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한국경제 대전망
이근 외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년 이맘때쯤 '2019 한국 경제 대전망'을 읽었는데 굉장히 감명 받았던 기억이 있다.

동일한 저자들이 쓴 책인데 '트렌드 코리아'와 마찬가지로 매년 시리즈로 나오는 책인 것 같다.


다가오는 2020년 세계 경제의 전망은 어둡다. (많은 경제학자들이 비슷한 예측을 내놓고 있다.)

미국경제는 그나마 다른 선진국에 비해 나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지만 앞으로 성장세가 둔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존재한다.

 그러다보니 연준은 금리 인하와 확장적 통화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실업률도 낮고, 경제성장률도 나쁘지 않지만, 보호무역과 관련된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연준이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일본도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고수하고 있다. 

한편, 소비세 인상으로 세수가 증가했고 재정 적자가 축소될 전망이지만 거시 경제에는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적극적인 재정 확장을 펼칠 것이다.

유럽도 마찬가지로 확장적인 통화정책을 유지할 것이다.


2020년 세계경제를 위협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미중 간의 무역 전쟁으로 인한 불확실성이다.

단기적인 해결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한국 경제는 어떨까?

소득주도성장은 2020년에도 꾸준히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최저임금 대폭 인상과 같은 민감한 정책보다는 정부 재정을 바탕으로 한 일자리 및 복지 정책 쪽으로 무게중심이 옮겨갈 것으로 전망된다.


무역 환경이 변화되고 반도체 경기도 위축돼 수출 수요가 줄었고, 거시경제의 총수요를 떠받치기 위해서라도 재정 지출을 통한 내수 확대의 필요성은 더욱 커질 수 밖에 없다.


투자 관점도 눈여겨볼만 하다.

저성장과 저금리,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지속되면서 더이상 한국 금융 자산의 자국 편향은 합리적이라고 볼 수 없다.

따라서, 해외 포트폴리오 투자가 최근 들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한편 지정학적 위험에서 비롯된 거시경제의 불확실성때문에 다가오는 2020년에는 안전 자산의 비중을 늘리는 것이 추천된다.

금리 인하 정책 환경에 적합하고 극단적 위험 아래서 유동성 확보가 용이한 국채 등이 유효할 수 있을 것이다.

위험 자산중에서는 상장 주식처럼 유동성 높은 위험 자산이 유동성 낮은 대체 투자 자산보다 복원력 면에서 우월할 것이다.


부동산에 대한 이야기도 흥미롭게 읽었다.

부동산 정책으로 수요를 위축시키기는 했지만, 공급도 위축 되었다.

보통, 주택 시장에서 아파트 가격의 선행지표로 입주 물량을 들여다본다.

경기도 상당수 지역에서 2020년 이후 공급 부족이 가시화될 것으로 보인다.

경기도 내 대부분의 지역에서 2021년이 입주 물량상으로 최저점을 찍을 가능성이 크다.

화성, 용인 모두 입주 물량이 급감한다.

서울을 둘러싼 대부분 지역에서 2년 사이에 새 아파트 입주 물량이 많이 사라진다. 2년 내에 서울의 아파트 공급 부족이 가속화하는 것은 뻔한 상황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많은 정보를 얻어 간다.

앞으로도 매년 꼭 읽어 봐야 겠다. '트렌드 코리아'와 함께 추천하는 시리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