더라도 개개인의 기억이 다르듯이
말이다.
집중이라는 단어의 의미.
선택과 집중은 단 하나의 대상 외에는 다른 것을 인지하지 못하는 세상을
만든다.
그래서일까? 중요한 것에 몰두하다보면 그 외의 것들은 기억에서 잊혀진다. 아니 기억 속에 있다고
하더라도 신경이 거기까지 못 다다른다. 어쩌면 오랫동안 잊혀진 다음 어느날 문득 그게 있었지라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이 책의 첫 시작은 저자 자신이 보는 세상이다.
집에서 나와서 산책하며 의미를 두고 거리를 유심히 관찰하는 작가의 시선. 언제나 자신이 보았던
길이라 자신하고 있던 그 길에서 저자가 만나는 세상은 훨씬 더 복잡하고 무언가의 더 볼거리로 풍성해진다. 길거리의 꽃, 파이프, 쓰레기더미,
담배꽁초, 난폭한 운전자, 나무들, 계단들, 강아지, 애벌레 등.
관찰을 직업으로 가진 저자라고 해서 자신이 살고, 보고 있는 동네의 모든 것들을 알
것이라 생각했던 저자는
오만했던 것을 자각하게
된다.
두번째는 자신의 19개월된 아이와의 산책.
어른들의 시선에는 정말 사소한 그것들이 아이의 눈에는 신세계 그 자체.
모든 것들이 아이에게는 놀라움의 연속이다. 아이에게 산책의 의미는 밖으로 나가는 것이 아니라
엄마와 아이가 함께 집을 나서기 전부터라는 말이 참 와 닿는다. 나에게는 아무 것도 아닌 것이 아이에게는 얼마나 대단한
것들일지.
아이는 주위의 모든 것에서 산책의 의미를 찾는다. 걷다가 서 있거나 서 있다가 걷거나 그러면서
때로는 앉아서 가만히 주위의 온갖 것들이 내는 소음들에 귀기울인다. 아이들은 눈으로 보고 나면 손으로 만져보고 입으로 가져간다. 아이에게 산책은 그냥 걷는게 아니라 시각, 촉각,
청각, 후각, 미각 등의 다양한 감각으로 세상과 마주하니까 말이다.
나는 그 어떤 관찰자의 시각보다 이 아이의 시각이 더 부러웠다. 잃어버린 아니 잃어버린 것이라
생각되는 우리의 감각들을 아이들은 끊임없이 발견하고 있으니 말이다.
지질학자의 눈으로 본 세상은 도시의 아스팔트부터 각종 암석들과 건축물, 계단의 연석 등 다양한 돌들이 존재하는 거리. 우리는 그냥 일반적인 돌이라
여기고 땅이라 생각하는 것들이 이 학자에겐 고생대부터 현재까지의 다양한 시대가 공존하고 있는 세계이다.
타이포그라피의 세상은 어떨까?
그의 눈에 도시는 온갖 종류의 글자체가 섞어있다. 글꼴을 만드는 사람이다보니 그럴수도 있겠지만
아예 도시를 다니며 다양한 글꼴 수집까지 하고 있으니 우리 는 그냥 무심코 지나치는 광고판이나 포스터 간판 등에서 다양한 것들을 본다. 저자처럼 나도 그렇고 우리
모두 그럴 거 같은데 지나가다 풍광 속에서 글자가 눈에 들어오면 나도 모르게 글자를 읽게 된다. 도시를 상징하는 게 이런 글꼴일 수도 있지만
요즘은 시골 풍광에서도 종종 이런 경우를 만난다. 대부분 고속도로를 타면 더..
일러스트레이터 역시 마찬가지.. 수많은 그림들을 접하고 있는 사람이지만 세상에 다양하고 특이하고
또는 아무렇게나 버려진 것에서도 이미지는 있다. 그런 것들은 시각적으로 우리를 이끌어내는 역할을 한다. 평범한 것들조차도 새롭고 낯선
것이 될 수 있다.
책을 읽으면서 나 역시 저자의 생각과 별반 다르게 살지 않았구나 싶다.. 저자는
다양한 직종의 사람들을 만나면서
그들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면서 불편하게 느끼는 점들이 한 둘이 아니다. 도시는 공공의 공간을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개인적인 공간이 훨씬 많다.
그런 영역을 깨트릴 때 사람들은
불편함을 느낀다. 저자 역시
그렇다.
이번에는 곤충학자와 만남.. 도시에 수많은 것들이 우리와 공존하고 있다는 것은 알았지만 곤충학자를
통해 본 도시의 모습은 더 많은 것들이 우리 주변에 산다는 것을 알려준다. 특히 나뭇잎에서 사는 곤충들을 묘사하는 글에서는 이렇게나 많은
곤충들이 살까 싶다.
산책을 하든 등산을 하든 주변에서 보았던 나뭇잎은 나무에 달려있거나 떨어지거나 아니면 그냥 잎에
구멍 뚫려있는 나뭇잎 정도라 생각했다. 그런데 이 곤충학자는 그런 잎들이 모두 각기 다른 곤충들이 갉아먹은 표식들이라고 한다. 그냥 송충이 정도만 아는 나.
놀랍다.
야생동물가의 눈에는 너구리, 다람쥐, 쥐, 매, 독수리, 비둘기등의 모습에서도 다양한 것들을
알려준다. 도시의 생태계에 속해 있지만 우리 눈에 띄지 않을뿐 우리와 함께 공존하고 있는 것들에 대해서..
