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3 웨이브 - 우리의 모든 것을 바꿀 넥스트 빅씽이 온다!
더밀크 지음 / 행복한북클럽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도 각종 매체에서 웹3라는 용어가 많이 등장하는데... 정작 웹3.0이 무엇인지는 알려주는 곳이 없어서 이 책을 읽게 되었습니다. 블록체인, 암호화폐와도 자주 엮여서 등장하는 웹3.0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웹3가 과거의 인터넷과 확실히 다른 점은 소유의 개념이 추가되었다는 것입니다. 야후, 넷스케이프로 대표되는 웹1.0 시대에는 읽기만 가능한 정적인 웹 시대였고, 2000년대 중반 시작된 웹2.0은 사용자가 참여할 수 있는 형태로 발전했습니다. 하지만 웹2.0 시대의 웹도 여전히 소수 기업이 데이터와 사용자가 생성한 콘텐츠를 독점하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웹3에는 소유 개념이 추가되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더 큰 가치를 주고, 자연스럽게 더 많은 사람이 참여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스마트 계약 기능을 제공하는 이더리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다오를 조직하면 복잡한 절차가 훨씬 빠르고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현재의 인터넷은 결함이 있습니다. 지나치게 중앙화되어 있습니다. 중국의 경우 국가가 인터넷을 검열하고 통제하고, 서방세계 역시 빅테크가 과점한 기형적인 상태입니다. 애플, 구글, 페이스북, 아마존 등 대형 플랫폼 기업이 사용자를 모은 후 그들이 만들어낸 콘텐츠 및 데이터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성장합니다.


사실상 사용자가 만들어 플랫폼에 올린 게시물과 창작물은 본인의 소유가 아니고 플랫폼의 소유입니다. 더군다나 창작물, 게시물에 대한 보상도 정당하지 않습니다. 반면 웹3에서는 개발자, 투자자와 비슷한 수준의 보상을 사용자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런 보상 구조가 생태계를 건강하게 만들고 결과적으로 더 빠른 성장을 가능하게 합니다. 


웹3가 현재 어느정도 발전이 진행되고 있는지, 블록체인 기술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를 고찰해볼 수 있는 책이었습니다. 아직 웹3의 발전은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개인으로써 감당할 수 없는 금액을 투자하는 것은 무리라고 생각 합니다. 


그렇지만 벤처 캐피털에서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고 개발자들도 모이고 있는 분야이기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눈여겨볼 필요는 있다고 생각합니다. 웹3 웨이브를 읽고 나니 왜 그동안 매체에서 웹3가 무엇인지 알기 쉽게 알려주지 못했는지 이해가 갑니다.


결국 웹3.0이라는 것은 한마디로 정의하기 어려운 개념인 것 같습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웹3 웨이브를 읽어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