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 실용음악 화성학 - 입문자도 입시생도 독학하기 쉬운 음악이론 실용음악 화성학
이화균 지음 / 해피엠뮤직 / 2020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음악에 관심이 많은 나에게 가뭄의 단비와도 같던 책


처음 공중 보건의 배정 받고 나서 음악 쪽으로 취미를 가지고자 실용 음악학원에서 2년 간 재즈 피아노를 배웠었다.

사실 재즈 피아노 자체에 관심이 있다기 보다는 작곡에 관심이 많은데 작곡의 가장 기본이 되는 악기가 피아노 였기 때문에 배운 것이었다.


여러 곡들을 배우면서 다양한 코드를 익히기는 했는데 화성학 쪽에 지식이 전무하다 보니 항상 아쉬움을 가지고 있었다.

왜 이 코드는 이렇게 치는 것인지 원리는 모르면서 그냥 이 코드를 어떻게 치는 것인지 흉내만 내는 느낌?


그래서 '화성학' 관련 책을 보려고 사둔 것도 있는데 시중에는 전공자가 보는 화성학 책 밖에 없어서 입문자인 내가 이해하기 쉽지 않았다.


그러던 와중에 입문자와 입시생이 독학할 수 있게 나온 이 책을 발견하고 읽어 나갔다.


'기초 실용음악 화성학'은 음악의 아주 기초적인 부분부터 다루고 있다.

박자, 음표, 쉼표, 다카포, 달세뇨, 도돌이표 등 악보를 보는 법부터 시작해서 음정과 화음까지 다룬다.

이 책에 나온 것을 확실히 익히면 음악의 이론적인 기본기는 쌓을 수 있을 것 같다.



'기초 실용음악 화성학'을 읽으면서 가장 도움을 받았던 부분은 바로 '음정' 파트

과거에 실용음악학원에서 보컬을 배운 적이 있는데 그때 어렴풋이 완전 4도, 완전 5도, 장 6도, 장 7도 이런 용어들을 학습한 적이 있다.


그때 명확히 이해가 안 된 상태로 넘어 갔는데 항상 아쉬움이 있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비로소 어떤 식으로 음정을 계산 하는지, 반음의 개수에 따라 달라지는 것, 플랫과 샾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것 충분히 학습할 수 있었고 확실히 이해를 하게 되었다.


음악을 배우면서 항상 찝찝한 마음이 있었는데 '기초 실용음악 화성학'을 통해 그러한 부분을 많이 덜어낼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