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노트
박세정 지음 / 북스타(Bookstar)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봉급 쟁이로 살아 가고 있지만 가슴 한 켠에는 '창업'이라는 두 글자를 안고 살아 가고 있다.

저자 분께서 창업을 해본 경력이 있으실 뿐 아니라 벤처 업계에서 잔뼈가 굵어서 많은 가르침을 '내 것'으로 만들어야 겠다는 생각으로 읽었다.


책 내용은 창업을 처음하는 사람이 겪는 실무적인 내용보다는 거시적인 것들, 추상적인 것들이 많았다.

게다가 경영학 전공자들만 알 법한 지식들이 많아서 관련 전공자가 아닌 나에게는 생소한 개념들도 많았다. 

저자 분께서 심혈을 기울여서 쓰신 티가 역력 한데, 나의 내공의 부족으로 모든 것을 흡수하지 못한 것은 아쉽다.


한편 '장래에 개원을 할' 나에게 도움이 되는 부분도 있었다.

먼저 병원을 운영하고 있는 선배들을 만나 뵙고 이야기를 들으면 항상 하시는 말들이 있다.

바로 '직원 문제'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다는 것


치과 개원 뿐만 아니라 어떤 사업을 하던지 '인사 문제'로 스트레스를 받는 것은 피할 수 없는 숙명인 것 같다.

스타트업을 운영하는 창업가들도 '직원 문제'로 스트레스를 많이 겪는다.


많은 CEO들이 '왜 일을 할 만하면 회사를 떠나는지?' 고민을 하고 유능한 구성원의 이탈을 방지하고자 대책을 강구한다.


이 부분을 해결하려면 구성원 입장에서 회사를 다녀 주는 이유가 뭔지를 먼저 파악해야 한다.

회사를 다니는 이유는 크게 

(1) 보상이 괜찮아서, (2) 워라밸이 훌륭해서, (3) 미래 성장 준비, (4) 프라이드를 느낄 수 있어서,

(5) 관계에 의지할 수 있어서 이렇게 5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모든 것을 만족하는 직장을 다니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특정 부분의 만족도가 높다면 충분히 다닐 수 있다.

리더라면 구성원의 안정감, 비전, 프라이드 셋 다 잡으면 좋겠지만, 어렵다면 하나라도 잡아야 할 것이 아닌가?


문제의 리더가 문제 조직을 만드는 것이다.

일을 할 만하면 떠나는 유능한 인재에 불만을 토해내기에 앞서, 이직이나 진로 변경으로 경력단절과 물경력을 각오하고 퇴사하는 입장을 생각해 보자.


문제의 이유를 다른데서 찾지 말고, '나' 자신을 되돌아 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