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후의 세계경제 -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라!
최동환 지음 / 닻별 / 2021년 2월
평점 :
품절


코로나 이후 세계 경제는 어떻게 될까? 투자자로써 항상 고민이 되는 주제다. 아직까지는 세계적으로 돈을 풀고 있는 추세라서 자산 가치가 오르고 있지만 언제고 저금리가 계속될 것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결국에는 금리 인상으로 흐름이 바뀔 것이고 그렇게 되면 자산의 가치가 많이 하락하지 않을까?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거시적인 경제의 흐름을 따라가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 


이 책에서는 2024년 하반기부터 2026년까지 긴축정책이 실시될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에 강한 인플레가 발생해서 미국이 자금회수를 본격적으로 시행하는 시기를 2024년 하반기로 보는 것이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우리나라도 그에 뒤따라 기준금리를 인상해야 한다. 이 시기에는 세계경제가 이미 회복되어 수출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날 수 있다.


하지만 유동성을 미국이 흡수하면서 어떤 신흥국에서는 유동성 부족으로 인한 금융위기가 발생해 채무불이행 사태가 일어날 수 있다. 신흥국 파산은 우리나라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나라도 파산위험에 휩쓸리지 않도록 매우 조심해야 한다. 


재정 건전성을 미리 확보하고, 외환보유고를 과다하다고 느낄 만큼 넉넉하게 가지고 있어야 한다. 달러 표시 대외부채를 최대한 줄이고, 정부부채도 줄여나가기 시작해야 한다. 2027년쯤이면 정부부채는 아무리 많아도 50%로 만들어야 신흥국 파산에 휩쓸리지 않을 수 있다.


이 책에서는 2028년 전후로 세계 대공황이 발생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그 전에 이미 신흥국 여러 나라와 일본은 파산한다.) 중국도 수출기업 중심으로 대규모 도산사태가 벌어진다. 그러다가 재정정책으로 세계경제가 회복되면 본격적으로 세계는 4차 산업혁명으로 돌입한다. 


이 책의 저자 분은 아직 금리 인상은 3년 정도 남은 것으로 보고 있다. 당장 2021년에는 저금리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나도 생각하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주식이나 부동산 등 자산 시장에 투자하는 것이 나쁘지 않은 선택인 것 같다. 내 월급 빼고 모든 자산이 오르는 지금, 정신 똑바로 차려야 벼락 거지가 되지 않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