도시학자의 눈에는 뉴욕이 어떻게 보일까? 인간은 사회적인 동물이다. 교통량이 많은 사회에서 보면
더욱 더 알 수 있다. 사람들 역시 챠량행렬처럼 무의식적으로 걷는다. 누군가와 부딪힐거 같으면 먼저 예측을 해서 다가오는 사람과 부딪히지 않기
위해 지나간다. 본능적으로 접촉이 불가피 하다면 그것을 피하기 위해 애쓴다. 그런 암묵적 보행규칙을 깨트리는 사람들이 누굴까.. 바로 휴대폰으로
대화를 하거나 휴대폰을 보느라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자신의 행위에 보다 집중하느라 주변을 의식하지 못한다. 교통 흐름에서도
운전자가 휴대폰을 보는게 얼마나 사고를 유발하는지 통계가 나올만큼 말이다. 보통 인간은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사람들에게
서로 해를 끼치지 않기 위해
애쓰는데 말이다. 또 보행자들의 시선에 대한 글도 있는데 인간은 걷는 시간의 1/3을 앞 또는 먼 길바닥을 본다고 한다. 그런데 보도를 보고
있는지는 스스로 망각한다. 가장 많이 보지만 가장 모르는 것. 인간의 시각이 그 수많은 정보들을 다 처리한다면 어떻게 될 지 참
궁금해진다.
그 다음으로는 의사와 물리치료사의 내용이다.
인간의 여러 가지 병증에는 징후가 발견된다. 우리는 그것을 통해 어디가 아픈지 미리
예측할 수 있다. 오늘날에는 과학의 발달 때문인지 수많은 사람들의 징후들을 CT , MRI등을 통해 자료로 분석하는 데 익숙해져있지만
예전의 의학자들은 문진이나 관찰
등을 통해 사람의 병증을 재빨리 알아내곤 했다. 누구나 있으나 아무도 신경쓰지 않는 징후와 흔적들을 관찰하는 것. 관찰의 중요함을 깨닫게
해준다. 의사라면 다양한 과학적 데이터도 중요하지만 로버 박사가 어릴 때부터 받아 온 시각 수업처럼 환자의 병력, 직업, 가정생활, 습관 등을 통해 환자가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것들을 같이 유추해낼
때 더 나은 진료를 하지 않을까
싶다.
시각장애인의 관찰은 어떨까?
그녀의 감각은 시각에만 머물러있지 않다. 오감을 모두 사용해 대상의 이미지를 유추해낸다. 처음부터
시각이 없었던 사람은 아니지만 나이가 들면서 생긴 시각장애는 세상을 보는데 얼마나 많은 감각이 필요한지 다시금 일깨워준다. 일반적인 사람의 경우
대개 관찰이란 의미는 시각에 국한적이다. 그런데 그 이외에 촉각, 후각 청각 등의 영역도 관찰의 대상에 포함된다는 사실은 잊어버린다. 본다는
것의 의미는 그저 보는것이 아니라고 말한다.
이번에는 음향엔지니어! 귀를 기울이다. 어떤 것이든 소리의 종류에 우리가 한계짓는 것에 대한
생각을 바꾸게 되었다. 강아지는 '멍멍', 소는 '음메음메' 등등, 저자의 말처럼 정말 강아지가 소가 저렇게 우는게 아니라 단지 문자 기호로,
사회적으로 그렇게 약속한 것을 뿐인데도 우리는 유치원에서 학교에서 그렇게 가르친다. 그가 보는 도시의 소리는 뭘까? 소음 덩어리...이 소음
덩어리에서 내가 좋아하는 소리만 유심히 들을 수 있는 귀. 우리는 그렇게 우리가 듣고 싶은 소리에만 귀기울이고 있진 않을까?
마지막으로 자신의 애견과의 산책이다. 인간이 눈으로 대상을 감지한다면 개는?
후각일꺼다.
사람에게 냄새는 어떤 의미일까? 온전히 개처럼 대상에 대해서 공간을 지나가는 바람의 냄새를
가지고는 알지는 못한다. 그러나 우리는 냄새로 타인을 기억하고, 아버지를 기억하고, 엄마를 기억하고 추억을 기억한다. 우리에겐 그런 기억이,
추억이 냄새이지 않을까?
또 중간중간 챕터마다 유명한 사람들의 글귀를 적어놓고
있는데.. 특히 얼마나 먼 곳을 여향하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 것은 얼마나 많은 것을 알아차리느냐라고 한다.
지금 내가 있는 이 곳과 내가 사는 동네 역시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내가 사는 동네 역시 나는
다 알지 못한다. 구석구석 어떤 게 있는지 주의깊게 다녀보지 않았으니까.
이 책은 그런 내가 어떤 것을 소중히 여기고 어떤 것을 주의깊게 바라봐야 하는지를
일깨워준다.
진정 맘에 와 닿는다. 여행할 때마다 생각하게 되는데.. 나는 특히 다양한 곳을 한
번에 보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 편이다. 그냥 한 도시만 오래도록 보아도 지겹지 않다. 그 곳에 계속 있었다고 하더라도 그 도시를 다 아는게
아니니까..
저자의 마지막 챕터처럼.. 다양한 시선과 다양한 냄새와
다양한 감각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을 가져보는 건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