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성장단계 주식투자
김상정 지음 / 국일증권경제연구소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이 책의 내용은 내가 예상한 것과는 좀 달랐다. 아직 성장할 여력이 남은 회사를 발굴하고 그런 회사에 투자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책일 것이라고 생각했다. 읽어보니 그런 내용은 아니었고 기업성장에 대한 다양한 이론과 기업성장단계 별로 주주의 수익률이 어떤지 다루는 책이었다. 실용적인 투자 서적이라기 보다는 경영학의 이론을 다루는 책이라고 하는 것이 맞을 것 같다. 


성장단계 용어는 제품, 기술, 사업, 기업, 산업, 국가의 영역에서 사용됩니다. 기업이 성숙단계나 쇠퇴단계에 진입해서 경쟁이 치열해지면 매출은 증가하지만 이익은 별로 증가하지 않습니다. 반대로 품귀제품인 경우 매출액은 증가하지 않지만 이익이 증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영업을 통한 이익의 증가가 아닌 자산의 매각과 환차익 같은 영업외수익이 증가한 경우도 이익만 증가하는 경우입니다. 


기업성장의 기준을 정할때는 이익의 증가가 더 중요한 측정기준입니다. 하지만 사업초기에는 이익의 증가가 거의 없거나, 적자인 경우가 많아 분석의 도구로 사용하기 용이하지 않고, 이익은 매출이라는 선행 결과로 발생하는 후속적인 수치라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매출을 기업성장의 측정기준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투자자의 입장에서 도움이 될만한 파트는 '기업성장 6단계법을 활용한 주식분석과 저평가기업 선별방법'파트 입니다. 기업성장 6단계 모형을 주식시장에 실제로 적용해서 관련지표를 비교하면 이 회사가 저평가 되어 있는지 판단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이때 기업의 PBR, PER 매출액성장률, ROE, 유형자산증가율 등의 지표를 이용합니다. 


코스피시장의 경우 초기단계에는 이익이 작아 높은 PER을 보이다가 성장단계, 성숙단계, 쇠퇴단계로 가면서 PER이 낮아집니다. PBR을 살펴보면 초기단계의 경우 성장기대치는 높고 이익수준이 낮아, 높은 PBR을 보이다가 성장단계로 가면서 이익기대치가 최고로 높아지며 PBR은 가장 높아집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