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로 부의 리셋 버튼을 눌러라
김형렬 지음 / 메이트북스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앞으로 10년 동안 세계 경제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 주식 시장의 미래는 어떨지 다루고 있는 책

제목에서 알 수 있다시피 주식 투자의 미래를 매우 좋게 보고 있다.

세계 각 국에서 돈을 찍어내고 있어서 적어도 코로나19가 잠잠해지기 전에는 경기 침체가 오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부채비율이 점점 높아지고 있기에 어느 한 군데에서 문제가 터지면 전 세계가 연쇄적으로 경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 두렵다.

그래서 현재에도 내 순수한 자본만으로 투자를 하고 있고 레버리지를 끌어 쓰고 있지는 않다.

레버리지는 혹시나 모를 저평가 매수 기회가 왔을때 써야겠다?라고 생각하는데...

올해 초에 주가 폭락이 왔을때 이미 그 기회를 놓친건가 싶기도 하다.

아무튼 서론이 길었는데 주식 시장의 전망을 어떻게 점치는지?

증권사 리서치센터장의 견해를 엿볼 수 있었다.


'주식투자로 부의리셋버튼을 눌러라'를 읽으면서 가장 기억에 남는 부분이라 간단하게 정리해 보았다.

역사적으로 수많은 거품경제를 경험해왔습니다.

그런데 거품경제의 생성 주기가 조금씩 짧아지고 있습니다.

지난 10년의 상황만 봐도 금융위기 직후 미국 주식시장의 확장세, 비트코인을 포함한 가상화폐의 급등과 쇄락, 바이오 산업의 팽창과 수축 등 다양한 경험을 해왔습니다.

현재 기술주를 중심으로 투자자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성장주의 확장은 투자자의 꿈과 믿음에 바탕을 둡니다.

성장주는 실적과 무관하다고 합니다.

하지만 투자자에게 주장해왔던 것과 현실이 멀어지기 시작하면 점진적으로 투자자의 믿음은 의심을 넘어 배신의 단계에 도달하게 되고, 이 경우 성장주의 주가는 참혹한 현실을 마주하게 됩니다.

성장주가 위기상황에 접근할 때 나타나는 신호는?

(1) 벼락부자가 등장했다는 뉴스가 전해질 때

(2) 기득권 산업의 불만의 목소리가 커질 때

성장산업이 기존산업의 일자리를 위협하는 상황이 되면 성장산업을 경계하고 밀어내려 하는 움직임이 발생합니다.

(3) 성장산업에 대한 규제 관련 이슈가 등장할 때

성장산업이 성장과정에서 공공의 이익을 침해하는 소지가 있을 경우 규제를 통해 정부가 속도조절에 나설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