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의 직업 - 또 다른 시작을 위한 생애 두 번째 일자리 찾기 프로젝트
신상진 지음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은퇴 이후의 삶을 준비하는 분들이 보기에 좋은 책

자기계발 서적들을 읽어보면 무리한 투자로 큰 돈을 버는 것 보다, 현실적으로 내가 벌어들이는 수입을 늘리는 방법을 추천하는 경우가 많다.

 가장 우선적인 것은 나의 주 직장에서의 소득을 늘리는 것이지만 결국은 한계가 있고 결국은 내가 직접 일하지 않고, 시스템이 돈을 버는 사업 소득을 늘려야 한다.


나도 그런 부분을 계속 고민하고 있기에 창업이나 투잡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고자 이 책을 선택했다.

앞 부분에는 제2의 직업을 고민하시는 분들이 나에게 맞는 직업을 찾는 방법을 위주로 다루고 있다. 


중간 부분에 '나의 창업가 유전자는 얼마나 될까?' 주제에서 나 자신을 되돌아보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개인의 관점에서 창의성을 살펴보기 위해 독창성, 유창성, 융통성, 민감성, 정교성을 고려할 수 있다.

비즈니스 세계에서의 독창성은 단순히 아이디어를 떠올리는 것 뿐만 아니라 실제 구현해내는 능력을 의미한다. 

 아이디어는 그래도 생각하는 편인 것 같은데 실제 구현해내는 것과 내 능력은 거리가 먼 것 같다...

유창성은 다양한 아이디어를 많이 낼 수 있는 능력인데,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사업가에게 가장 중요한 자질 중 하나가 아닐까 싶다. 

 비즈니스의 역사를 돌이켜보면 모든 사업은 흥망성쇠가 있다. 시대가 변함에 따라 대중이 요구하는 것이 달라지기 마련이다. 따라서, 성공하는 사업가는 현재 사업에 안주하지 않고, 끊임없이 변화해야 한다. 그런 면에서 볼때 '유창성'이라는 자질이 중요할 것 같다.


책 중반부에 메디픽셀을 운영하고 있는 송교석 대표님의 인터뷰가 나오는데 이 내용에서도 사업가에게 필요한 자질을 엿볼 수 있다.

대표님 말씀으로는 창업가에게 필요한 자질은 멘탈이 강해야 한다고 하신다. 때로는 지독하게 외로울 때도 있고, 엄청난 압박감을 참고 견뎌야 할 때도 있다고...

또, 창업을 하면서 가장 어려운 점은 '직원을 채용하는 일'이라고 한다. 

자영업을 비롯해서 사람을 써야하는 일에서는 '인사 문제'가 가장 큰 고민인가보다.

좋은 사업 아이템이 있다면 그 다음은 사업 초기 인력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지가 관건이라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