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장자리에 오른다는 것 - 재능만으론 사장이 될 수 없다 CEO의 서재 24
아타라시 마사미 지음, 박재영 옮김 / 센시오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매출이 오르고 성장하는 기업과 장래성이 없어 도산하는 기업의 큰 차이는 대부분 '사장의 품질'에 달려 있다.


'사장 자리에 오른다는 것'을 읽으면서 경영자에게 필요한 자질을 고찰해볼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었다.


대외적으로는 회사의 매출 성장을 위해 힘써야 하고, 대내적으로는 휘하의 직원들을 관리 감독하고, 권한을 위임하는 것을 잘해야 한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리더의 자질은 무엇일까?


직원들에게 신뢰와 존경을 받는 방법, 사장자리에서 해서는 안 될 행동, 상대를 납득시켜 따라오게 하는 비결 등 사장의 덕목을 구체적으로 다루지만 내가 읽으면서 가장 기억에 남았던 부분은 '계속해서 자신을 성장시키는 방법'을 서술한 파트


시야를 넓히려면 폭넓은 분야에서 자기개발을 계속적으로 실행해야 한다.

계속해서 자기개발을 하려면 자기개발의 중요한 점을 분별해두면 좋다.


먼저 인생의 목적과 목표를 가져야 한다.

자기개발은 자신이 꿈꾸는 미래상과 실제 모습 간의 차이를 메우는 방법이다.

인생의 큰 목적, 목표를 가슴에 품어야 배우는 데 힘이 실린다.


또한 하루 한 시간 책을 읽거나 뛰어난 멘토를 갖는 등 어제까지의 자신을 뛰어넘는 기술과 마인드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훌륭한 사람을 만나는 방법도 있고, 1년에 네다섯 번 이상 스터디 모임이나 강연회에 참석해 정보를 입수할 수도 있다.


현장에서 직접 듣는 경우에 더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다.

강사의 생생한 목소리를 들을 수 있고, 궁금한 것에 대해서는 직접 질문할 수도 있다.


멘토는 반드시 살아 있는 사람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책도 훌륭한 멘토가 될 수 있다.


그 외에 자격증 취득에 도전하거나 다른 분야를 통해 시야를 넓히는 방법도 세상을 보는 관점이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사장자리에 오른다는 것'에는 당장 회사의 성장을 도모하거나 경영 상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특급 비책이 나오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회사를 경영하는데 있어 필요한 사장의 자질, 덕목을 구체적으로 밝혀주기 때문에 이 책에 언급된 '인간력'을 키우는 방법을 체화시키면 운영에 도움이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